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소나무당 대표가 국민의힘을 향해 “박근혜를 태블릿 PC증거 조작 등으로 구속 기소한 칼잡이 윤석열을 영입하여 대통령을 만든 불쌍한 정당”이라며 “유승민, 이준석, 안철수, 홍준표를 모두 배제하고 칼잡이 용병을 데려와 권력의 꿀물을 먹던 국민의힘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22일 유튜브 송영길TV에는 이같은 내용의 송 대표의 16일자 옥중칼럼이 올라왔다. ‘윤석열 체포 구속영장 청구 수사 과정을 본 단상’이라는 제목으로 쓰인 이 칼럼을 통해 송 대표는 “윤석열과 국민의힘은 야당 정치인들 수사, 기소할 때는 이에 방어권 행사를 해온 야당 인사들을 비판해 왔다”며 “4.19 기념사 등에서 윤석열은 기념사를 통해 노골적으로 돈봉투 사건을 거론하며 수사 재판 중 사건에 사실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한동훈도 마찬가지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힘 의원들은 송영길, 이재명, 뉴스타파 등 수많은 야당 정치인과 비판 언론인을 수사 기소하면서 수백 번 압수수색영장 집행과 별건 수사, 증거 조작, 은폐 등을 밥 먹듯이 해온 검찰 수사를 옹호해 왔다”며 “죄 없으면 수사받으면 재판받아 무죄를 입증하라고 윽박
손혜원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대집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 등 소나무당 관계자들을 비롯해, 안진걸 민생경제연구 소장, 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 등 총 24인의 진보·보수 지식인들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향해 “윤석열, 한동훈 등의 태블릿 조작수사 사건에 대해 즉각 수사를 개시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23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2022년 6월 17일,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는 과거 JTBC가 보도하고 검찰에 제출한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과 관련한 조작수사 문제로 김용제 검사, 김종우 검사, 강상묵 검사를 공수처에 고발했다”며 “세 검사들은 태블릿 실사용자인 김한수 청와대 행정관이 태블릿 요금을 처음부터 끝까지 납부해온 사실을 은폐하기 그 물증인 태블릿 SK텔레콤 이동통신 신규계약서를 위조하는 데 가담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태블릿 신규계약서 위조 사건은 미디어워치 측에서 여러 차례 전문 필적 감정 기관에 필적 감정을 의뢰, 심지어 SK텔레콤이 태블릿 신규계약서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취지로 제출한 청소년 계약서까지도 김한수의 필적으로 확인돼 결국 계약서 조작 사실이 사실상 확정되었다”며 “그그러므로 공수처는 김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가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어있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윤 대통령 본인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태블릿 조작 실상을 파헤친 자신의 저서 ‘나는 그해 겨울 저들이 한 짓을 알고 있다’를 자필 서명하여 22일자로 발송했다. 변 대표는 “검사 출신 윤석열이라면, 이 책을 읽는 즉시 장시호 제출 태블릿을 본인과 한동훈, 김영철 등이 소속된 박근혜 국정농단 특검수사 제4팀에서 전면 조작한 것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윤석열은 보수 원로들을 만나 자신은 술만 마셨고 박근혜 수사 관련 모든 조작은 한동훈이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는데, 그렇다면 한동훈, 김영철 등이 태블릿을 조작했는지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공개 요청했다. 변 대표는 태블릿 조작 문제와 관련 JTBC의 고소로 명예훼손죄 형사재판을 받고 있다. 이 재판에서 윤석열, 한동훈, 김영철, 정민영 등 특검수사 제4팀이 장시호 태블릿을 조작한 수사보고서가 증거로 인용되며 변 대표는 1심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은 바 있다. 이에 대해 변 대표는 윤 대통령 등에게 2억원대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 중이고, 최근 재판부는 서울중앙지검에 특검 제4팀이 장시호 태블릿을 수사한 포렌식 기록과 증거,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가 “정청래 소추위원에게 (윤석열 정권 검찰의) 이창수 검사, 조상원, 검사, 최재훈 검사 탄핵소추 심의 때, 송영길을 증인 채택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유튜브 ‘송영길TV’는 20일 “정청래 탄핵소추 위원에게 요청한다. 송영길을 탄핵심판 절차에 증인으로 채택해 줄 것을.헌법재판관들에게 위 검사3인에 대한 헌법과 법률 위반에 대해 생생하게 증언할 기회를 주시길 요청한다”는 내용의 송 대표의 옥중칼럼을 게재했다. 송 대표는 “나에게 9년을 구형한 검찰. 송영길의 석방을 최대한 막기 위해 사활을 걸었을 것이다. 바로 그들의 탄핵소추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내가 불구속되었으면 김건희 구속기소에 총력 투쟁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1년 동안 100번 넘게 나의 주변을 압수수색한 검찰, 장시호와 부적절한 유착의혹으로 태블릿PC 등 증거조작 혐의를 받는 김영철 검사, 주가 조작으로 23억 이익을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김건희, 최은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을 압수수색, 소환조사 한번 없이 무혐의 처분한 최재훈, 수사브리핑 때 허위 수사 보고를 한 최재훈. 그들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 부장 검사들로 나를 수사하고
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의 청와대 문건 열람설을 전면 부정하는 사실조회 결과를 법원에 알려온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과거 서울중앙지검장 시절에 관련 검찰의 허위·조작 수사보고서를 인용해 태블릿을 최서원(개명전 최순실)의 것으로 규정했던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일 전망이다. 대한민국 국회는 2017년 10월 23일 서울중앙지검에서 국정감사를 열고 탄핵 정국 당시에 검찰이 소위 ‘최순실 태블릿’을 최서원의 것으로 규정했던 근거에 대해서 물었다. 이에 대해 윤석열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은 “결정적으로 이것이 최순실 씨 것으로 검찰이 판단한 이유는 정호성과 최순실 사이에 휴대폰 문자에서 '지금 보내드립니다'라고 하는 게 있고, '다시 받았다'라고 하는 문자가 있는데 그 사이에 이 태블릿pc를 통해서 문서가 이메일로 넘어갑니다. 그런 것으로 봤을 때, 이게 최순실 씨가 사용한 것이 아니냐 (라는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윤석열 지검장의 당시 국정감사 답변은 이후 최서원 씨의 태블릿 환부 민사재판 1심 판결에서도 법원이 태블릿이 최서원의 것으로 규정하는 중요한 근거로 제시됐으며, 이는 검찰의 태블릿 실사용자 관련 최종 입장으로 법조계에서도 널리 인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과거 JTBC 방송사가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의 증거로 제시한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에서의 드레스덴 연설문 열람 여부는 확인이 되지 않는다고 법원에 공식 답변했다. 국과수는 지난 7일자로 서울고등법원 제13민사부(재판장 문광섭) 앞으로 보내온 보충질의 사실조회 회신을 통해 ‘최순실 태블릿’에서의 드레스덴 연설문의 저장 여부는 확인되나 열람 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이는 2016년 10월 18일경부터 2016년 10월 25일경 사이에 JTBC 방송사 측과 검찰 측에 의한 증거훼손 때문이라고 알려왔다. 국과수의 이번 회신 내용은 지난달 10일자 서울고법 사실조회 회보서 내용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국과수는 지난 회보서에서 ‘최순실 태블릿’의 박근혜 정권 기간 전체 청와대 문건들 ‘전체’에 대해서 저장 여부는 확인되나 열람 여부는 확인할 수가 없으며, 이는 역시 2016년 10월 18일경부터 2016년 10월 25일경 사이에 JTBC 방송사 측과 검찰 측에 의한 증거훼손 때문이라고 전했던 바 있다. 이후 미디어워치는 청와대 문건들 중에서 드레스덴 연설문에만 국한해 ‘최순실 태블릿’에서의 저장 여부와 열람 여부 및 관련 증거훼손 문제에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2017년 11월 27일, 오후 2시부터 뉴스1, JTBC 방송사를 비롯한 당시 거의 전 언론매체에서 검찰발로 “최순실 씨의 태블릿PC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결과 수정·조작의 흔적이 없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하는 기사가 쏟아졌다. 대개 기사들은 서울중앙지검 관계자의 입을 빌려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씨 등 공판 관련해서 법원에서 실시한 태블릿PC 국과수 감정결과가 회신됐는데, 검찰 분석보고서 내용과 대체로 동일하고 수정·조작의 흔적이 없다는 취지였다”고 보도했다. 이에 최서원(개명전 최순실) 측의 이경재 변호사는 당시 발끈하여 반박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경재 변호사는 “국과수 감정결과 보고서를 감정을 신청한 우리도 갖고 있는데 ‘조작 흔적이 없다’는 식의 보도는 거짓말”이라고 강조했다. 이경재 변호사는 “검찰 관계자가 국과수 보고서를 보고서도 그런 말을 했다면 이는 허위사실 유포고, 못 보고 얘기했다면 실언이다”라고 하면서, “보고서 어디에도 ‘조작 흔적이 없다’ 든지 하는 문구는 전혀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러나 이경재 변호사의 이러한 반박을 미디어워치를 제외하곤 그 어떤 언론도 인용해 보도하지 않았다. 실
서울구치소에 수감중인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가 “윤석열을 서울구치소에서 만나리라는 희망을 갖고 오늘도 버틴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유튜브 송영길TV에는 “오늘 선종문 변호사님 편에 송영길 대표님의 첫 번째 펀지가 도착을 해서 올려드린다”라는 글과 함께 송 대표의 옥중 편지가 게재됐다. 송 대표는 ‘[다시 서울구치소에 들어온 단상] #Ep.1’이라는 제목으로 “전부 무죄판결 또는 공소기각판결을 기대했다. 일부 유죄판결을 하더라도 법정구속을 하리라 예상 못 했다. 황망하다”며 “담요 두 장에 추운 겨울밤을 견디기 힘들었고 코피가 쏟아지고 혈압이 190까지 올라갔다”고 자신의 상황을 전했다 그는 “다음날 아내와 딸, 아들이 면회를 왔다. 아이들이 울지 않고 씩씩해서 고마웠다. 접견하러 가는 길에 정작 제가 눈물이 나 화장실에서 세수를 하고 들어갔다”며 “변호사를 접견했다. 돈봉투 사건과 특가법위반(제3자뇌물)건이 무죄 판결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 정말 나쁜 놈들이다. 윤석열 내란수괴의 주구들이다. 김건희의 사악이다”라고 분노했다. 이어 “증거가 차고 넘치는 도이치 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압수수색 한 번 안 하고 소환조사 한번 없이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을 감정했던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이 태블릿에 조작·변조가 없었다는 식의 결론은 기관 차원에서 내리지 않았었다고 법원에 알려왔다. 13일, 미디어워치는 지난 7일자로 서울고등법원 제13민사부(재판장 문광섭)를 통해 회신받은 국과수의 보충질의 사실조회 회보서를 공개했다. 사실조회 내용은 과거 2017년 11월 23일자 국과수의 ‘최순실 태블릿’에 대한 디지털분석감정서에 기술된 “무결성 훼손” 등 내용의 의미에 관한 것이다. 앞서 미디어워치 측은 서울고법을 통해 국과수 측에 “국과수는 태블릿에 무결성이 유지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에 대해 JTBC 방송사, 검찰, 일부 지방법원이 ‘국과수가 태블릿에 인위적 조작·변조가 없다고 밝힌 것’이라고 전했는데, 국과수가 기관 차원에서 실제로 그런 결론을 내렸던 것이 맞는지 알려달라”는 취지의 질의를 했다. 이에 대해 이번에 국과수 측은 “(국과수 기관 차원에서) 인위적 조작·변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답변했다. 그간 JTBC 방송사, 검찰, 일부 지방법원이 국과수의 권위를 사칭해 “국과수는 ‘최순실 태블릿’ 인위적 조작·변조를 부정하는 입장을 밝혔다”면서 호도를 해왔었다는 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태블릿 명예훼손 항소심 재판을 맡고 있는 서울중앙지방법원 엄철 재판장을 고발한 사건에 대해 “계속 수사중”이라는 입장을 변희재 대표에게 알려왔다. 공수처는 13일 오전 9시경 “귀하께서 엄철를 상대로 제출한 고소장(고발장ㆍ진정서)은 2024년 08월 27일 우리 처 2024년 공제497호로 접수되어 현재 계속하여 수사 중에 있다”며 “앞으로 필요한 보완수사를 거쳐 위 사건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처리할 예정”이라는 문자를 변 대표에게 발송했다. 앞서 지난해 8월경 변 대표는 엄철 부장판사가 불공정하게 재판을 주도하고 있다는 이유로 그를 공수처에 고발했던 바 있다. 아울러 변 대표는 태블릿 항소심 재판부 기피신청을 비롯해 엄 부장판사에 대한 민사소송도 제기했다. 당시 변 대표는 엄 부장판사가 재판 과정에서 김한수 전 청와대 행정관 등 증인 신청을 일방적으로 기각하고, 간이기각이라는 편법으로 자신이 신청한 기피신청을 기각시켰다고 지적했다. 이후 변희재 대표는 조희대 대법원장에게 보내는 공개 서신을 통해 “현재 서울중앙지법에서 법관으로 일하고 있는 제 지인을 통해서 ‘재판에 성실히 참여하면 구속은 시키지 않고 집행유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앞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최순실 태블릿’ 조작 문제로 윤석열 대통령과 김한수 전 청와대 행정관 등을 고발한 사건에 대하여 “현재 계속해 수사 중에 있다”고 변 대표 본인에게 알려왔다. 지난 11일 미국에서 귀국한 변희재 대표에 따르면 공수처는 오늘(13일) 오전 9시 50분 변 대표에게 “귀하께서 윤석열 등을 상대로 제출한 고소장(고발장‧진정서)은 2022년 12월 29일 우리 처 2022년 공제323호로 접수되어 현재 계속하여 수사 중에 있다”고 문자메세지를 보냈다. 공수처는 아울러 “귀하께서 김한수 등을 상대로 제출한 고소장(고발장‧진정서)은 2023년 12월 04일 우리 처 2023년 공제817호로 접수되어 현재 계속하여 수사 중에 있다”며 “앞으로 필요한 보완수사를 거쳐 위 사건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처리할 예정”이라고도 전했다. 앞서 지난 2022년 12월 초 변희재 대표는 ‘제2의 최순실 태블릿’(일명 장시호 태블릿. 최서원 씨의 조카 장시호 씨가 특검에 제출한 기기) 조작과 관련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당시 법무부 장관) 등을 증거인멸, 허위공문서작성, 모해위증,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본인은 지난해 9월 28일, 결혼식을 마친 뒤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신혼여행을 떠났고 이후 이곳 LA로 들어와 미국 정부에 정치적 망명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본인은 ‘JTBC 태블릿’ 명예훼손죄 형사재판 항소심에서 엄철·이훈재·양지정 판사 등에 의해 증거신청과 증인신청이 모두 기각당하고 2차 구속 위기에 몰리게 되었습니다. 이는 당연히 태블릿 조작의 진실을 영원히 파묻으려는 윤석열 정권과 문재인 인사들의 음모일 것입니다. 박근혜 사기 탄핵 때부터 이들과 공모해온 MBC, 조선, 동아, 중앙, 한겨레 등 기득권 어용 언론들도 태블릿 조작의 진실을 뻔히 알면서 8년 내내 은폐해온 실정이었습니다. 구속 자체가 두려운 게 아니라 또다시 2차 구속을 당하면 더 이상 태블릿 진실투쟁의 동력을 잃을 게 뻔해 본인은 미국에서 망명 투쟁을 계획했던 것입니다. 미국 망명 준비 상황에서 일본 산케이신문의 해외판인 재팬포워드를 비롯, 아시아타임스, 더포스틸매거진 등의 매체에서 제 소식을 심도있게 다뤄주었습니다. 반면 한국의 어용언론들은 현직 대통령의 범죄를 폭로하려 미국에 망명한 언론인의 소식을 일체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두 달여의 준비 끝에
[Byun Hee-jae, CEO of Media Watch] Cho Kuk, leader of the Cho Kuk Innovation Party, has ultimately been sentenced to a two-year prison term by Yoon Suk-yeol, Han Dong-hoon, and their prosecution faction. He is expected to be imprisoned soon. Byun explains that since 2020, he and his team have been advocating for public awareness on the tablet manipulation crimes allegedly committed by Yoon Suk-yeol and Han Dong-hoon. This included holding press conferences, such as the one outside of Cho Kuk’s office, who was then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Law School. Over three years, Byun pu
[Byun Hee-jae, CEO of Media Watch] Kwon Seong-dong, the leader of the People Power Party and former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s Judiciary Committee who handled the impeachment process during Park Geun-hye’s impeachment, visited the Constitutional Court. He reportedly urged the court to immediately dismiss the impeachment motion following Democratic Party’s Jung Chung-rae’s suggestion to exclude charges of treason and criminal offenses from the impeachment proposal. Without the charge of treason, Park Geun-hye was, instead, charged for avoiding investigations by Yoon Suk-yeol’s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