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창동 "밀양은 종교 아닌 인간 다룬 영화"

24일 칸영화제서 '밀양' 감독ㆍ배우 기자회견



영화 '밀양(Secret Sunshine)'의 이창동 감독과 주연배우 전도연ㆍ송강호가 24일 제60회 칸 국제영화제가 열리는 프랑스 칸의 뤼미에르 대극장 기자회견장에서 기자회견에 나섰다.

김기덕 감독의 '숨(Breath)'과 더불어 올해 칸의 장편 경쟁부분에 초청된 이 영화는 '비밀의 햇볕'이라는 뜻을 가진 경남의 도시 밀양(密陽)을 배경으로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두고 용서라는 화두에 직면한 여자 신애(전도연)와 그녀를 사랑하는 남자 종찬(송강호)의 이야기다. 임권택 감독의 작품 '서편제' '천년학'의 원작자로 유명한 소설가 이청준의 단편 '벌레 이야기'가 토대가 됐다.

'밀양'은 원작소설의 기본 틀인 '용서'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루지만 그 문제에만 천착하는 소설에 비해 영화적인 장치로 대중과 만난다. 송강호가 연기한 종찬을 통해 웃음을 만들어내고, 살인자를 용서하는 것이 너무 버거워 여주인공이 죽음을 택하는 소설과는 달리 영화는 희망적인 결말을 암시하면서 끝을 맺는다.

전날 밤 두 차례 기자 시사회가 열린 뒤 이날 기자들과 만난 이창동 감독은 "'밀양'은 종교에 대한 영화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영화"라고 강조했고, 전도연은 "이 영화를 통해 큰 에너지를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

송강호는 종찬 역을 두고 "한국의 보편적인 캐릭터이기 때문에 편안한 마음으로 연기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에는 50여 명의 각국 기자들이 몰렸다.

다음은 감독ㆍ배우와의 일문일답.

--'밀양'을 공간적 배경으로 선택한 이유는.

▲밀양은 실제 한국에 있는, 지극히 평범하고 작은 도시다. 왜 전형적인 도시를 배경으로 선택했느냐 하면 실제 내 고향 가까이에 있는 도시이고, 지극히 평범한 도시지만 '비밀스런 햇볕'이라는 시적인 의미를 가진 이름이어서 어릴 적부터 항상 궁금했다. 밀양이라는 평범한 도시가 우리의 삶의 보편적인 공간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곳에 '시크릿 선샤인(Secret Sunshine)'을 찾는 인간의 운명이 있다고 생각했다.(이창동, 이하 이)

--장관 출신으로 알고 있다. 공직과 감독의 차이점은.

▲장관 직을 수행하는 것과 영화를 만드는 것은 아주 다르다.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공직에 있을 때는 영화 만드는 일을 까맣게 잊고 살았다. 지금은 공직에 있었던 일을 까맣게 잊고 산다. 당시 어떠했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이)

--영화에는 종교적인 내용이 많고 게다가 반종교적인 내용도 포함돼 있다. 한국 관객의 반응은 어떤가.

▲영화가 오늘 한국에서 개봉됐다. 그래서 일반 관객의 반응을 알 수 없다. 아까도 말했듯이 나는 종교에 대한 영화가 아닌 인간에 대한 영화를 만들었다. '밀양'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이)

--영화를 찍으면서 결혼까지 했다고 들었다. 영화는 어떻게 준비했나.

▲지금 생각해보면 영화를 찍으면서 어떻게 결혼까지 하게 됐는지 큰일을 저지른 것 같다(웃음). 촬영하면서 공과 사를 구분했기 때문에 결혼하는 데 문제는 없었다.

사실 미리 준비한 부분은 없다. (극중 신애의 감정은) 미리 알 수 있는 감정이 아닐 뿐더러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부분이다. 감독님도 배우가 미리 준비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촬영을 하며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연기했다.(전도연, 이하 전)

--배역을 어떻게 준비했나. 특별한 모델이 있었나.

▲실제 모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종찬이란 인물은 한국의 어느 도시, 어느 지역, 어느 사회를 가더라도 만날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한 캐릭터다. 그래서 편안하게 종찬이라는 캐릭터가 내게 왔던 것 같다.(송강호, 이하 송)

--올해 칸 장편 경쟁부문에 한국 영화가 두 편이나 올랐다. 한국 영화의 위상을 반영하는 것 아닌가.

▲한국 영화가 어떤 해에는 칸 영화제 경쟁작에 들기도 하고, 전혀 들어 있지 않은 해도 있고, 몇 편이 들어오는 해도 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 영화의 국제적인 위상과는 본질적으로 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영화라는 것은 국적보다는 그 영화를 만든 사람들, 즉 감독ㆍ배우ㆍ스태프들이 영화로 국적과 언어를 넘어서 이런 자리에서 만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걸(국적) 따지는 것은 큰 의미가 없겠지만 한국영화가 몇 년 사이에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고,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여러 나라에서 관객과 만날 수 있는 것 자체가 한국 영화에 활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이)

--혹시 함께 장편 경쟁부문에 오른 김기덕 감독의 영화 '숨'을 봤나.

▲'밀양' 후반작업 때문에 보지 못했다. 여기서 김기덕 감독을 만나야 하니까 꼭 보려고 했는데 아쉽게도 볼 수 있는 극장이 없었다. 한국 관객이 '숨'을 많이 찾아주지 않았다. 한국 관객이 김기덕 감독의 영화를 더 많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이)

--7년 전 칸 감독주간에 초청됐고 올해 처음으로 장편 경쟁부문에 올랐다. 감회는.

▲장편 경쟁부분에 7년 만에 들어와서 영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경쟁을 싫어해 경쟁에 나가느니 차라지 빠지는 쪽을 선택하는 인간형이다. 결과에 대해 신경 쓰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이)

--하늘을 바라보는 장면에서 시작해 땅에 비친 하늘의 장면으로 끝난다. 어떤 의미인가.

▲영화는 아이가 하늘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시작해 지저분하고 누추한 땅에 약간의 햇볕이 얹혀 있는 것을 비추면서 끝난다.

관객이 느꼈겠지만 우리가 살아야 할 의미가 저 하늘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잇는 땅, 즉 내 곁에 있어야 한다는 단순한 의미를 전달하고 싶었다.(이)

--왜 다른 아시아의 종교도 많은데 특별히 개신교를 선택했나.

▲한국 사회는 영화처럼 개신교의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다른 종교에 비해 (신-구교를 포함한) 기독교가 용서와 화해, 이런 가르침을 담고 있는 종교 같았다. 기독교가 인간의 고통을 치유하고 구원하는 데 질문과 해답을 담고 있는 종교라고 생각했다.(이)

--최근 한국 영화에는 고통과 폭력이 많이 등장한다. 한국 역사와 관계가 있나.

▲미국 영화에서 한국 영화까지 최근 영화들은 고통과 폭력을 많이 담는다. 한국 영화는 폭력을 다루는 방식에서 영화적으로 멋지게는 다루지 못하는 것 같다.

나를 포함한 한국 감독들의 심성은 영화에서 멋지게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것을 어려워 한다. 폭력에 대해 그런 심리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보니 폭력을 심미적으로 다루기보다는 폭력의 현실성에 다가가는 경우가 더 많다. 그래서 더 폭력적으로 느껴지는 것 같다.(이)

--해외에서 연출 제의를 받은 적이 있나.

▲많지는 않지만 몇 번 받았다. 일본ㆍ미국ㆍ프랑스 등지에서다. 고사한 이유는 다른 나라의 언어로 영화를 만드는 것이 내게는 벅차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꼭 만들어야 하는 내적인 동기를 주는 것인지 그것이 중요한데, 아직까지는 참여해야겠다는 동기 부여가 안됐다.(이)

--처음에는 출연 제의를 고사했다고 들었다. 결국에는 출연했는데, 이번 배역을 통해 배우로서 성장했거나 변화했다는 느낌이 드는지.

▲내 연기의 변화나 발전에 대해 내가 판단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영화 찍고 나서 전도연이라는 배우에 대해 많은 분들이 새로운 가능성을 보았다고 말했다. 전도연에게 뭐를 더 기대할 수 있을까 했는데 전도연이 앞으로 더 보여줄 것이 많을 것 같다는 얘기를 들었다. 이번 배역을 통해 신인으로 돌아가 큰 에너지를 얻은 기분이다. 성장한 모습이라고 생각한다.(전)

--인터뷰를 통해 전도연에 대해 전무후무한 연기를 했다고 말했다.

▲전도연 씨의 연기를 보고 너무 가슴이 벅차서 그런 표현을 썼다. 그런데 추후에 생각해보니 전도연 씨에게는 기분 나쁜 얘기도 될 것 같다. 말 뜻에 따르면 전도연 씨가 전에 한 연기는 무엇이었으며 앞으로 할 연기도 '밀양'만큼은 못할 것이라는 얘기 아닌가. 너무 감동해서 표현을 하다 보니 그런 표현이 됐던 것 같다.(송)



(칸<프랑스>=연합뉴스) sunglok@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