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밀양(Secret Sunshine)'이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누구보다도 수상자인 영화배우 전도연에게 경사이겠지만 연출자 이창동 감독에게도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창동 감독은 2002년 '오아시스'로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과 신인여우상(문소리)을 수상한 뒤 5년 만에 내놓은 '밀양'으로 세계 3대 영화제(칸ㆍ베를린ㆍ베니스)에서 다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밀양'은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두고 '용서'라는 화두에 직면한 학원강사 신애(전도연)와 그녀를 사랑하는 카센터 사장 종찬(송강호)의 이야기. '서편제' '천년학' 등의 원작자로도 유명한 소설가 이청준의 단편 '벌레 이야기'가 영화의 모태가 됐다. 그렇지만 원작에서 기본 얼개만을 따왔을 뿐 대부분은 새롭게 쓰였다. 이창동 감독은 여주인공이 죽음으로 생을 마감하는 원작과는 달리 신애의 삶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 넣으며 영화를 마무리했다. 그를 28일 오전 숙소인 프랑스 칸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수상 소감을 묻자 멋쩍어하면서 "뭐 달리 할 말이 있겠는가. 기쁠 뿐이다"라며 웃었다. 다음은 감독과의 일문일답. --수상을 예감했나. ▲예상했다기 보다는 남들이 다 기정사
"칸 여우주연상 수상은 제 인생에 큰 비중으로 남을 겁니다."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으로 '칸의 여인'이 된 전도연(34)이 시상식 직후 메인 상영관인 뤼미에르 대극장 내 기자회견장에서 각국 기자들과 만났다. 전도연은 22편의 장편 경쟁부문 초청작 중 한 편인 이창동 감독의 '밀양(Secret Sunshine)'에서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두고 용서라는 화두에 직면한 피아노 과외교사 신애를 실감나게 연기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밀양'이 현지 시사를 통해 공개되자 현지는 물론 각국 언론들도 전도연의 여우주연상 수상 가능성을 연일 보도했고 평단에서도 그의 연기에 대해 "힘 있고 믿을 만한 연기"라면서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 3대 영화제(칸ㆍ베를린ㆍ베니스) 중 첫손에 꼽히는 칸에서 해외 영화제 진출 경험이 없는 아시아 여배우가 수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그래서 이번 전도연의 수상은 어떤 여우주연상보다 값지다. 전도연도 이에 대해 크게 부담을 느끼고 있었던 모양. "부담스럽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사실은 계속해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최면을 걸었다"고 고백했다. 전도연은 "이는 나 자신을 진정시키기 위한
영화배우 전도연(34)이 27일 오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Secret Sunshine)'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한국 여배우가 세계 3대 영화제(칸ㆍ베를린ㆍ베니스)에서 여우주연상을 탄 것은 1987년 '씨받이'로 강수연이 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이후 20년 만이다. 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동양계 여배우로는 홍콩 장만위(2004년) 이후 두 번째이고, 동양계 배우로 칸에서 남녀 주연상을 받은 배우는 모두 다섯 명이다. 전도연 이전 중국 배우 거유(葛優)가 1994년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Lifetimes)'으로 남우주연상을 탔으며 이후 홍콩의 량차오웨이(화양연화. 2000년)와 장만위(클린), 일본의 야기라 유아(아무도 모른다. 2004년) 등이 칸에서 주연상 수상의 영예를 누렸다. 전도연에게 여우주연상의 영예를 안겨준 영화 '밀양'은 이창동 감독의 영화계 복귀작. 영화는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두고 용서라는 화두 앞에 괴로워하는 피아노 강사 신애(전도연)와 그녀를 사랑하는 카센터 사장 종찬(송강호)의 이야기다. 소설가 이청준의 단편 '벌레 이야기'가 원작이지만 기본 얼개를 제외하
전도연이 영화 '밀양(Secret Sunshine)'으로 27일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이 상은 칸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포함해 영화제 7대 본상 중 하나. 전도연은 처음 진출한 세계 3대 영화제(칸ㆍ베를린ㆍ베니스) 경쟁부문에서 여우주연상을 차지함으로써 본인은 물론 한국 영화계에 큰 영예를 안겨주었다. TV 드라마에 주로 출연하다가 97년 '접속'으로 스크린에 데뷔한 그는 연기력과 흥행성 면에서 호평을 받아왔으나 국제영화제 수상과는 별다른 인연이 없다가 이번에 이창동 감독, 송강호와 호흡을 맞춰 대어를 낚게 됐다. 이제 전도연은 충무로에서뿐 아니라 강수연에 이어 월드스타로 등극함으로써 한류 확산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밀양'의 여우주연상 수상은 이창동 감독에게도 큰 영광. 본인이 직접 트로피를 받은 것은 아니지만 2002년 베니스 국제영화제 감독상(오아시스) 이후 세계 3대 영화제(칸ㆍ베를린ㆍ베니스)에서의 두 번째로 수상의 영예를 누리게 됐다. 이로써 그는 연출작 4편(초록물고기ㆍ박하사탕ㆍ오아시스ㆍ밀양) 중 2편이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안으며 세계적인 감독으로 부상했다. 영화 '밀양'의 칸
"내게 단편영화는 시(詩)와 같다" (칸=연합뉴스) 홍성록 기자 = 신예 홍성훈(29) 감독이 25일 오후 열린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의 단편영화 경쟁 섹션인 시네파운데이션 부문 시상식에서 3등상을 받았다.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은 영화학교 졸업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섹션으로, 홍 감독은 올해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작품인 '만남(Reunion)'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만남'은 16년간 헤어져 살았던 아버지와 딸의 만남을 다룬 20분짜리 단편영화다. 시네파운데이션 부문 심사위원장인 중국의 자장커(賈樟柯) 감독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스타일리시한 분위기가 특히 눈길을 끌었다"고 밝혔다. 수상과 관련, 홍 감독은 "내심 기대는 했지만 정말 수상까지 할 줄은 몰랐다"면서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다음은 감독과의 일문일답. --'만남'은 어떤 영화인가. ▲70~80년대를 배경으로 했다. 16년간 아버지와 떨어져 살았던 딸이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만나러 가는 이야기다. 가족이 상봉하지만 다시 헤어져야 하는 상황을 그렸다. --왜 수상했다고 생각하나. ▲내가 어찌 알겠나(웃음). 그렇지만 굳이 생각해보면
영화 '밀양(Secret Sunshine)'의 이창동 감독과 주연배우 전도연ㆍ송강호가 24일 제60회 칸 국제영화제가 열리는 프랑스 칸의 뤼미에르 대극장 기자회견장에서 기자회견에 나섰다. 김기덕 감독의 '숨(Breath)'과 더불어 올해 칸의 장편 경쟁부분에 초청된 이 영화는 '비밀의 햇볕'이라는 뜻을 가진 경남의 도시 밀양(密陽)을 배경으로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두고 용서라는 화두에 직면한 여자 신애(전도연)와 그녀를 사랑하는 남자 종찬(송강호)의 이야기다. 임권택 감독의 작품 '서편제' '천년학'의 원작자로 유명한 소설가 이청준의 단편 '벌레 이야기'가 토대가 됐다. '밀양'은 원작소설의 기본 틀인 '용서'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루지만 그 문제에만 천착하는 소설에 비해 영화적인 장치로 대중과 만난다. 송강호가 연기한 종찬을 통해 웃음을 만들어내고, 살인자를 용서하는 것이 너무 버거워 여주인공이 죽음을 택하는 소설과는 달리 영화는 희망적인 결말을 암시하면서 끝을 맺는다. 전날 밤 두 차례 기자 시사회가 열린 뒤 이날 기자들과 만난 이창동 감독은 "'밀양'은 종교에 대한 영화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영화"라고 강조했고, 전도연은 "이 영화를 통해 큰 에너지를
=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된 이창동 감독의 '밀양(Secret Sunshine)'이 영화전문지 '스크린(Screen)'으로부터 평점 4점 만점에 4점을 받았다. '밀양'은 23일 밤 늦게 언론시사회를 가진 탓에 일일소식지인 데일리(daily) 대부분이 24일자에 평점을 내지 못했지만 스크린 한 곳만이 평점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프랑스 대중문화 비평지 '포지티브(Positif)'의 미셸 클레망이 준 평점 4점을 게재했다. '밀양'이 받은 평점 4점은 '뛰어나다'는 뜻의 'Excellent'라는 뜻을 담고 있다. 아직 나머지 9명의 심사위원이 평점을 내지 않아 25일에나 평균 평점이 나올 전망이다. 23일 언론시사회 이후 나온 기자와 평론가들의 영화평도 호평 일색이어서 앞으로 나올 '밀양'에 대한 평점은 후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장편 경쟁부문 초청작 22편 중 평균 평점이 나온 영화는 16편. 이중 최고 점수는 3.2점을 받은 크리스티안 문기우 감독의 '4개월, 3주 그리고 2일(4 Months, 2 Weeks and 2 Days)'과 코엔 형제 감독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No Country for Old Men)' 등 두 편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된 이창동 감독의 '밀양(Secret Sunshine)'이 23일 오후 영화제 메인 상영관인 뤼미에르 대극장 내 드뷔시극장에서 언론 시사회를 통해 첫선을 보였다. 24일 예정된 공식 시사회와 기자회견을 앞두고 언론에 먼저 공개된 '밀양'에 대해 언론은 영화 내용에 대해 특히 흥미를 보였으며 전도연ㆍ송강호 등 두 주연배우의 연기에 대해 극찬했다. 시사회가 끝난 뒤 만난 프랑스ㆍ미국ㆍ인도 등 각국의 언론인과 평론가들은 '밀양'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를 처음 본다"는 프랑스 영화평론가 세린 세빅(Selin Sevik)은 "아들을 죽인 살인자가 자신이 그를 용서하기도 전에 이미 신으로부터 용서를 받았다고 말하자 이후 신에게 대항하는 여주인공의 모습이 특히 인상적이었다"면서 "여주인공(전도연)의 연기는 힘이 있었고 신뢰감을 줬다"고 평했다. 미국 영화비평 전문잡지 '필름 코멘트(Film Comment)'의 편집장 개빈 스미스(Gavin Smith)는 배우들의 연기를 호평했다. 그는 "모두 훌륭하게 배역을 소화했다"면서 "수상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평론가 패트릭 맥거번(Patri
1억 달러(한화 약 929억 원)짜리 아시아 영화펀드가 조성된다.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일일소식지인 데일리(daily)를 발행하는 '버라이어티(Variety)'는 22일자 데일리에 아시아 영화펀드인 'A3 국제영화펀드(A3 International Film Fund)'에 대해 보도했다. 이 펀드는 6명의 아시아 유명 영화제작자와 사업자들이 주축이 돼 만든 것으로 이중 한ㆍ중ㆍ일 합작영화 '묵공'으로 유명한 보람영화사 이주익 대표와 '무간도(Internal Affairs)'의 제작자 난쑨스(Nansun Shi), 천카이거((陳凱歌) 감독의 영화 '시황제 암살(The Emperor and the Assassin)의 제작자 이세키 사토루 등도 포함돼 있다. A3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3개국을 의미한다. A3 펀드는 홍콩 투자은행인 '크로스비 캐피털 파트너즈(Crosby Capital Partners)'에 의해 운용되며 펀드 조성은 앞으로 3개월 동안 이뤄진다. 이미 한국의 상장회사 엔토리노(Entorino Corp.)가 2천 달러를 약속했다. 난쑨스는 "우리는 앞으로 5년 동안 약 30편의 영화에 관여할 예정"이라면서 "100만 달러, 500만 달
제60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일일 소식지인 데일리(daily)를 발행하는 할리우드리포터(The Hollywood Reporter)와 칸마켓(Cannes Market)이 연이어 한국영화의 위기를 진단한 기획기사를 실었다. 할리우드리포터는 21일자 데일리에서 '불안한 서울(Troubled Seoul)'이라는 제목의 세 페이지 분량의 기사를 서울발로 게재했다. 기사는 "지난 10년간 호황을 누렸던 한국영화가 제작비 증가와 수출 감소로 위기에 봉착했다"면서 지난해 개봉한 108편의 한국영화 중 수익을 낸 작품은 10%에 불과하다는 통계 등을 인용해 난관에 부딪힌 현실을 전했다. 이어 "한국영화는 예전 같지 않게 관객을 유혹하지 못하고 있고 영화사들이 인원 감축을 단행할 것이라는 소문도 퍼지고 있다"고 밝혔다. 기사는 한국영화 위기의 요인과 징후로 일본 등에서 한국영화의 인기 하락으로 인한 수출 급감, 펀드 조성의 어려움, 유명 배우ㆍ감독의 높은 출연료와 연출료, 부가판권 시장 몰락 등을 꼽았다. 기사는 강우석 감독, MK픽처스 이은 대표, 쇼박스의 정태성 상무 등 한국 영화계 주요인사의 발언을 함께 실어 신빙성을 높였다. 이에 앞서 19일 발행된 칸마켓 데일리도 '과
'나는 비와 함께…'서 홍콩 암흑가 두목 역 (칸=연합뉴스) 홍성록 기자 = 영화배우 이병헌(37)이 세계무대로 진출한다. 이병헌은 '씨클로(Cyclo)' '그린 파파야 향기(The Scent of Green PaPaya)' 등의 영화로 유명한 베트남계 프랑스 감독 트란 안 훙(Tran Anh Hung)의 신작 '나는 비와 함께 간다(I Come With The Rain)'에서 홍콩 암흑가 두목 쑤둥포(Su Dongpo) 역을 맡았다. 이 같은 사실은 이 영화의 해외 배급사인 프랑스의 TFI인터내셔널 측이 칸 필름마켓에서 세일즈 프로모션을 진행하던 중 알려졌다. 영화 '나는 비와 함께 간다'는 자신이 죽인 사람의 시체로 예술품을 만드는 한 연쇄살인범을 사살한 뒤 정신적인 충격으로 고통받는 전직 LA경찰 클라인이 중국 갑부에게 고용돼 그의 실종된 아들을 찾아 아시아로 가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스릴러물이다. 이병헌이 연기하게 될 쑤둥포는 대규모 마약조직을 운영하는 인물이기도 한다. 쑤둥포 역은 주인공 클라인과 클라인의 오랜 친구이자 홍콩 경찰인 멍쯔(Meng Zi)와 함께 극을 이끌어 가는 주요 배역. 주인공 클라인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된 김기덕 감독의 신작 '숨(Breath)'이 19일 오전 영화제 메인 상영관인 뤼미에르 대극장 내 바쟁극장에서 언론 시사회를 통해 선보였다. 이날 오후로 예정된 공식 시사회에 앞서 언론에 먼저 소개된 '숨'은 "흥미롭다" "예술적이다" "탐미주의적이다"는 등의 반응을 얻었다. 베를린ㆍ베니스 영화제 감독상에 이어 칸 영화제 수상으로 세계 3대 영화제 석권을 노리는 김기덕 감독은 세계적인 거장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다. 시사회가 끝난 뒤 만난 프랑스 잡지 '브라질(Brazil)'의 크리스토프 고페트(Christophe Goffett) 편집장은 김기덕 감독에 대해 "김기덕 감독 영화의 시적인 분위기(poetic atmosphere)를 좋아하는데 '숨'은 시적이기보다는 코믹한 요소가 부각돼 인상적이었다"면서 "그러나 전작과 비교해 큰 변화는 못 느꼈다"고 평했다. 이어 그는 "김기덕 감독은 아시아 감독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감독 중 한 명"이라며 "영화의 탐미주의적 면이 특히 맘에 든다"고 말했다. 수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영화제 취재가 처음이라는 AFP통신의 소피 마커스(Sophie Ma
"한국 영화의 중요한 매력은 스타일이 아니라 진실에 있습니다."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된 '숨(Breath)'이 19일 영화제 메인 상영관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언론 시사회를 통해 첫선을 보인 뒤 김기덕 감독과 주연배우 장전(張震), 지아, 강인형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100명에 가까운 기자들이 몰렸으며 한국 감독 중 유럽에서 지명도가 높은 김기덕 감독에게 기자들의 질문이 집중됐다. 질문의 주제는 영화 내용뿐 아니라 김기덕 감독의 연출 스타일, 한국의 스크린쿼터 등 변화하는 영화 환경 등 다양했다. '숨'은 사형 집행을 앞둔 죄수 장진(장전)과 남편의 외도로 실의에 빠진 여자 연(지아)의 사랑 이야기다. "사랑 얘기지만 사회성이 강한 것 같다"는 질문에 김기덕 감독은 "지금까지 14편의 영화를 만들었는데 절반은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문제를 다뤘다고 생각한다"면서 "숨쉬기 힘들 만큼 어려운 사회적ㆍ개인적인 인간관계의 답답한 면들을 영화 '숨'을 통해 직ㆍ간접적으로 표현했다"고 답했다. '숨'의 공간적인 배경이 교도소인 것처럼 김기덕 영화에는 불교 사찰 등 일상적이지 않은 공간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에 대해
스크린쿼터 축소의 여파가 벌써 한국영화계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듯하다. 1일 개봉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스파이더맨3'는 개봉 6일 만에 전국적으로 255만 관객을 불러모으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함께 개봉된 한국영화 '아들'의 같은 기간 전국관객 수는 25만 명. '스파이더맨3'는 '아들'보다 10배나 많은 관객을 모았다. 지난 주말 '스파이더맨3'를 상영한 스크린은 전국적으로 816개나 됐다. 이는 우리나라 총 스크린 수의 절반에 이르는 수치다. 외화 한 편이 스크린을 독식하는 결과를 낳은 것. 이를 두고 영화인들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입을 모으며 9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세실 레스토랑에서 '스크린쿼터 축소 이후 한국영화의 현황'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제작자ㆍ감독ㆍ프로듀서ㆍ영화노조ㆍ배우 등 각계 영화인을 대표하는 단체의 대표가 참석해 스크린쿼터 축소에 따른 분야별 현장 상황을 보고하고 현재의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양기환 스크린쿼터 영화인대책위원회 상임집행위원장 직무대행의 사회로 최영재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사무국장, 정윤철 영화감독협회 공동대표, 장동찬 영화제작가협회 사무처장, 최진욱 영화산업노조
올해 전주국제영화제(JIFF)의 마스터클래스는 프로덕션 디자이너를 주제로 진행된다. 프로덕션 디자이너란 의상ㆍ분장ㆍ소품ㆍ세트 등 영화의 모든 미술분야를 관할하며 화면을 만들어가는 미술감독을 말한다. 그 동안 국내 영화제의 마스터클래스 프로그램이 영화감독 위주로 진행돼 왔다는 점에서 JIFF의 올해 마스터클래스는 눈길을 끈다. 그만큼 영화 속에서 미술분야의 비중이 커졌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한국ㆍ중국ㆍ일본의 내로라 하는 미술감독이 JIFF 마스터클래스에 초청됐다. '황후화' '연인' '영웅' 등 장이머우(張藝謨)의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화려한 화면을 만들어낸 훠팅샤오 감독과 '하나' '피와 뼈' '아무도 모른다' 등 우리에게 친숙한 일본영화에 참여했던 이소미 도시히로 감독, '타짜' '국경의 남쪽'의 미술분야를 총괄한 양홍삼 감독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29일 오후 전주시 고사동 영화의 거리에서 열린 JIFF 마스터클래스 기자회견에 참여했다. 훠팅샤오 감독은 자신을 "영화 '무사'의 미술감독으로 참여했던 훠팅샤오"라고 소개했다. '무사'는 김성수 감독이 연출하고 정우성ㆍ주진모ㆍ장쯔이가 주연한 한ㆍ중 합작영화. 훠팅샤오 감독이 대부분 블록버스터 영화에 치중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