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제전문지인 포브스(Forbes)紙가 남중국해 점유를 둘러싼 분쟁에서 결국 중국이 패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의 칼럼을 게재해 화제다. 포브스는 얼마 전까지도 친중(親中) 성향을 드러낸다는 지적을 받았던 바 있다. (관련기사 : 중국 자본에 굴복한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Forbes)’) 포브스는 지난 7월 1일(현지시각), ‘중국은 결국 남중국해 게임에서 패배할 것(China Will Lose The South China Sea Game)’이라는 제목으로 파노스 무도쿠타스(Panos Mourdoukoutas) 교수의 기고문을 게재했다. 무도쿠타스 교수는 롱아일랜드 대학교와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는 학자이자 논객이다. 남중국해에서 일대다(一對多) 게임을 벌이고 있는 중국 무도쿠타스 교수는 중국이 남중국해의 모든 것을 얻길 원하고 있지만, 그런 욕심이 언젠가 남중국해의 모든 것을 잃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칼럼을 시작했다. 중국은 현재 남중국해에서 일대다(一對多) 게임을 벌이고 있다. 중국의 상대는 필리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대만, 베트남 등 남중국해를 접하고 있는 모든 나라다. 중국은 심지어 미국, 일본, 프랑
‘홉슨의 선택(Hobson's Choice)’이란 말이 있다. 더 좋은 대안이 있음에도 주어진 안 좋은 선택지들에서만 답을 강요당해야만 하는 상황을 뜻한다. 중국이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서 바로 이런 ‘홉슨의 선택’에 직면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동 지역 아부다비(Abu Dhabi)의 유력일간지인 ‘더내셔날(The National)’은 지난 6월 21일(현지시각), 인도 국가안보회의 자문위원을 역임한 국제정치 전문가인 브라마 첼라니(Brahma Chellaney) 인도 정책연구센터(Center for Policy Research) 교수의 칼럼을 통해 현재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의 세력 확장에 우려를 드러냈다. 브라마 첼라니 교수의 해당 칼럼은 ‘은밀한 침략을 방어수단으로 위장해옴으로써, 중국은 이제 영역 확장 포기에 따른 고통이냐, 아니면 비용을 감수한 전쟁에 뛰어들 것이냐라는 ’홉슨의 선택‘에 직면하게 됐다(By camouflaging stealth aggression as defence, China offers a Hobson's choice of suffering territorial loss or facing a costly war)‘라
[편집자주] 본지는 아래 원 기사에서 타라 오 박사를 국제전략연구소(CSIS) 산하 퍼시픽포럼 연구원으로 소개하였습니다. 하지만 퍼시픽포럼(Pacific Forum)은 올해초 국제전략연구소(Center for Security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와 분리되었음을 타라 오 박사가 알려왔습니다. 이에 관련 사실을 바로잡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북한 인권 관련 블로그인 원 프리코리아(One Free Korea)가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의 구속 사건을 다루며 한국 종북좌파 정권의 언론 탄압 정치를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 5월 31일(현지시각) 원 프리코리아는 ‘OECD 가입 국가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 언론인이 명예훼손 혐의로 ‘선제구속’을 당하다(Journalist preemptively jailed for libel in South Korea, the only OECD country to do so)‘ 제하타라 오(Tara O)미국 퍼시픽포럼연구원의 외부 기명 칼럼을 게재했다. “대한민국이OECD 가입국으로는최초로 언론을 탄압하는 국가 순위에 새로 진입하게 됐다”. 지난 5월 30일 대한민국의 한 소규모 독립 미디어 매체인
미북 회담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미국의 대표적인 동아시아 전문가인 고든 창(Gordon G. Chang)이 미북회담의 수혜자를 중국으로 보는 일각의 주장을 강력하게 논파하는 분석을 제공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 19일(현지 시각), 미국의 대표적인 보수 매체인 아메리칸 컨설베이티브(The American Conservation)'紙는 ‘과연 트럼프가 미북 회담으로 아시아를 중국에 넘겨줬는가?(Did Trump Really Hand Asia to China During the Kim Summit?)' 제하 고든 창의 칼럼을 게재했다. 중국이 미북 회담의 최종 승자라고 호들갑 떠는 일부 언론 세계적인 금융 전문 매체인 블룸버그(Bloomberg)는 역사적인 싱가포르 미북 회담에 대한 헤드라인을 “중국이 트럼프-김정은 회담의 최대 수혜자(China Gets Everything It Wanted From Trump’s Meeting With Kim)”라고 뽑았다. 이어서 블룸버그는 “미-북 정상회담의 승자는 김정은은 물론이고 의심의 여지가 없이 시진핑 주석이다”라고 쐐기까지 박아 놓았다. 한편,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
주한대사 내정자인 해리 해리스 전 태평양 사령관에 대한 상원 인준 청문회가 얼마 전 개최된 가운데 해리 해리스 대사 내정자의 대북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언이 공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6월 15일(현지 시각), 미국의 대표적인 저항적 자유보수 매체인 ‘브라이트바트(Breitbart)'는 ’주한대사 내정자: 미-북 대화에 북한 인권 문제가 핵심 의제가 돼야(Seoul Envoy Nominee: Talks Should Include North Korea’s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제하 에드윈 모라(Edwin Mora) 기자의 기명 기사를 게재했다. 지난 목요일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주한 미국 대사 임명자인 해리 해리스(Harry Harris) 전 태평양 사령관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께서도 북한의 악랄한 인권 말살 행위를 후속 비핵화 협상의 의제로 설정하셔야 할 것입니다(U.S. President Donald Trump should make the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by North Korean dictator Kim Jong-un’s regime p
트럼프 대통령이 평소 친분을 자랑해온 중국 시진핑 주석에게 25%의 고율 관세폭탄 선물을 안겼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의 본격적인 신호탄을 알리는 서막이다. 지난 6월 14일(현지 시각) 미국의 유력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하 WSJ)은 ‘트럼프, 중국산 제품에 500억 달러 규모의 관세 부과(Donald Trump Approves Tariffs on About $50 Billion of Chinese Goods)’라는 제목의 밥 데이비스(Bob Davis) 기자와 피터 니콜라스(Peter Nicholas) 기자의 공동 분석 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WSJ의 기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500억 달러(약 54조1천250억원) 규모의 관세 부과를 승인했다” 바로 지난 목요일 백악관발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결정이었다. WSJ는 對중국 관세폭탄의 배경을 중국의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한 기술이전 강요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WSJ는 미국의 對중국 관세 폭탄은 바로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전면 응징 조치라고 전했다. WSJ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 승인 결정은 지난
미국의 주류 좌파 언론들은 미-북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에게 많은 양보를 했으며 별 성과가 없이 끝났다고 연일 비판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 한국 언론들도 주류 우파 언론들을 중심으로 공동 합의 선언문에 'CVID'가 명시되지 않았고 한미 연례 군사 훈련 취소 양보만 했다면서 비판 논조 일색이다. 과연 그럴까? 지난 6월 12일(현지시각) '폭스뉴스(FOX NEW)'의 뉴스 시사 대담프로인 ‘더 스토리(The Story)’에서는‘김정은 비핵화 약속과 관련 잭 키인 장군의 입장(Gen. Jack Keane on Kim Jong Un's denuclearization promise)’이라는 제목으로 전 미군 4성 장군(육군참모차장)인 잭 키인(Jack Keane)을 출연시켜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제시해 미국 현지에서 화제를 모았다. 미 육군 ‘참모차장(VCSA: Vice 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 출신인 잭 키인 장군은 전역 이후에도 미국 국방 자문 위원회(Defense Policy Board Advisory Committee)의 상근 자문역으로 일했다. 그는 이라크 전쟁 당시에 지리멸렬
역사적으로 중차대한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서도 미국 주류 좌파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 물어뜯기에만 바쁘다. 백악관의 정교한 의사결정 과정을 무시하고 저급한 삼류 드라마 같은 폼페이오-볼턴 갈등설이나 흘리고 있는 것이다. 지난 6월 7일(현지시각), 미국의 유력 정치전문 매체인 ’워싱턴 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폼페이오, 존 볼턴과의 갈등설은 ’완전한 우스개성 농담‘(Pompeo shoots down alleged John Bolton rivalry: ‘A complete joke’)‘ 제하, 죠엘 게흐케(Joel Gehrke) 기자의 기명 기사로 미국 주류 좌파 언론들의 백악관 안보팀내의 갈등설 조장 문제를 비판하고 나섰다. “갈등설을 보도한 기사들 전혀 근거가 없으며, 완전한 우스개성 농담에 불과하다(Those articles are unfounded and a complete joke)” 바로 지난 목요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폼페이오(Pompeo) 美 국무부 장관의 발언이다. ’워싱턴 이그재미너‘는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이 대북 정책 주도권을 놓고 존 볼턴(John Bolton) 국가안보보좌관과의 갈등을 벌이고 있다는 풍문을 폼
지난 6월 1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에서 열린 안보 장관 회의에서 미국의 매티스 국방부 장관은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기지화 문제에 대해 강력한 경고를 하고 나섰다. 이는 남중국해에서 미·중이 긴장고조 국면으로 본격 진입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여겨지고 있다. 지난 6월 2일(현지시각), 미국의 유력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하 WSJ)은 ‘매티스,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력 증강에 강력 경고(Jim Mattis Warns of Consequences If Beijing Keeps Militarizing the South China Sea)’라는 제목의 낸시 유세프(Nancy A. Youssef) 기자 기명의 분석 기사를 게재했다. 매티스 장관, “중국의 행태는 미국의 개방 위주 전략적 방침과 전면 상충” “미국과 중국은 더더욱 대립적인 관계로 치닫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WSJ는 최근 남중국해의 인공섬인 스프래틀리 군도와 그 주변의 분쟁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 요새화가 가속됨에 따라 워싱턴이 더욱 강경한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다면서 관련 분석 기사의 첫 문장을 이렇게 뽑았다. 지난 6월 1일 싱가포르에서는 지역 안보 컨퍼런스인 ‘
자유·보수 계열 재일교포들의 대변지라고 불리는 일본 ‘토오이츠닛포(統一日報, 통일일보)’가 본지 변희재 대표고문의 구속 사건을 1면으로 다루며 한국 종북좌파 정권의 사법공포정치를 비판하고 나섰다. 토오이츠닛포는 6일자로 ‘김정은과 연대한 문재인의 사법공포정치 - 세습학살자에 대해서는 ‘길동무’, 기업활동까지 ‘적폐’ 청산(金正恩と連帯した文在寅の司法恐怖政治 - 世襲虐殺者は「道連れ」企業活動まで「積弊」清算)‘ 제하 기사를 게재했다. 기사에서 토오이츠닛포는 “(문재인 정권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의 방아쇠가 된 태블릿PC가 날조된 것이라고 규명해온 사람을 구속했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정치의 토대를 파괴한 선동과 날조범죄인 ‘드루킹사건’을 덮으려는 정권차원의 은폐공작이 전개되고 있다”고 단언했다. 토오이츠닛포는 “변 씨는 서적과 방송을 통하여 JTBC와 손석희의 주장의 모순을 추궁하였을 뿐이며 증거인멸 및 도주의 우려가 없다”면서 “최서원(최순실)의 소유라고 하는 태블릿PC 문제를 제기해온 변희재의 구속은 법치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만행”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토오이츠닛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결과와 정호성 재판의 결과를 제시하며 태블릿PC 조작설을 허위라고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 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7차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기지화 문제에 대해 격한 비판을 쏟아내 화제가 됐다. 그러나, 같은 자리에서마리스 페인(Marise Payne)호주 국방부 장관도 역시 중국의남중국해 군사기지화 문제를 공개 비판한 사실은한국 언론에는 사실상 전혀 소개되지 않았다. 남중국해 문제가 비단 미중 갈등의 문제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문제라는 점을 한국 언론만 제대로 조명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호주의 최고 유력지인‘시드니모닝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는 2일(현지 시각),‘호주는 스스로 혀를 깨물지 않을 것이라고 호주 국방부 장관이 중국에 뚜렷한 신호로 경고(Australia won't bite its tongue, Defence Minister warns in clear signal to China)’ 제하데이비드 워(David Wroe) 외교안보 전문 기자의 기명 기사를게재했다. 이번에 시드니모닝헤럴드는 지난 주말에 있었던17차 아시아 안보회의에서마리스 페인 호주 국방부 장관의연설 내용을 다뤘다. 페인 장관은 해당 연설을 통해 중국이 평화적으로
미북 정상회담 개최 협상이 재개된 가운데, 미국 조야(朝野)에서는 일본 조야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인권 탄압 이슈가 급부상하고 있다. 워싱턴의 유력 의회 정치 전문 매체는 인권 문제를 미북 정상회담의 핵심의제로 설정해야 한다는 제언까지 하고 나섰다. 지난 5월 31일(현지 시각), ‘더힐(The Hill)'은 ‘북한의 인권 탄압 실상이 미북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가 되야 한다(North Korea human rights violations should be addressed in summit talks)’, 제하 토마스 바커(Thomas Barker) 변호사의 기명 칼럼을 게재했다. 토마스 바커(Thomas Barker)는 워싱턴/보스톤 소재 로펌인 ‘폴리 호그(Foley Hoag LLP)’의 파트너 변호사로서, 부시 행정부 시절에는 미국 보건성 감사(General Counsel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를 역임한 보건 정책 전문가이면서 북한 탈북자의 법률 대리와 북한 인권 실태 검증을 해온 인사다. 인권변호사로서 그는 미국내 탈북민의 정착을 돕는 ‘재미탈북민연대(North Koreans in the USA,
트럼프 대통령의 미북 정상회담 취소 공개서한은 역설적으로 김정은이 미국이 기뻐할 수 있는 조건을 들고서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테크닉 중 하나였다는 분석이 미국 조야(朝野)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5월 24일(현지 시각), ‘미국 서부의 월스트리트저널’이라고 불리는 투자 전문 유력지 ‘인베스터스 비즈니스 데일리(Investor's business Daily, 이하 IBD)'는 ’북한 김정은, 트럼프의 ‘거래의 기술’을 맛보다(North Korea's Kim Just Met 'Art of The Deal)' 제하의 사설을 내보내 그런 미국 조야의 분석 일단(一端)을 내비쳤다. “이것이 바로 트럼프식 외교 스타일(Trump-style)” “미북 정상회담 취소가 외교적 참사라고? 천만에, 이것이 바로 트럼프식 외교 스타일(Trump-style)이다”. 지난 5월 24일, 트럼프 대통령의 6.12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취소 결정 사건과 관련 IBD 사설의 첫 문장이다. IBD는 이번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보여준 과감한 협상 전술을 통해서 전 세계는 김정은의 본질을 다시 한번 꿰뚫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마
세간에 회자되는 ‘가케(加計) 스캔들’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수상이 자신의 오랜 친구가 이사장으로 있는 가케(加計) 학원이 일본의 에히메(愛媛) 현에 수의학부를 신설해주도록 편의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골자로 한다. 아베 수상은 수의학부 신설 계획 자체를 작년(2017년) 1월에야 알았으므로 스캔들과 전혀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혀왔었다. 하지만지난 22일 일본 국회에서아베 수상이 3년 전인 2015년에도 수의학부 신설 계획을 이미 알고 있었다는 내용의‘에히메 현 내부 문건’이 공개됐다. 이에 아베 수상은 거짓말 의혹에 새삼 휘말려버린 실정이다. 관련해 아사히(朝日), 마이니치(毎日) 등일본의좌익 언론들은 이번주 내내‘에히메 현 내부 문건’이 아베 낙마의사실상 ‘결정타’가 될 것이라고 단언을 하고 나섰다. 아사히, 마이니치를 받아쓰는 것으로 연명하고 있는 한국의 일본 관련 외신부 기자들도 역시‘결정타’라는 낱말을 그대로 되뇠다. 아베 수상 음해를 위한 조작 문건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는‘에히메 현 내부 문건’ 하지만, 실제로 일본에서는 현재 인터넷을 중심으로 ‘에히메 현 내부 문건’이 아베 수상 음해를 위한 조작 문건이 아니냐는 신빙성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