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미자동차노조(United Car Workers Union: 이하 UAW)가 지난 15일부터 일자리 감소 우려 등을 이유로 GM(제너럴모터스) 등 미국 ‘빅3’ 업체들을 상대로 부분 파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 위주로 생산라인을 전환할 경우 생산인력의 절반 이상이 불필요해지면서 대량 실업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논리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22일(현지시간)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국력을 상당 부분 소진하면서, 러시아의 앞마당이라고 불리던 구소련 중앙아시아 지역의 역학관계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러시아의 영향력이 감소한 반면, 러시아가 경제적으로 중국에 더 의존하게 되면서 이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산이 더 빨라지는 분위기다. 미국은 2021년 8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철군 이후로 중앙아시아 지역과는 큰 인연이 없어졌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19일(현지시간) 타슈켄트 웹스터 대학(Webster University Tashkent) 방문교수이며 정치학자인 마이클 로시(Michael Rossi)의 칼럼 “미국은 중앙아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The United States Must Deepen Engagement with Central Asia)” 를 게재했다. 칼럼은 국제 정세가 다극화됐을 뿐 아니라 중국이 주도하는 브릭스(BRICS)가 확장되는 추세이기에, 미국은 태평양과 대서양에서의 기존의 동맹 외에도 더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칼럼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이 있
미국 바이든 정부는 유럽, 일본 등 동맹국들과의 공조체제 속에서 중국에 대한 경제적·군사적 견제를 이어가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중국과 실익이 없는 대화를 계속 시도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바이든 정부의 이런 태도는 친중세력에게 마치 미국이 중국에게 양보하고 있는듯한 잘못된 신호를 주기도 한다. 지난 6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을 시작으로 재닛 옐런 재무장관과 존 케리 기후특사, 이어 8월에는 지나 레이도 상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다. 16일(한국시간) 현재는 브렌트 니먼 재무부 차관이 홍콩을 방문하고 있는 중이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15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방부 정책차관을 지낸 제임스 H. 앤더슨(James H. Anderson)이 기고한 칼럼 “중국을 향한 바이든 정부의 구애는 실패하고 있다(Team Biden’s conga line to China is on the road to failure)” 를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연일 이어지는 바이든 행정부 고위 관료들의 중국 방문이 나쁜 선례를 남길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이런 방문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칼럼은 중국 고위 관료가 마
중국이 대만해협에서 연일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중국의 침공으로부터 대만을 지켜내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기반으로 대만해협에서 중국과의 워게임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최근에는 대만에 첨단무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는 동아시아와 태평양이 한국과 일본 등 미국의 동맹국들은 물론이고 미국 본토의 안보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러한 준비로 인해 대만 공격이 어려워질 경우, 중국이 대만이 아닌 다른 곳에서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의 유명 군사전문지인 ‘19포티파이브(19FortyFive)’는 지난 9일(현지시간) 존퀸시애덤스연구소(John Quincy Adams Society)의 패트릭 폭스(Patrick Fox) 연구원과 중국 전문가인 개럿 에힝어(Garrett Ehinger)가 공동으로 기고한 “중국의 도발 시작점은 대만이 아닐 것(China Won’t Start With Taiwan)”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미국의 현 정책이 중국의 대만 공격을 막거나,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미국의 협력국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중국의 경제침체가 예상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달 공산당 원로들을 만난 자리에서 원로급 인사들의 연이은 조언을 들은 후 측근들에게 분노를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또 그는 오는 9일과 10일 인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도 불참할 예정이다. 영국의 유력 통신사인 로이터(Reuter)는 지난 4일(현지시간) 중국 경제를 주로 취재하는 조 캐시(Joe Cash) 기자가 작성한 “중국 경제기적의 상당부분 신기루였고, 이제 현실을 확인할 시간(Part of China's economic miracle was a mirage. Reality check is next)”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는 서두에서 시진핑이 지난 2013년 집권 직후에 내놓은 경제 개혁안을 설명하면서 “낡은 성장모델을 타파하고 2020년까지 서비스와 소비가 주도하는 서구식 자유시장 경제로 전환하겠다는 대담한 계획이었다”며 “하지만 중국의 막대한 부채와 과잉 생산을 심화시키는 낡은 정책으로 인해 이 개혁은 사실상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기사는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인 중국이 구조조정에 실패하면서 일본식 경기 침체로 천천히 접어들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더 심각한 경제
중국이 대만 침공을 위한 군사훈련과 전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만 국민당의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장완안(蔣萬安) 타이베이 시장이 중국 방문을 강행하면서 대만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장 시장은 중국 상하이와 대만 타이베이의 ‘트윈시티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달 29일 출국하면서 “대만은 민주주의 국가이므로 중요한 정책 결정에 대해 대조적인 의견이 있다(The Republic of China is a democratic country, so there will be contrasting opinions toward any important policy decision)”며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존중해달라고 호소한 바 있다.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타임즈(Taipei TImes)’는 2일(현지시간) “중국 방문에 대한 정밀한 감시가 필요하다(China visits need intense scrutiny)” ” 제하의 사설을 게재, 장완안 시장을 공격했다. 사설은 “대조적인 의견”을 언급한 장완안의 주장에 대해 대만은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그렇지 않다고 강조하면서 “중국은 대만
대만 침공을 준비하고 있는 중국이 북극해 빙원(ice floe)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서방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영토가 북극까지 이어져 있으면서 최근 중국 공산당의 선거 개입 논란을 밝혀낸 캐나다에서는 이 문제가 공론화되는 분위기다. 캐나다의 유력 매체인 ‘글로브앤메일(Globe and Mail)’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싱크탱크인 ‘맥도날드로리에 연구소(Macdonald-Laurier Institute)’ 수석연구원인 로버트 휴버트(Rob Huebert)의 칼럼 “중국이 캐나다의 북극해를 끊임없이 장악하려고 한다(China is on a relentless mission to control Canada’s Arctic waters)” 를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중국이 캐나다 인근 북극을 공략해온 것이 1999년부터라고 설명한 후 “최근 중국의 행동과 발표를 보면 이 지역에 군사력을 보유하려는 중국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칼럼은 중국이 북국에서 미국과 캐나다 등 자유진영 연합국의 잠수함을 추적할 수 있는 수중청음장치(underwater listening device)를 이미 개발했으며, 향후 2년 이내에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인 중국이 부동산 버블 붕괴와 자본 이탈, 수출 부진 등으로 신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시작되면 수년 내로 경제가 반등해서 정상궤도에 복귀할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구조적인 모순이 너무 심각하게 부각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공산주의 독재 체제가 계속되는 한은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영국의 경제전문지인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26일(현지시간) “중국 경제를 고쳐쓸 수 없는 이유(Why China’s economy won’t be fixed)” ” 제하의 사설을 게재, 후자에 가까운 입장을 표명했다. 사설은 서두에서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인류 역사상 가장 눈부신 성장 신화를 기록했으며, 농업 개혁, 산업화 및 소득 증가로 약 8억명의 빈곤을 해결했다고 설명한 후 “그런 중국이 2022년 연말 ‘코로나 제로’ 정책을 포기한 후에 회복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사설은 지난 2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3.2%에 그쳤다고 지적하고 “미국의 올해 성장률이 거의 6%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실망스러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1인당 소득이 중국보다 5배 가량 높은 미
미국 차기 대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화당 경선 토론회가 본격 시작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압도적인 지지율을 유지하면서 후보 지명이 유력한 상황이지만, 경선 토론회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주느냐에 따라 본선경쟁력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공화당 경선에서 핵심 이슈 중 하나는 자유세계를 위협하는 최대 빌런(villian)이 된 중국 공산당에 대한 대처다. 특히 공화당은 전통적으로 민주당에 비해 중국 등 공산진영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 왔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23일(현지시간) 텍사스 공공정책 재단(Texas Public Policy Foundation)의 부대표이며 캘리포니아 주의회 의원을 지낸 척 드보어(Chuck DeVore)가 공화당 경선 토론회를 앞두고 기고한 “공화당 토론에서 주시해야 할 중국 문제 3가지(3 critical China issues to watch out for in the Republican debate)” 를 제시했다. 드보어 전 의원은 경제파탄을 겪고 있는 중국 시진핑이 현재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면서 “그는 모든 경제 활동에 대한 절대
중국이 부동산 버블 붕괴로 경제난에 진입했지만, 일대일로(Belt and Road Initiative)를 확대하는 등 그간 세계 각국에 벌인 자금 공세로 상당한 경제적-외교적 영향력을 확보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유럽과 중동뿐 아니라 미국의 뒷마당(backyard)이라고 할 수 있는 중남미에서도 중국은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다. 하지만 스리랑카, 이탈리아 등 일대일로에 참여했던 국가들이 막대한 부채를 안고서 피해를 입는 사례가 확인되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이 반드시 좋을 수는 없다는 공감대도 확산되는 추세다. 중남미 역시 예외는 아니다. 미국의 자유보수 우파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19일(현지시간) 에릭 판스워스 미주 위원회(Council of the Americas) 워싱턴 지부장이 기고한 “중국의 수십억 달러가 중남미를 파괴하고 있다(China’s billions are destroying Latin America)”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미국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관련해서 초당적인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풋볼도 슈퍼볼에 진출하려면 먼저 자신이 속한 곳에서 경쟁하고 이겨야 하는데, 국제 정치도 마찬
조만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여겨지던 중국에서 심각한 경제위기가 시작되었다. 중국 당국도 경제난에 처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못한 채 수습책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영국의 유력 통신사인 로이터(Reuter)는 16일(현지시간) 마리우스 자하이라(Marius Zaharia) 기자가 작성한 “중국 경제는 얼마나 더 악화될까(How much worse can China's economic slowdown get?)”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자하이라 기자는 서두에서 중국 경제가 위기를 겪는 것이 처음은 아니라고 소개하면서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인 2015년 자본 유출 당시에도 경제가 흔들렸지만, 당시에는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를 앞세운 부양책과 부동산 투자 촉진책으로 위기를 넘겼다고 설명했다. 자하이라 기자는 “하지만 인프라 건설로 인해 너무 많은 부채가 발생했고, 부동산 거품은 이미 터져서 금융 안정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But infrastructure upgrades have created too much debt, and the property bubble has already burst
중국의 경제 침체와 디플레이션(deflation)이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9일 중국국가통계국은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0.3%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면 봉쇄를 하던 2021년 2월 이후 2년 반 만에 처음으로 물가가 하락한 것이다. 중국의 경제 규모는 미국 다음가는 세계 2위이며,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생필품을 생산한다. 따라서 중국 경제에 문제가 발생하면 세계 경제 전반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고 보는 게 일반적이다. 수요 감소로 인한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의 디플레이션이 중국에는 치명적이면서도 서방과 세계에는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어 눈길을 끈다. 미국의 경제전문 매체인 ‘비즈니스인사이더(Business Insider)’는 지난 9일(현지시간) 조지 클로버(George Clover) 기자가 작성한 “중국의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싸우는 세계 경제에 전화위복이 될 수 있다(Falling prices in China could be a blessing in disguise for the world economy'
지난해 12월, 한국군이 영공을 침범한 북한군 드론을 파괴하는 데 실패하고 제대로 탐지하지도 못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윤석열 정부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급기야 윤석열 정부는 오는 9월부터 드론 사령부(drone operation command)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지만, 북한 드론의 침공에 대해 어느 정도까지 억지력과 방어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에 대해 미국의 안보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11일(현지시간) 군사전문가인 미 육군대학(U.S. Army War College) 국가안보전략학부 라미 김(Lami Kim) 교수가 기고한 “한국은 드론 전략이 필요하다(South Korea Needs a Drone Strategy”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한국 정부의 드론 사령부 출범 계획이 원칙적으로는 환영할 일이라고 전제하면서도 “하지만 한국 정부는 대응 드론을 개발하고 사령부를 설립함으로써 무엇을 성취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Seoul has yet to clearly indicate what it seeks to achieve by developing drone
중국이 대만 침공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시진핑 주석은 지난달 31일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PLARF) 사령부관과 부사령관을 교체했다고 밝혔다. 경질된 두 사람은 부패 혐의로 입건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해협의 긴장이 점점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이 조치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디플로맷(The Diplomat)’은 7일(현지시간) 싱크탱크인 카토 연구소(Cato Institute)의 에릭 고메즈(Eriz Gomez) 선임연구원이 기고한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의 재편은 대만에 어떤 의미인가(What the PLA Rocket Force Shakeup Means for Taiwan)”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고메즈 연구원은 PLARF 상층부의 혼란은 중국군이 현대화 과정에서 받고 있는 만만치 않은 도전을 보여준다고 전제한 후 “시진핑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하던 개혁개방 기간에 군의 규율이 느슨해졌다고 보고 있다”며 “따라서 부패를 근절하는 것이 시진핑의 군사 개혁에서 핵심 목표 중 하나였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제20차 당대회가 끝난 지난해 10월에도 새로운 반부패 캠페인을 통해서 현역 장교들을 포함한 40여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