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중공(중국 공산당 정권)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공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6.8%를 기록했다. 중공이 국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로 마이너스 성장은 처음이다. 경제성장 둔화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공고했던 정치적 지위까지 흔들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영국의 경제신문인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 이하 FT)’는 29일(현지시각) 돈 웨인랜드(Don Weinland) 기자가 작성한 분석기사 ‘중공의 경제성장 둔화가 시진핑을 정치적 곤경에 빠뜨리다(China slowdown puts Xi in political bind)’를 게재했다. 웨인랜드 기자는 “시진핑은 2013년에 중공 주석이 되면서 2020년 기준 GDP를 2010년 대비 2배로 증가시키고 극빈층의 빈곤을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며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과 경제성장률 폭락으로 인해 올해 연말에 승리를 선언하려던 공산당의 희망이 사라졌다고 지적한다”고 보도했다. 웨인랜드 기자는 “중공 정부가 GDP를 올해 연말까지 2010년 대비 2배 상승시키겠다고 했을 때 중공 내 경제학자들은 최근 높았던
북한 독재자 김정은의 건강 상태에 대해 다양한 추측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김정은의 유고(有故) 다름 아닌 중국 공산당 정권(중공)에 큰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의 시사주간지인 ‘뉴스위크(Newsweek)’는 22일(현지시각) 데이비드 브레넌(David Brennan) 기자가 작성한 ‘김정은의 건강 악화, 중공에 새로운 악몽('CHINA'S WORST NIGHTMARE': WHY KIM JONG UN'S HEALTH IS A NEW HEADACHE FOR XI JINPING)’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브레넌 기자는 “북한과의 국경을 넘어온 예상치 못한 소식과 그에 따른 추측들은 이미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여파와 경제 붕괴로 고심하고 있는 중공 베이징에서 반갑지 않은 소식이 될 것(The unexpected news—and subsequent speculation—from across the border with North Korea will have been an unwelcome surprise in Beijing, where officials are already grappling with the COVID-19 co
지난 1월 독립파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이 압도적 표차를 기록하며 재선에 성공한 데 이어, 중공발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어한 국가로 세계의 주목을 받으면서 최근 대만 국민들과 언론의 자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우한폐렴 사태를 계기로 대만의 독립국가로서의 정체성을 다져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해서제기되고 있다. 대만의 영자신문인 ‘타이베이 타임즈(Taipei Times)’는 22일(현지시각) ‘대만, 바이러스 계기로 국가 정체성 다져야(Virus a time for Taiwan to iron out its identity)’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타이베이 타임즈는 “우한폐렴 발생 초기 단계에서 대부분 ‘하나의 중국’ 정책을 따르던 국제사회는 대만의 보건의료가 중공과 아무 연관이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며 “많은 국가들이 대만을 중공의 일부라고 여기고서 대만을 국제 보건의료 네트워크에서 왕따시켰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또 “우한폐렴 방역 과정에서 대만은 중공과 같은 취급을 받았다”며 “대만은 발병 지역의 일부로 취급되어 이탈리아 등에 의해 여행 금지나 제한 조치를 당했다(It was treated as p
중공에서 시작된 우한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세계 확산을 계기로 미국 언론이 연일 중공의 정보 은폐를 비난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 외무장관도 중공 공격에 가세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영국 BSkyB(British Sky Broadcasting) 계열의 뉴스채널인 ‘스카이 뉴스(Sky News)’는 16일(현지시각) 앨런 맥기네스(Alan McGuinness) 기자가 작성한 ‘도미니크 랍 외무장관, 우한폐렴 사태 이후 중공과 평소와 같은 경제교류는 못할 것이라고 언급(No more 'business as usual' with China after COVID-19 crisis, warns Dominic Raab)’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맥기네스 기자는 ”우한폐렴 확진을 받은 보리스 존슨(Boris Johnson) 총리를 대행하고 있는 랍 외무장관이 우한폐렴이 중공에서부터 어떻게 확산됐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랍 외무장관은 공식 기자회견에서 “이 조사는 회피할 수 없는 것이며, 과학적으로 실행해야 할 것(I don't think we can flinch from that at all, it needs
중공에서 시작된 ‘우한폐렴(코로나 19)’으로 인해 전세계에서 185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11만명이 사망했음에도(한국시각 13일 기준), 여전히 중공이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전세계를 속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미국의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은 13일(현지시각) 바드 대학교(Bard College) 교수인 월터 러셀 미드(Walter Russel Mead) 미국 외교정책위원회 수석연구원이 기고한 ‘중공, 아직도 전세계에 우한폐렴 관련 거짓말을 하다(China Still Misleads the World on the Coronavirus)’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미드 연구원은 “전세계가 새로운 대공황을 막고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을 억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가운데, 중공은 전세계 수억명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힐 경제적 재앙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도 있는 중요한 정보를 내놓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미드 연구원은 “나는 중공 공산당이 지난 겨울에 우한폐렴 발생 사실을 은폐했다가 전세계에 재앙을 안겨준 사실을 거론하는 것이 아니다”며 “그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는 중공의 은폐 행위는 더욱 뻔뻔하며,
올해 11월 미국 대선은 중공에서 시작된 ‘우한폐렴(코로나19)’으로 인해 수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후에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친중 성향이 강한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고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의회전문지 ‘더힐(The Hill)’은 12일(현지시각) 자유주의 성향의 칼럼니스트인 크리스틴 테이트(Kristin Tate)가 기고한 칼럼 ‘조 바이든이 중국 앞에서 약해지는 이유(Why Joe Biden is weak on China)’를 게재했다. 테이트는 “미국인들은 외교 정책보다 자신의 생활에 더 신경 쓰는 경우가 많지만,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는 이 개념을 재평가할 상황을 맞이했다”며 “이 바이러스의 대유행 과정에서 중공이 한 역할과 외교관계 악화를 감안하면, 공산당 독재정권은 오는 11월 대선에서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중공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사실이 이번 대선에서 그를 몰락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테이트는 “중공은 우한폐렴의 규모와 범위에 대해 처음부터 세계에 거짓말을 했다”며 “초기 발생을 억제할 조치를 할 수 있었지만 그들은 3주 동
중공발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자국 내 확산에 분노한 인도가 대만과의 관계 개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만은 우한폐렴의 확산을 가장 모범적으로 제어한 국가로 평가 받고 있다. 대만 보건당국에 따르면, 4월 9일(현지시각) 현재 대만의 누적 확진자는 379명(사망 5명)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아시아의 강국인 인도가 대만과의 협력을 추진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의 인터넷매체인 악시오스(Axios)는 8일(현지시각) ‘인도, 우한폐렴 계기로 대만과 협력 확대(Indians look to Taiwan amid China's coronavirus missteps)’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악시오스는 “많은 인도인들은 코로나바이러스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중공과 WHO(세계보건기구)에 분노하고 있다(Many Indians are angry at China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 their perceived mishandling of the coronavirus)”며 “반면 대만이 보여준 투명하고 효과적인 대응은 인도에서 공감과 흥미의 대상이 됐다(The efficiency and tra
일본의 반공매체인 토오이츠닛포(統一日報, 통일일보)가 2020년 4월 1일자 1면 사진 기사로 지난달 24일에 있었던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의 태블릿PC 조작 문제 관련 기자회견 소식을 다뤘다. 신문은 ‘태블릿PC가 다른 사람의 것임을 증명(タブレットPCが他人の所有であることが証明)’ 제하 기사를 통해 “변희재 미디어워치 고문이 3월 24일 한국 국회에서 결국 3년 만에 지금껏 법정에서 한번도 검증되지 않았던 태블릿PC가 (최서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것임을 증명해냈다”고 보도했다. 토오이츠닛포는 “(변희재 고문은 본인 사건의) 법원을 통해서 이번 사실을 밝혀냈다”면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유죄 판결이 허위 증거와 허위 증언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이 확인된 셈”이라고 변 고문이 이번에 밝힌 사실의 의의를 보도했다. 이어서 토오이츠닛포는 “SK 텔레콤이 일단 법원의 사실조회에 대해 회신했다”며 “증거가 조작된 것으로 확인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무상 비밀누설죄는 재심이 청구되어야 한다”고 썼다. 토오이츠닛포(統一日報, 통일일보) 관련기사 : [토오이츠닛포] 태블릿PC 진실 -역사와 문명 앞에 진실투쟁은 계속된다 [토오이츠닛포] 일본 국민 여러분, 가짜
차이잉원 총통의 대만이 최근 몇 주간 중공의 잇단 군사적 도발에 한 치도 물러서지 않고 단호히 대처하고 있다.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을 제때 제어하지 못하고 전세계에 확산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중공(중국 공산당 정권)이 최근 자유진영의 대만을 향해서 수위 높은 군사적 도발을 여러 차례 감행했다. 대만의 영자신문인 ‘타이완뉴스(Taiwan News)’는 4일 케오니 에버링턴(Keoni Everington) 기자가 작성한 ‘중공 전투기가 레이더로 대만 전투기를 조준하다(Chinese warplane's radar locked onto Taiwanese fighter jet)’ 제하의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에 따르면 중공은 1월 23일, 2월 9일, 2월 10일, 2월 28일 각기 수 대의 전투기와 폭격기를 동원해 대만 인근을 위협 비행했다. 그 중에 최소 두 차례 중공의 비행단은 대만의 F-16전투기들과 공중에서 조우했다. 에버링턴 기자는 “우한폐렴 바이러스가 창궐한 이 상황에서 중공 공군은 최근 대만 인근에서 “분리주의자”들에게 경고를 하겠다는 목적으로 공격적인 훈련을 했다”며 “이 훈련엔 J-11 전투기와 H-6 전략폭격기, KJ-500 조
중공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모호성(strategic ambiguity) 정책은 한계에 다다랐으며 시진핑의 대만침공을 막기위해선 반드시 대만 방어를 약속해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 매체에서 나왔다. 이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대만-미국 버전이 필요하다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지난 1월 치러진 대만 총통 선거에서 압도적인 격차로 재선에 성공한 차이잉원 총통이 집권 2기가 시작된 후부터 선명한 독립 노선을 내세우고 있는 가운데, 중공(중국 공산당 정권)은 이를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연일 대만을 협박하고 있다. 이에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더힐(The Hill)’은 27일(현지시각) 조지프 보스코(Joseph Bosco) 한미문제연구소(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 비상임연구원이 기고한 ‘미국, 중공과 전쟁을 하지 않으려면 대만에 대한 방어를 약속해야(To deter war with China, US must commit to defend Taiwan)’ 제하의 칼럼을 기고했다. 보스코 연구원은 “리차드 닉슨 전 대통령이 지난 1968년에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그는 중공의 가혹한 자국민 탄압과 국제사회에서
‘우한폐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외신들이 중공 격리지역에 투입된 다양한 로봇에 우려 섞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화권 매체는 중공의 첨단 로봇기술과 바이러스 퇴치 노력을선전하기 위해 관련 뉴스를 보도하고 있으나, 서구권 매체는 이런 로봇기술이 중공의 사회 감시시스템 강화에 악용될까 우려하는 눈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중국, Covid-19와 싸우기 위해 로봇 활용 증가세(China steps up use of robots to fight Covid-19 epidemic)’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코로나19 발생 지역에서 활약하는 소독 로봇, 음식 로봇, 간호사 로봇, 순찰 로봇을 동영상 뉴스로 소개했다. 먼저 SCMP는 ‘토르원(Thor-1)’이라고 불리는 소독 로봇을 소개했다. 사람이 직접 코로나19 발병 지역에 나서기보다 원격조종할 수 있는 로봇을 투입해 감염 위험을 줄이면서 구석구석 소독 방역을 하기 위해 중공이 만들었다. 25일 미국 VOA도 이 로봇을 자사 유튜브 채널에 소개했다. VOA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일부 지역이 폐쇄된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25일 이 로봇에 대한 성능 시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을 적시에 통제하지 못하고 전세계를 전염시킨 중공(중국 공산당 정권)이 이번 사태를 빌미로 중공 인민들에 대한 국내 첨단감시 시스템을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미국의 경제전문 채널인 CNBC는 24일(현지시각) 아르준 카르팔(Arjun Kharpal) 아시아 특파원이 작성한 ‘중공이 우한폐렴을 빌미로 대중 감시 시스템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이 전망하다(Coronavirus could be a ‘catalyst’ for China to boost its mass surveillance machine, experts say)’ 제하의 기사를 송고했다. 카르팔 특파원은 “중공은 다양한 수단을 갖춘 기술력을 통해 광대한 감시 국가(surveillance state)를 구축했다”며 “그들의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은 점점 더 발전하고 있으며, 공산당은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 기술을 비롯해서 중공인들을 감시하고 추적할 효과적인 방법들을 계속 발굴해 내고 있다”고 밝혔다. 카르팔 특파원은 “또 중공은 텐센트(Tencent)가 소유한 메신저 어플 ‘위챗(WeChat)’과 알리바바(
최근 우한폐렴(코로나19) 확산을 제어하지 못하고 있는 중공(중국 공산당)이 자신들을 비판한 해외 언론인들을 추방하는 등 신경질적인 반응까지 보이며 폭주하고 있다. 대만 언론이 이러한 중공의 비정상적인 행태가 시사하는 점을 짚었다. 대만의 영자신문인 ‘타이완 뉴스(Taiwan News)’는 21일(현지시각) 데이비드 스펜서(David Spencer) 논설위원이 작성한 ‘中 공산당, 코너에 몰린 짐승처럼 아무나 공격하다(Like a cornered animal,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lashing out at everyone)’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스펜서는 중공이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 3명을 추방한 사건을 소개하면서, 중공 외교부 대변인이 “WSJ의 편집자들은 인종 차별적인 호칭을 사용함으로써 중국 국민들과 국제사회에서 분노와 비난을 불러일으켰다”는 성명을 발표한 사실을 전했다. 스펜서는 이 성명에 대해 “중공 외교부는 대체 자신들 외에 누가 WSJ 기사에 대해 분노했다는 것인지 아무 근거도 대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또 스펜서는 “WSJ의 홈페이지는 중국에서 접속이 차단되어 있기에, 중국 내에서 대체 누가 그 기
20일(한국시각) 현재까지 중공 내에서만 수천명의 사망자를 내면서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는 우한폐렴(코로나19 바이러스)이 지난 수년간 중공 경제를 목졸랐던 미국과의 무역전쟁보다 더 중공에 큰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경제전문지인 포브스(Forbes)는 19일(현지시각) 수석 칼럼니스트인 케네스 라포자(Kenneth Rapoza)가 기고한 ‘중공폐렴, 무역전쟁보다 중공에 더 치명적일 것(Coronavirus Might Do More Damage To China Than The Trade War)’ 제하 칼럼을 게재했다. 라포자는 “현재 중공에서의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관세장벽보다 더 빠른 속도로 중공에서 해외 기업의 공장들이 철수하게 될 수도 있다(The ongoing coronavirus epidemic in China may very well end up pulling factories out of China faster than tariffs)”고 전망했다. 라포자는 “미국 기업들은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지난 수개월 동안 외주 생산 공정을 중공에서 철수해 왔다”며 “하지만 진원지를 알 수 없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창궐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