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3년 9월 11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특임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한국에서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심포지엄 개최(韓国で慰安婦強制連行否定のシンポ開催)’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한국에서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심포지엄 개최(韓国で慰安婦強制連行否定のシンポ開催) 9월 5일, 위안부 강제연행-성노예설을 부정하는 일본과 한국 양국의 학자, 활동가들이 모여 서울에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런 입장의 일·한 심포지엄이 한국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장에는 양국의 국기가 크게 그려진 현수막이 내걸렸고, 개회식에서는 한국의 애국가 제창에 이어 기미가요(君が代) 제창이 있었다. 한국인이 대다수인 100여명의 청중 중에는 큰 소리로 기미가요를 부르는 사람들도 있었다. 재판에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검찰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영상 참여),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국제역사논전연구소 회장 등의 축사에 이어 일본 측 3명(필자, 야마모토 유미코(山本優美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파헤쳐온 한국과 일본의 양국 지식인들이 지난 5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제2차 위안부문제 한일 합동 심포지엄’을 열고 ‘위안부 문제의 실태와 한일 교과서 서술’ 문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나눴다.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까지 기재된, “위안부는 일본군에 의해 강제연행되어 성노예가 되었다”라는 위안부 문제 관련 기존 통설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는 양국의 전문가들이 한국에서 이러한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자유통일을 위한 국가 대개조 네트워크’가 주최하고 ‘위안부사기 청산연대’가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일본 레이타쿠(麗澤)대학 특임교수,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국제역사논전연구소 이사장, 야마모토 유미코(山本優美子) 나데시코액션 대표, 마츠키 쿠니토시(松木國俊) 국제역사논전연구소 수석연구원 등 일본 측 위안부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 측 위안부 전문가들도 이영훈 이승만학당 교장,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주옥순 위안부사기 청산연대 대표 등이 함께 하면서 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한
“위안부 문제는 일본 좌익이 고안하고 한국 좌익이 확산시킨 국제 사기극이다” 시민단체 ‘자유통일을 위한 국가 대개조 네트워크’(대표 김학성)가 내달 5일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제2회 ‘한일 합동 일본군 위안부 문제 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움은 지난해 11월 도쿄에서 개최된 한일 합동 심포지엄에 이은 두 번째 심포지움이다. 주최 측은 펜앤드마이크 등 언론사들에 이번 심포지엄의 취지로 “한일 양국 간의 첨예한 외교 현안인 위안부 문제는 실제로는 일본에서 시작된 것으로, 한국의 좌익 활동가들이 이를 국제적 이슈로 발전시키면서 한일 양국 관계 파탄의 원인이자 두 나라 관계 회복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한일 양국의 지식인들이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국내외적 동향을 분석하고 그 대책을 강구할 목적으로 이번 심포지움을 개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한일 양국의 지식인들 3인이 각 주제로 발표를 한다. 먼저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일본 레이타쿠대학 특임교수가 ‘일본에서 시작된 위안부 문제’라는 주제로,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가 ‘위안부 문제의 사법화: 역사논쟁에서 법적 다툼으로’라는 주제로 발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