미국 대선이 부정선거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국내에 알려진 우편투표의 문제점 이외에도 최근 전자개표기의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국내 언론 보도와 달리, 지난 3일 열린 미국 대통령 선거의 당선자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국내외 주류 언론만 보면 마치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300명 이상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면서 당선을 확정지은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 공화당에서는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니아, 애리조나, 조지아 등 일부 주에서의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관련 증거를 모아 연방대법원에 소송을 건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대선에 사용된 전자개표기 ‘도미니언(Dominion)’의 문제를 지적한 한 트위터리안의 글을 리트윗했다. 트윗 작성자는 “피터 네펜저(Peter Neffenger)라는 이름의 남성은 예비역 해군제독이자 도미니언의 소프트웨어를 만든 스마트매틱(Smartmatic)의 대표이자 이사이며 바이든 인수위 소속(A Man named Peter Neffenger, a retired Admiral, is president, and listed on the board of directors o
지난 3일 열린 미국 대선의 개표는 대부분 종료됐지만, 투개표에서의 부정행위 의혹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 펜실배니아, 조지아, 미시건 등에서는 뒤늦게 도착한 우편투표와 관련해서 공화당이 소송을 걸었으며, 위스콘신과 조지아에서는 재검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렇듯 재판과 재검표 결과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고 속단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대부분의 미국 언론들은 바이든의 승리를 기정사실화 하면서 여론몰이를 하는 중이다. 이에 대해 미국의 몇 안되는 자유보수 우파 인터넷매체인 ‘페더럴리스트(The Federalist)’는 7일(현지시각) 크리스토퍼 베드퍼드(Christopher Bedford) 편집장이 작성한 칼럼 ‘언론의 승리선언은 공화당원들을 침묵시키려는 시도일 뿐, 변한 것은 없다(Saturday’s Media Declaration Is A Naked Attempt To Silence Republicans, And Nothing Has Changed)’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바이든은 월요일까지 기다릴 수 있었음에도 토요일에 승리를 선언했고, 언론도 그의 기자회견을 일제히 보도했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선거
미국 대선의 개표가 막바지로 접어든 가운데, 우편투표 도착 시기를 임의로 연장한 펜실배니아 등 일부 주정부의 결정과 관련해서 법적 공방이 벌어지는 등 당선자 확정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이런 가운데 최대 접전지였던 펜실배니아에서 주 정부 장관이 공화당 참관인들의 접근을 통제했다는 충격적인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후보 캠프 선대부본부장인 저스틴 클라크(Justin Clark)는 4일(현지시각) 성명을 내고 “모든 유효투표가 제대로 집계가 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참관인의 역할임에도 이것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필라델피아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민주당원 공무원들은 공화당 참관인들을 개표 현장에서 약 8미터나 떨어져 있도록 함으로서 우리 참관인들이 집계 상황을 감시하는 것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투명성이 확보되고 개표가 합법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납득할 수 있을 때까지 집계를 일시 중단하도록 소송을 건다”고 덧붙였다. 성명은 “이는 펜실배니아의 극좌성향 장관인 캐시 북버(Kathy Boockvar)가 주 법원과 공모해서 바이든에게 승리를 몰래 안겨주려고 전력을 기울인 것”이라며 “미국 헌법에 따르면 선거의 시간, 장소
미국에서 가장 강경한 반 트럼프 및 친 민주당 성향 언론의 대명사인 CNN이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칼럼을 게재했다. CNN과 폭스뉴스는 각각 미국의 좌파와 우파의 여론을 대변하는 대형 방송사로서 상대방 진영의 입장을 대변하는 칼럼도 종종 게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NN 방송사는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스캇 제닝스(Scott Jennings)가 작성한 ‘도널드 트럼프는 재선할 자격이 있다(Donald Trump deserves a second term)’ 제하 칼럼을 게재했다. 공화당 선거기획 자문위원인 제닝스는 과거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특별보좌관으로 일했으며, 현재 CNN 칼럼니스트로 일하고 있다. 제닝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업적에 대한 판단은 간단하다”며 “그는 수많은 미국인들을 위해 경제를 성장시켰고, 천문학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전쟁을 막았을 뿐 아니라 중동 평화협상을 체결하기까지 했다”고 밝혔다. 제닝스는 “그는 세금을 낮춰야 한다고 생각하며, 감세를 추진했다”며 “트럼프는 정부가 과도한 규제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며, 자신이 속한 공화당과 함께 오바마 정부에서 있었던 수많은 규제를 철회했다”고 지적, 트럼프 대
미국 경제가 3분기에 무려 33.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미국 대선의 승패를 결정할 경합주의 표심이 꿈틀거리고 있다. 올해 2분기에 중공발 우한폐렴(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해 30%대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을 때는 트럼프 정부를 비난하던 민주당 성향 언론사들은 대부분 이번 3분기 성장률 폭등 소식은 일제히 외면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지지 성향의 경제전문지인 블룸버그(Bloomberg) 통신사만큼은 예외적으로 지난달 31일(현지시각) 경제학자인 칼 스미스(Karl Smith) 칼럼니스트가 작성한 ‘경제정책은 트럼프가 오바마보다 우월했다(Trump’s Economy Really Was Better Than Obama’s)' 제하의 칼럼을 게재하며 트럼프 정부의 업적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칼럼은 “조 바이든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한 경제를 구축하지 못했다고 주장해 왔지만, 이는 트럼프가 잘한 부분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적어도 코로나 판데믹 이전까지 경제는 성공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칼럼은 “오바마 재임 당시인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실업률은 9.9%에서 4.7%로 5.2% 하락했으며, 트럼프가 취임하고 나서인 2019년 1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아들 헌터 바이든의 노트북에서 발견된 이메일에서 중공과의 부적절한 거래를 시도한 내역이 우파 언론 ‘뉴욕포스트(New York Post)’의 보도로 확인된 이후로, 미국 내 친 민주당 성향 언론은 관련 논란을 아예 무시하거나, ‘근거가 부족하다’, ‘러시아의 조작이다’ 등의 논리로 반박해 왔다. 하지만 문제의 이메일은 포렌식 결과 ‘진본’인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해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성향 매체인 ‘데일리콜러(Daily Caller)’는 지난달 29일 앤드류 커(Andrew Kerr) 기자가 작성한 ‘포렌식 결과, 뉴욕포스트가 보도한 헌터 바이든의 이메일은 100% 진본(NY Post’s ‘Smoking Gun’ Hunter Biden Email 100% Authentic, Forensic Analysis Concludes)’ 제하의 특종 기사를 게재했다. 앤드류 커 기자는 “DCNF(데일리콜러)는 지난 수요일에 루디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으로부터 바이든의 것이라고 알려진 노트북의 복사본을 받았다”며 “DCNF는 사이버 보안업체인 ‘에라타 시큐리티(Errata Security)’의 로버트 그래이엄(Robert Graham) 대표이사에
미국 대선 막판 레이스가 치열한 접전 양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이미 역전에 성공했다는 전망도 내놓는다. 실제로 조 바이든 후보가 앞서고 있다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공화당 및 일부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막판 역전승을 확신하고 있다. 이에 영국의 한 정치평론가도 트럼프의 역전승을 전망하는 칼럼을 기고해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매체인 ‘아메리칸 그레이트니스(American Greatness)’는 28일(현지시각) 영국의 정치전문 프리랜서 기자인 크리스토퍼 게이지(Christopher Gage)가 투고한 칼럼 '바이든은 침몰하는 중(Biden is Sinking)'을 게재했다. 게이지 기자는 “대통령선거의 마지막 일주일은 바이든에게 편안하지 않다” “2016년 대선 결과를 적중시켰던 일부 여론조사에 따르면 승부는 접전 양상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경합주에서 상승세”라고 소개했다. 게이지 기자는 최근 IBD(Investor’s Business Daily)와 TIPP(TechnoMetrica Institute of Politics and Policy)가 실시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 결과를
중공발 우한폐렴(코로나19)의 확산으로 올해 2분기 최악의 침체를 기록했던 미국 경제가 3분기에 무려 33.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11월 3일 대선을 코앞에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또 하나의 호재가 생긴 셈이다. 미국 폭스뉴스(Fox News)는 29일(현지시각) 뉴욕 킹스칼리지(King’s Colledge)의 브라이언 브렌버그(Brian Brenberg) 교수가 작성한 칼럼 ‘기록적인 경제성장으로 트럼프가 ‘성장의 대통령’이라는 사실을 유권자들에 입증하다(Record GDP number proves to voters that Trump is president of growth)'를 게재했다. 브렌버그 교수는 “이 소식은 트럼프 대통령이 약속한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의 ‘V자 회복’이 시작된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이 소식이 선거 막판에 알려지면서 트럼프를 돕고 있다”고 밝혔다. 브렌버그 교수는 “관건은 이것이 2020년 대선 결과를 결정할 경합주(battleground states)에서 어떤 효과를 내느냐다”며 “유권자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해 보면 목요일에 발표된 경제성장률은 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브렌버그 교수는 “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자신의 아들 및 동생과 공모해서 중공의 검은 돈을 받았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대선의 판세는 당선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합세, 나아가 트럼프 당선까지 조심스럽게 전망하는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바이든의 치명적 도덕성 문제와는 또 별개로 외교정책적인 측면에서 바이든 후보의 당선의 위험성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나섰다. 매체는 25일(현지시각) ‘바이든은 실패한 오바마식 외교정책으로 회귀할 것(Joe Biden would return to failed Obama foreign policy)'’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외교정책이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오늘날 최대의 외교적 이슈에 도전장을 내밀었다”며 “그는 마침내 중공의 제국주의를 구속하고 저지하기 위해 전권을 행사했으며, 중공은 이로 인해 고통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 미국 외교 사상 처음이었던 중공을 겨냥한 트럼프 정부의 강경한 정책을 언급했다. 또 사설은 “안보 무임승차를 하는 유럽 동맹국들에 대한 트럼프의 압박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가족의 ‘차이나게이트’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조 바이든은 아들인 헌터 바이든 및 동생인 짐 바이든과 공모해서 미국의 적국인 중공 공산당 소속 기업과의 부적절한 거래를 시도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뉴욕포스트와 폭스뉴스 등 자유우파 성향 언론만 관련 문제를 다뤘으나, 최근에는 상대적 중도성향인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WSJ)도 연일 심층 보도와 칼럼으로 사건의 내막을 상세하게 보도하는 중이다. 미국의 일반 시민은 물론, 조 바이든 후보에게 우호적이었던 금융계, 재계조차도 이 문제의 파급력을 무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WSJ는 23일(현지시각) 칼럼니스트인 킴벌리 스트라셀(Kimberley Strassel)이 기고한 ‘바이든 가족의 유산: 헌터 바이든의 동업자 토니 보불린스키의 문자메시지에서 드러난 사실(Biden ‘Family Legacy’ - What we learned from the text messages of Hunter’s partner Tony Bobulinski)'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스트라셀은 “조 바이든에겐 문제가 있는데,
미국 대선을 열흘 앞둔 시점에서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노트북 게이트’가 점입가경이다. 최근 FBI가 입수한 조 바이든 후보의 아들 헌터 바이든의 노트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조 바이든은 아들인 헌터 바이든과 공모해서 중공 에너지 기업과 부적절한 거래를 시도했다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미국 좌파 성향 주류 언론들 대부분이 ‘노트북 게이트’의 자세한 내용을 보도하지 않으며 바이든을 지원사격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미국 기층 대중들의 여론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언론들인 폭스뉴스와 월스트리트저널은 연일 이 문제를 대서특필하고 있다. 자유보수 우파 성향의 폭스뉴스는 24일(현지시각)에도 변호사이자 폭스뉴스 법률고문인 그렉 자렛(Gregg Jarrett)이 기고한 칼럼 ‘헌터 바이든의 노트북 스캔들 – 바이든이 당선되더라도 막을 수 없다(Hunter Biden laptop scandal — Even if Joe Biden wins, there's no way out now)' 를 게재해 ‘노트북 게이트’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칼럼에서 자렛은 “아들인 헌터 바이든 덕분에 조 바이든 후보는 이제
미국 민주당의 대선 후보 조 바이든이 중공 스캔들로 최대 위기에 몰렸다. 최근 조 바이든 후보의 아들인 헌터 바이든의 소유로 추정되는 노트북에서 헌터가 지난 2015년 우크라이나의 에너지기업 및 중공 기업과 조 바이든과의 만남을 주선한 정황이 담긴 이메일이 확인된 바 있다. 이메일 내용이 워낙 구체적이어서 2주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까지 민주당 성향의 미국 주류 언론들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보도하는데 소극적이다. 하지만 중도성향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이 21일(현지시각) ‘바이든 부자와 중국 사업(The Bidens and China Business)' 제하의 사설을 게재하면서 분위기가 심상치않다. WSJ는 “대부분의 언론이 헌터 바이든의 노트북에서 발견된 이메일을 무시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뉴스가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라고 하면서 “조 바이든은 아들의 권력 남용과 자신의 금융 거래에 대한 질문에 대답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WSJ는 뉴욕포스트가 지난주에 이 노트북을 입수했으며, 바이든 후보가 이를 ‘더러운 선거운동(smear campaign)'이라고 비웃었으며 민주당
약 2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은 한국의 대선과는 달리 직접선거와 간접선거를 혼합한 선거인단제를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50개의 주(state) 중 메인 주와 네브래스카 주를 제외한 48개 주에서는 해당 주에서 더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그 주에 할당된 선거인단을 모두 독식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득표수는 중요하지 않으며 플로리다, 펜실베니아, 미시간, 위스콘신,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등 ‘스윙스테이트(경합주)’에서 누가 선거인단을 독식하느냐가 승부를 좌우한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전체 투표수에서는 패했으나 민주당의 우세가 예상되던 경합주인 펜실베니아와 미시간에서 파격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대통령에 당선된 바 있다. 오는 11월 3일에 열리는 대선의 최대 승부처 역시 플로리다와 펜실베니아다. 특히 펜실베니아는 경합주이기는 하나 역대 대선에서 민주당의 승률이 높았던 지역이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곳에서 다시 승리한다면 재선은 거의 확실하다고 해도 무방한 상황이다. 펜실베니아 승부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미국 현지 언론도 이 지역에 대해 많은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CNBC는 지난 16일(현지시각) 제이콥 프라묵(J
에이미 코니 배럿(Amy Coney Barret) 미국 연방대법관 지명자의 인준청문회가 시작된 가운데, 민주당은 배럿 지명자의 인준을 저지하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대선을 한달 가량 앞두고 있기에 청문회의 열기도 더욱 뜨거운 상황이다. 미국 자유보수 우파 진영을 대표하는 논객 중 한명인 벤 샤피로(Ben Shapiro)는 14일(현지시각) 폭스뉴스(Fox News)에 ‘민주당원들은 대법원이 좌파가 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배럿 임명을 반대한다(Democrats oppose Barrett because they want Supreme Court to be progressive super-legislature)'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샤피로는 “민주당원들은 에이미 코니 배럿 판사가 대법원에서 근무하도록 확정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민주당은 공화당 소속 대통령이 대선이 열리는 해에 공화당이 다수인 상원이 판사를 임명하면서 정치적 규범이 깨졌다는 등 진부한 주장을 펼쳤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서 샤피로는 “사실을 말하자면, 대선이 열리는 해에 대법관 자리가 공석이면서 대통령과 상원 모두 같은 당이 차지한 경우는 19번이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