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un Hee-jae, CEO of Media Watch] Cho Kuk, leader of the Cho Kuk Innovation Party, has ultimately been sentenced to a two-year prison term by Yoon Suk-yeol, Han Dong-hoon, and their prosecution faction. He is expected to be imprisoned soon. Byun explains that since 2020, he and his team have been advocating for public awareness on the tablet manipulation crimes allegedly committed by Yoon Suk-yeol and Han Dong-hoon. This included holding press conferences, such as the one outside of Cho Kuk’s office, who was then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Law School. Over three years, Byun pu
[Byun Hee-jae, CEO of Media Watch] Kwon Seong-dong, the leader of the People Power Party and former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s Judiciary Committee who handled the impeachment process during Park Geun-hye’s impeachment, visited the Constitutional Court. He reportedly urged the court to immediately dismiss the impeachment motion following Democratic Party’s Jung Chung-rae’s suggestion to exclude charges of treason and criminal offenses from the impeachment proposal. Without the charge of treason, Park Geun-hye was, instead, charged for avoiding investigations by Yoon Suk-yeol’s special
[ Byun Hee-jae · CEO of MediaWatch ] Ahead of the 2020 general elections, MediaWatch CEO Byun Hee-jae predicted that Hwang Kyo-ahn’s conservative opposition party would suffer a defeat with fewer than 100 seats. The Yeouido Research Institute, which was responsible for formulating the opposition party’s election strategy, and Park Hyung-jun, the co-head of the campaign committee at the time, also warned that “fewer than 100 seats is a danger.” Convinced of a crushing defeat, Hwang Kyo-ahn repeatedly apologized to the public, bowing deeply at Jong-ro. Ultimately, Hwang Kyo-ahn confirmed his par
개혁신당 조대원 최고위원이 대구경북 유튜브 채널인 ‘강수영’의 이바구에 출연, “이준석, 천하람은 당당히 나와 공개토론하자”고 공식 제의했다. 개혁신당은 최근 허은아 대표가, 이준석의 오른팔인 김철근 사무총장을 해임했다. 그러자 이준석이 불법적으로 당무에 개입, 6명짜리 노조를 움직여 허 대표를 음해비방하고, 당원소환제를 통해 허 대표를 제거하려는 등 개혁신당이 일대 혼란에 빠져있다. 이에 대해 조대원 최고위원은 “애초에 김철근 사무총장의 월권이 문제가 되었고 문제가 되자 심지어 사무처 직원들이 사무총장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당헌당규를 개정하여, 슬쩍 통과시키려다 적발되기도 했다”며, “이 모든 당의 혼란 배후에는 이준석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 최고위원은 “이준석 본인이 국민의힘 당대표직에서 쫓겨났기 때문에 개혁신당은 당대표 권한을 대폭 확대해놨는데, 그러다보니 허은아 대표를 강제로 쫓아낼 절차가 없어 당무에 개입하여 불법, 탈법도 저지를 태세”라 비판했다. 조 최고위원은 “지난 총선에서 나도 대구에서 7%를 얻는 등, 40여 명의 지역구 출마자들이 2%, 3% 표를 모아 만든게 개혁신당인데, 김철근 사무총장 등은 이들마저 제거하면서 이준석 1인
MBC가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이 빠르게 이뤄졌다는 내용의 책을 썼다는 이유로 김재호 전남대 교수를 비난하는 보도를 내놓은 가운데, 김 교수는 해당 보도가 “심각한 편파 왜곡 방송”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앞서 지난해 12월 2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경제사의 흐름을 파헤친 신간, 『Economic History of Korea: An Overview』 발간>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이 책(이하 한국경제사 개관)을 홍보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한국경제사 개관은 구석기 시대부터 고조선,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리고 개항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경제구조와 그 변화에 초점을 맞춰 한국사 전체를 종합적으로 조망한 책이다. 연구원은 특히 “한국인만의 시각이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페러다임을 제시한 점이 특징”이라고도 강조했다. 이에 지난 1일 MBC 뉴스데스크는 <"일제 덕에 경제성장"‥혈세로 '식민지배' 미화> 제하 보도를 통해 김재호 교수를 비난하고 나섰다. MBC는 “(일제강점기) 산업화와 경제 성장이 상당히 빠르게 이뤄졌다.”, “조선 왕조와 달리 식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파나마 운하를 미국이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앞서 미국은 자신들이 건설한 파나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지미 카터 행정부 시절 파나마에 양도했으며, 미국 내에는 트럼프를 비롯해서 이를 한탄하는 인사들이 많다.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5일(현지시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부보좌관 겸 비서실장을 지난 알렉산더 그레이(Alexander Gray)의 칼럼 “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박근혜 탄핵 당시 뇌물죄는 지엽말단적인 부분에 불과하여,삭제하였다는 거짓해명을 한 바 있다. 또한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 등은 국회 측 변호인들의 속기록을 근거로 “헌법재판소에서 내란죄 삭제를 권유했다”며 내통 의혹 또한 제기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절대 그런 일 없다”며 펄펄 뛰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 탄핵 당시에는 강일원 재판관이 권성동 당시 탄핵소추위원장에게 뇌물죄 등 형사범죄 삭제 등 국회탄핵소추안을 새롭게 작성하도록 지시한 기록이 그대로 남아있다. 만약 현재의 권성동, 주진우 등의 헌법재판소와 국회탄핵소추단의 내통 관련 비판 기준이라면 박근혜 탄핵 때는 내통이 확정된 것으로 탄핵 전면 무효의 근거가 될 수 있다. 권성동과 강일원의 내통에 관련해선 당시 박근혜 측 변호인단인 김평우, 정기승, 조현령 변호사의 2017년 2월 22일 의견서에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김평우 변호사 등은 강일원 재판관이 국회에서 의결된 13개의 탄핵안을 자의적으로 4개의 헌법위반 사례로 정리해오라고 지시를 하고, 권성동은 종전의 40쪽의 국회 탄핵안을 70쪽으로 대폭 늘려 완전히 새롭게 작성해왔다고 비판했다. 뇌물죄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박근혜 탄핵 당시 국회법사위원장으로서 소추를 맡았던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가 헌법재판소를 찾았다. 민주당 정청래 법사위원장의 “탄핵소추안에서 내란죄 형사 범죄 제외” 관련 헌법재판소는 즉각 탄핵안을 기각시키라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뇌물죄 빠진 박근혜. 결국 윤석열 특검의 수사기피가 탄핵 사유로 그러나 권성동은 자신이 박근혜 탄핵 소추를 맡았을 때 당시 강일원 헌법재판관과 긴밀히 상의하여 뇌물죄 등 형사범죄를 제외시켰다. 헌법재판소는 이를 그대로 인용, 이른바 국회의 탄핵소추안에서 핵심 범죄를 제외시켜도 헌재에서 탄핵 심리를 계속 진행해도 된다는 판례를 만들어버린 것이다. 이 당시 김평우, 정기승 등 박근혜 측 변호인단은 지금의 권성동처럼 “탄핵소추안의 중요 내용을 제외하려면, 국회 재의결이 필요하다”는 공식 변론서까지 제출했다. 그러나 강일원과 권성동은 이런 정당한 항의를 짓밟고 박근혜 탄핵을 성사시켰다. 결국 뇌물죄 등 형사 범죄가 제외된 박근혜의 탄핵사유는 기업자유 침해와 헌법수호의지 결여라는 흐리멍텅한 내용으로 채워졌다. 특히 헌법수호의지 결여 근거로 당시 헌법재판소는 박근혜가 윤석열 특검의 수사를 기피했다는 점을 들었다
미국 민주당은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참패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오는 6일 취임식을 앞두고 있다. 이번 대선 패배의 내용을 보면 지난 2016년 대선보다도 더 심각하다. 2016년 대선에서는 민주당이 선거인단 수에서는 졌지만 총 득표수에서는 이긴 반면, 2024년 대선에서는 총 득표수에서도 공화당 트럼프 후보가 압도했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참패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 과도한 복지 정책과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 경찰력 약화와 이민정책 완화로 인한 범죄율 증가 등이 손꼽힌다. 이에 대해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2일(현지시간) 마케팅 그룹인 스태그웰(Stagwell)의 마크 J. 펜(Mark J. Penn) 대표이사가 기고한 칼럼 “민주당은 클린턴 시대의 온건 정책을 포기한 대가를 치른 것(Democrats paid the price for abandoning moderate Clinton-era policies)”을 게재했다. 칼럼은 90년대 민주당의 전성기를 열었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중도-온건좌파 정책을 언급하면서 “당시 민주당의 정책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면서도 기본적으로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동대구역의 가짜 박정희 동상 관련, 홍준표의 대구시와 작가 이상태가 매우 이상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해당 동상은 대구시민 포함 국민의 세금 6억원을 대구시가 집행하여 제작되었다. 세금을 낸 국민, 그리고 예술 감상자 입장에서 얼마든지 “박정희 대통령과 닮지 않고 홍준표 시장과 닮았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에 대해서 국민 대신 세금을 집행한 대구시가 답변을 해야한다. 그런데 홍준표 시장과 대구시는 뒷짐만 쥐고 있고, 국민세금 6억원을 받아 동상을 만든 작가는 불만을 제기하는 국민들을 상대로 “무식하다”고 호통을 치고 있다. 이상태 작가는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의 의도이자 제작의 의도”라며 “더 이상의 논란은 종식됐으면 한다”고 스스로 결론을 내리고 있다. 또한 “대구시가 제시한 원본 사진을 비교하면 알겠지만, (홍 시장을) 닮았다고 하는 건 아예 그냥 잘못된 것”, “정치적 의도”라고 당연한 의혹제기를 원천봉쇄 하러 나섰다. 더팩트와의 인터뷰에서 아예 “입체예술의 미학을 모르는 자들”이라는 말까지 한다. 이상태 작가가 하도 예술가로의 권위를 내세우니 미리 지적하지만 필자 본
[ 변희재·미디어워치 대표이사 ] 2020년 총선을 앞두고 필자는 당시 황교안의 보수야당이 100석 이하로 참패할 것이라 예상했다. 보수야당의 선거전략을 짜는 여의도연구소, 당시 공동선대본부장을 맡은 박형준 부산시장도 “100석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대패를 확신한 황교안 대표는 종로에서 큰절을 하고 다니며 국민들 앞에 사죄를 거듭하고 있었다. 결국 황교안 대표는 개표 도중에 대패를 확인, 당대표직에서 사퇴하고 잠적했다. 필자를 포함 많은 분석가들이 당시 총선에서 보수야당의 대패를 예상했던 것과 달리, 가로세로연구소의 강용석 등 보수유튜버들은 보수야당의 180석 이상 대승을 장담했다. 보수야당 승리를 바라는 보수유권자들은 이런 거짓선동 유튜버에 후원금을 몰아주었다. 이렇게 보수유권자들을 속여서 후원금을 챙긴 유튜버들이 계속해서 후원금을 타낼 방법은 부정선거라는 2차 거짓선동을 이어가는 것뿐이었다. 당연히 가장 화끈하게 보수야당 승리를 장담해온 강용석이 깃발을 들었다. 이들은 일베에서 나도는 서울 경기, 인천의 사전투표의 관내외 여야 투표비율이 63:36으로 비슷하게 나올 확률이 ‘달과 지구가 충돌할 확률’이라는 거짓선동 문구를 들고 나왔다. 이에 대해 경희
유력 영자신문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결정을 이끈 JTBC 방송사의 ‘최순실 태블릿’ 보도가 한국에서 8년째 진위 논란에 휩싸여있다는 사실을 거론하면서 현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과 관련 한국 언론들의 보도도 역시 추후 논란에 휩싸일 수 있는 선정성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는 분석기사를 게재했다. 홍콩과 캐나다를 기반으로 한 외신인 ‘아시아타임스(Asia Times)’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요시다 켄지(Yoshida Kenji) 재팬포워드 기자와 제이슨 모건(Jason M. Morgan) 일본 레이타쿠대학 교수가 공동으로 기고한 “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대구시 동대구역 광장에 설치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얼굴이 홍준표 대구시장과 닮았다며 이를 철거해야함을 주장하고 나섰다. 현재 망명 수속 등을 위해 미국 LA에 거주 중인 변 대표는 26일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에 이러한 내용의 민원신청서를 대리인을 통해 우편으로 발송했다. 그는 민원 신청서를 통해 “대구광역시 동대구역 박정희 광장에 설치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의 얼굴은 박 전 대통령을 전혀 닮지 않았다”며 “오히려 홍준표 대구시장과 훨씬 닮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동상 얼굴이 홍준표 시장을 닮게 된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 달라”면서 동상이 철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5일 박희석 월간조선 기자은 유튜브 ‘여의도24’ “6억짜리 '박정희 동상'에서 '홍준표'가 보이는 '착시' 효과”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린 바 있다. 박 기자는 해당 동상을 두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얼굴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왠지 홍준표의 느낌이 있다. (동상이) 홍준표를 닮았다고 얘기하기도 어렵지만 얼핏 홍준표의 느낌이 난다. 여러분들도 한번 보고 판단해 보셔라”라고 강조했다. 차명진 전 의원 역시 SNS에 “홍준표 시장님. 박정희 대통
미국 대선에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식을 20일 남짓 앞두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해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신속하게 끝내겠다는 입장을 수 차례 밝힌 바 있다. 휴전 또는 종전을 위한 관건은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에 대한 미련을 아직 버리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럼프 당선 이후인 지난달 29일 영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점령되지 않은 우크라이나 지역을 나토에 편입시켜달라는 제안을 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24일(현지시간) 정치학자이며 러시아 전문가인 사무엘 차랍(Samuel Charap)이 기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