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고재판소(대법원)가 27일 2차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 일본 최고재판소 제1소법정 사이구치 지하루(才口千晴) 재판장은 중국인 구(舊) 위안부 피해자와 유족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구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납치와 폭행은 인정하면서도 1972년 중일공동성명을 들어 "청구권이 없다"며 상고를 기각했다. 판결문에 따르면 현재 중국 산시(山西)성에 사는 80세 여성 등 2명(한명은 사망)은 13세와 15세였던 1942년 구 일본군 병사들에 의해 납치돼 군 시설 등에 감금됐다고 교도(共同)통신은 전했다. 특히 판결문은 "이들은 구 일본군의 거점에 감금돼 복수의 병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성적인 폭행을 당했다. 정신적으로 상당한 후유증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고 NHK는 보도했다. 그러면서도 재판부는 "1972년 중일공동성명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재판에서 일본측에 전쟁피해 배상을 요구할 수 없게 됐다"고 원고 패소를 확정했다. 중일공동성명은 1972년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전 일본 총리와 저우언라이(周恩來) 전 중국 총리가 합의해 발표한 것이다. 일본은 이 공동성명에 따라 중국을
중일전쟁 당시 일본 히로시마(廣島)현 수력발전소 건설공사장으로 끌려가 가혹하게 노동을 강요당했다며 중국인 피해자와 유족들이 회사측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측이 최종 패소했다. 일본 최고재판소(대법원)는 27일 이 사건 항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던 히로시마 고등재판소의 결정을 파기, 청구를 기각했다. 나카가와 료지(中川了滋) 재판장은 "1972년 중일공동성명에서 중국인 개인의 배상청구권은 포기하도록 돼 있는 만큼 재판에서 이를 행사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는 청구권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서 추후 예정된 중국인 위안부 피해자들의 손배소 등 일련의 전후(戰後) 보상재판도 같은 논리로 기각될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共同)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나카가와 재판장은 "각각 구체적인 청구에 대한 자발적인 대응은 무방한 만큼 심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받은 원고들의 피해구제를 위한 관계자의 노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판결은 3명의 담당 재판관 전원 일치로 내려졌고, 개별 의견은 없었다. 재판부는 우선 2심판결과 마찬가지로 발전소 건설 회사였던 니시마쓰(西松)건설이 구(舊) 후생성으로부터 할당을 받아 구 일본군 감시하에 원고들을 강제 연행
일본 정부가 26일 헌법상 금지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정당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본격 착수했으나 민주당 등 야당은 물론 공동여당인 공명당도 제동을 걸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앞서 25일 '안전보장의 법적 기반 재구축에 관한 간담회'라는 이름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가능 방안 연구 기구를 발족시키고 내달 18일 첫 공식 회의를 갖기로 했다. 정부는 올 가을까지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 가능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자민당도 당차원의 특별 위원회를 만들어 정부와 별도로 집단적 자위권 재해석 방안을 마련키로 해서 당분간 집단적 자위권 문제는 일본 정국의 핵심 이슈가 될 전망이다. 집단적 자위권은 동맹국 등 일본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외국이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 실력행사를 통해 저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유엔헌장 51조에는 자국에의 침해를 배제하는 개별적 자위권과 함께 이를 주권국의 '고유의 권리'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개별적인 자위권 행사는 인정하고 있는 반면 헌법 9조가 전쟁 포기, 전력 비보유를 명기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집단적 자위권에 대해서는 '일본을 방어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도의 범위를 넘는 것'이라고 해석해 행사할 수 없
2차대전 당시 일본군 병사로 참전했던 일본인들이 당시 군대 위안부들은 식당 등에 취직하는 것으로 속아 끌려왔다고 증언하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 대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진심으로 사죄할 것을 요구했다. 고야마 이치로(87)씨는 25일 시민단체의 주관으로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신과 같은 부대에 근무했던 한 위생병이 "그들(위안부)은 불쌍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속아서 위안소에 온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고야마씨는 2년 전에 사망한 이 위생병의 말을 인용, "위안부들은 병사들을 위한 식당의 여종업원이나 요리사가 될 것이란 생각을 갖고 왔음에도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했다. 그렇다고 달아날 방법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 위생병은 성병 검사를 하면서 위안부들과 많은 대화를 나눴다고 고야마씨는 전했다. 역시 2차대전 참전 경험이 있는 사카쿠라 기요시씨는 돈을 주고 한국 여성을 사왔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지만 군대 위안부들도 군의 명령에 따라 생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식사도 군대의 명령에 따라야 했다"며 "한국과 중국 여성이 일본군을 위해 총탄과 함께 보내졌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사
빅터 차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국장이 24일 뉴욕에서 김명길(金明吉)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와 회담을 갖고 북핵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 정부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 이날 회담에는 성 김 미 국무부 한국과장도 동행했다고 전했다. 미국측은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초기단계조치 시한이 10일 경과한 점을 들어 조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재차 요구했고 북한측은 회담에서 비핵화 진전을 늦출 의도는 없다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어 신문은 북한측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문제가 해결되면 바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정지.봉인을 위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신문은 최대 관심사인 BDA 자금 문제에 대해 양측이 어떠한 논의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 20일에는 IAEA로 보낸 서한에서 북한 은행과 BDA간에 실무적 교섭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아직 자금 이전 움직임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브루스 라이트 주일미군 사령관은 지난 2월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기지에 배치했다 내달중 철수시킬 예정인 F22 최신예 스텔스기를 한반도 정세에 따라 재배치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고 교도(共同)통신이 25일 보도했다. 그는 24일 교토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F22의 오키나와 일시 배치와 관련, "오키나와와 다른 일본 국내 기지에서의 작전 수행력을 높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런 언급은 북한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이관 문제를 이유로 핵폐기를 위한 '초기단계조치'를 이행하지 않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향후 핵문제 진전 상황에 따라 F22의 일본내 재배치를 통한 억지력 강화를 도모할 의향이 있음을 명확히 한 것으로 보인다고 통신은 전했다. 미군은 지난해 10월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이후 대북 억지력 강화의 일환으로 미국 본토에서만 운용해왔던 F22 12대를 3개월 시한으로 지난 2월 오키나와 기지에 배치했다. 라이트 사령관은 이달 초 "당초 예정대로 이들 전투기를 내달중 철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전투기는 미군의 주력전투기였던 F15의 후속 기종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개발을 진행해 2005년말 처음으로 실전에 배치한 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26일부터 이틀간 미국을 방문한다. 그는 27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조지 부시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동맹 강화를 재확인하고 최근 6자회담 과정 및 2차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한 군대 위안부 강제동원 비난 결의안,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등을 둘러싸고 발생한 불협화음을 해소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특히 아베 총리는 방미에 앞서 미국 및 일본 언론과 가진 일련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의 책임'을 거론하고 대북정책에 있어서 미일공조의 재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어 1박2일이라는 짧은 기간 '미일동맹 강화'라는 방문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일동맹 강화 = 아베 총리는 부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동맹관계 강화라는 틀을 재확인한다는 계획이다. 미국도 "보다 넓고 깊은 동맹관계를 유지해 나가자"는 일본측의 희망에 적극 화답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아베 총리의 방미에 앞서 집단적 자위권 재검토를 위해 정부는 물론 여당까지 전력을 쏟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사전 정지작업도 계속해 왔다. 주일 미군 재편과 미사일방어(MD)시스템 구축을 위
일본 정부가 헌법해석상 금지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재검토하기 위한 전문가회의를 설치키로 한 가운데 여당인 자민당도 금주중 당내에 이를 연구할 특명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와 관련,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최근 야나이 순지(柳井俊二) 전 주미대사를 대표로 하는 전문가회의를 설치키로 했다고 밝혔다. 전문가회의는 내달 중순께 첫 회의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갈 방침이다. 자민당은 지금까지 당 방위정책검토 소위원회에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전 방위청장관이 중심이 돼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베 총리의 이런 방침을 존중, 적극적으로 대응키로 했다고 NHK가 24일 전했다. 이에 따라 자민당은 금주중 나카가와 히데나오(中山秀直) 정조회장 직속의 특명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자민당 특위는 정부 전문가회의의 목표 시한인 올 가을에 맞춰 집단적 자위권 해석과 관련한 당의 입장을 정리할 방침이라고 나카가와 정조회장은 밝혔다. 주요 연구 대상은 공해상에서 해상자위대 함선과 나란히 운항중인 미군 함선이 공격을 받을 경우 자위대가 반격할 수 있는지 등 구체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
일본 여야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다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 39명이 23일 야스쿠니(靖國)신사 춘계대제(春季大祭)에 맞춰 도쿄 규단기타(九段下)에 있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NHK가 보도했다. 이 의원 모임은 2차대전 전몰자를 위령하고 평화를 추구한다는 명목을 내세워 지난 1981년 발족한 단체다. 이날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의원은 이 모임 회장을 맡고 있는 시마무라 요시노부(島村宣伸) 전 농림수산상, 일본유족회 회장으 맡고 있는 고가 마코토(古賀誠) 전 간사장 등 자민당 소속 의원 37명과 민주당 소속 의원 2명 등이라고 교도(共同)통신은 전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는 법무성과 문부과학성에서 대신(장관)과 각 정당과의 조정 업무를 담당하는 정무관 각 1명씩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각료들은 최근 한국, 중국, 미국 등지의 비판여론과 아베 총리의 취임 후 첫 미국 방문을 앞둔 점 등을 감안한 듯 이날 야스쿠니신사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날 참배 의원 수는 자민당 87명, 민주당 2명 등 모두 96명에 달했던 지난해 춘계대제 당시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이다. 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3일 내년에 일본서 열리는 선진8개국(G8) 정상회담 개최지를 홋카이도(北海道) 도야코(洞爺湖)로 결정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도야코는 요코하마(橫浜).니가카(新潟)시, 교토(京都).오사카(大阪).효고(兵庫)현, 오카야마(岡山).가가와(香川)현 등 3개의 경합지에 비해 각국 정상들의 경비가 용이한데다 주변 자연경관이 우수해 친환경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야코 주변에는 호텔들이 많이 들어서 있어 중요한 회의나 각국 대표단을 수용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데다 인구가 밀집돼 있지 않아서 경비 비용도 줄일 수 있다고 교도(共同)통신은 전했다. 최근들어 G8 정상회담 개최국이 조용한 휴양지를 회의 지역으로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 온 것도 도야코에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은 이번이 다섯번째다. 앞서 1979년, 1986년, 1993년에는 도쿄에서, 2000년에는 오키나와에서 열린 바 있다. 주요국 정상회의는 경제, 정치, 안보, 환경 대책 등 전세계가 관련되는 여러 문제들을 놓고 주요 국가 정상들이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1975년 프랑스 파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1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와의 회견에서 2차대전 당시 군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총리로서의 '책임', '일본의 책임'을 처음 거론하며 사과한 것은 한국, 중국은 물론 미국내에서의 비판 여론을 의식한 조치로 보인다. 26일 취임후 첫 미국 방문을 앞두고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내의 비판 여론을 무마하지 않을 경우 방미기간에 자칫 이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미국과의 동맹 확인 및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에 대한 미국측의 지원을 얻으려는 자신의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달 하순 미국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한 것처럼 "아베 총리가 일본인 납치문제에 대해서는 열심히 대응하면서도 군대위안부 문제에서는 도망치려 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될 경우 일본인 납치문제에 대한 미국측 지지를 얻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 아베 총리측의 우려였다. 아베 총리는 일본인 납치 문제만을 거론하고 있지만 위안부 강제동원도 납치문제와 마찬가지로 인권 유린에 해당하는 만큼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무책임'한 자세를 견지할 경우 납치문제 등을 소재로 한 자신의 대북 비판이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아베 총리가 지난 3일
일본이 오는 7월부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종합해양정책본부'를 신설해 해양정책을 총괄하게 된다. 특히 이 기구는 배타적경제수역(EEZ)의 개발과 보전을 위한 대응을 강화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독도 및 주변 해역의 EEZ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겪어 온 한국과의 마찰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일본 참의원은 20일 본회의를 열고 종합해양정책본부 신설 등 일본 정부의 해양정책 강화를 골자로 하는 해양기본법과 EEZ내에서의 굴착작업의 안전확보를 위한 방안을 담은 '해양구축물 안전수역 설정법' 등 2개의 해양관련법을 가결했다. 두 법안은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법안은 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은 물론 사민당을 제외한 민주당, 공산당, 국민당 등 이례적으로 야당 의원들로부터도 찬성표를 얻은 가운데 통과했다. 기본법은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종합해양정책본부 신설 이외에 해양정책담당상을 설치. 관계 부처의 관련정책을 조정하는 기능을 맡도록 하고 있다. 법안은 정부가 시행할 주요 시책으로 ▲해양자원 개발 ▲EEZ 개발 추진 ▲해양 안전 확보 ▲해양조사 추진 ▲본토에서 떨어진 섬의 보전 등 모두 12개항을 제시하고 있다. 법안은
일본 정부는 20일 오전 각료회의에서 2차세계대전 당시 구(舊) 일본군이 중국 구이린(桂林)에서 현지 여성에 군대 위안부 행위를 강제했다고 인정한 연합국의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의 판결과 관련, "그 재판을 수락하며 이의를 말할 입장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채택한 쓰지모토 기요미 사민당 중의원의 위안부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서에서 이런 입장을 밝혔다. 앞서 각료회의는 지난달 16일 역시 쓰지모토 중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서에서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에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을 직접 나타내는 기술은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힌 바 있어 주목된다. 따라서 일본 정부의 이런 입장 표명은 지난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방일 이후 조성된 양국간 우호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번 답변서에서도 "법적인 제 문제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논의가 있지만 재판 결과를 수락하며 이의를 제기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명시해 구 일본군이나 관헌이 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했다는 사실은 여전히 인정하지 않았다. 도쿄재판에 대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해 10월
일본 자민당 대북경제제재 시뮬레이션팀이 북한에 의한 자금세탁을 방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특정금융거래규제 등 특별조치법'의 이번 정기국회 제출을 유보키로 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이런 방침은 지난 2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폐기를 위한 '초기단계조치' 실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데다 미국도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에 있는 북한 자금에 대한 동결을 해제하는 등 국제사회가 대화노선으로 돌아선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은 북한 정부를 겨냥, 외국 정부와 관련된 자금세탁 등의 부정행위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금융기관을 지정한 뒤 다른 금융기관에 이들 기관과의 거래 금지를 명령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특정 선박 입항금지법'에 근거해 제재를 발동했지만 "현행 법에 근거한 제재 카드는 다 나왔다"며 추가 제재안을 마련할 근거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시뮬레이션팀을 구성, 새로운 법안을 준비해 왔다. 신문은 이 법안이 지난해 12월에 마련됐지만 북한을 둘러싼 국제정세의 변화 및 6자회담 등의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그동안 국회 제출 등 본격 입법 절차에는 들어가지
일본 시마네(島根)현이 19일 현청사에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 명칭)자료실'이란 이름의 전시실을 설치했다.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자신들의 주장을 확산시키려는 전략의 하나다. 이 자료실에는 독도와 관련된 일본측의 고문서와 그림, 한국측의 서적, 지도 등 약 200점이 전시돼 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전했다. 시마네현은 이번 자료실 개관을 맞아 내달 18일까지 한 달간 '메이지(明治) 이후의 다케시마'라는 제목의 특별 전시회도 갖는다. 특별 전시회 기간에는 1905년 독도에서 포획한 뒤 박제한 바다사자 등 23점이 공개된다. 스미타 노부요시(澄田信義) 시마네현 지사는 개관 기념식에서 "독도문제 해결과 관련된 시설인 만큼 많은 사람이 관람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