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세계대전 당시의 쇼와(昭和) 전 일왕의 발언 등이 담긴 기록이 발견됐다. 월간 문예춘추가 입수해 10일자 최신호에 게재하는 이 기록은 2차대전 당시 쇼와 일왕의 비서로 일했던 오구라 구라지(小倉庫次) 전 도쿄대 법경학부장의 일기다. 이 일기에는 전쟁과 관련된 쇼와 전 일왕의 언급과 표정 등을 알 수 있는 내용이 잘 담겨져 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9일 보도했다. 일기가 쓰여진 기간은 1939년 5월부터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 당시까지다. 일기에 따르면 1939년 7월 5일 만주사변을 추진했던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 소장 등을 영전시키는 인사를 설명하기 위해 이타가키 세이시로(板桓征四郞) 육군대신이 찾아온 뒤의 쇼와 일왕은 인사 과정에 쉽게 휘둘리면 안된다고 하는 등 육군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 3국의 동맹체결 움직임에 대한 불쾌감도 담겨 있었다. 1939년 10월 19일 동맹을 추진했던 시라토리 도시오(白鳥敏夫) 주이탈리아 대사가 귀국해 자신에게 이를 보고하게 되자 "또 놀림을 당하게 되는 모양"이라고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중일전쟁과 관련해서도 "중국이 의외로 강하다. 전쟁의 진상을 모두가 잘못 보고 있다. 특히 육군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8일 구 일본군에 의한 군대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의 전제가 되고 있는 사실관계에 대해 정부와 자민당에서 연대해 재조사를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저녁 총리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민당이 조사를 실시하되 정부로서도 자료제공 등에 협력하겠다. 자료가 필요하다는 요청이 오면 그에 응하겠다"고 말해 조사에 정부가 관여하는 형태의 재조사 방침을 천명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가 고노담화를 계승하는 것이 기본입장이라고 밝히면서도 강제성 여부 등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시키로 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비난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각에서는 위안부 재조사는 고노 담화를 수정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교도(共同)통신은 아베 총리가 중심이 돼서 재조사를 실시하고 정부가 이에 협력하는 방식을 취한 것은 정부가 재조사를 주도할 경우 "정부가 고노담화 수정에 앞장서고 있다"며 한국, 중국 등이 반발할 것이 우려되는 만큼 이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이날 총리실에서 자민당 보수파 의원들로 구성된 '일본의 앞날과 역사교육을 생각
8일 열렸던 북.일 국교정상화를 위한 실무회의가 아무런 성과없이 끝난 것은 사전에 충분히 예견됐던 일이다. 그동안 양측은 국교정상화 회담의 최대 쟁점인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하면서 한치도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2월 이후 1년 1개월만에 재개된 양측 정부간 협상은 당초 예상대로 이런 입장차만 공식적으로 재확인하는데 그쳤다. 7일 첫날 회의가 파행으로 치닫으면서부터 협상 전망은 어두웠다. 일본측이 납치피해자 전원 송환 등 강경한 요구를 한데 대해 북한측이 반발하면서 오후 회담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양측은 추가 접촉을 통해 8일 낮 회담을 재개하는데는 성공했으나 회의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일본은 ▲모든 납치 피해자 귀국 ▲진상규명 ▲납치 가담자 인도 ▲납치 피해자 재조사 및 특정 실종자 조사 등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고 이에 북한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이는 납치 문제에 대한 양측의 인식이 극명하게 대비되는데서 출발한다. 북한은 납치 문제가 지난 2002년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당시 일본 총리간의 정상회담에서 정리된 사안
2차대전 당시 군대위안부로 끌려갔던 피해자들에 대한 위로금 지급 업무 등을 담당해 온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이 이달말 해산되고 비영리법인(NPO)으로 업무 일부가 인계된다. 이 기금은 1993년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고노(河野)담화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로 95년 7월 민간모금액을 기반으로 발족한 기구다. 이 기금은 2005년 1월 "모든 사업이 일단락됐다"며 2006년말까지 해산키로 결정했었다. 하지만 피해여성과 지원단체들 사이에서는 피해자들의 복지 서비스가 중단되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기금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사업을 인수할 단체는 노동조합출신의 전 기금직원들이 중심이 돼 지난 1월에 설립됐으며, 이달중에 NPO법인으로 공식 출발할 방침이다. 현재 기금 가운데 3천만엔을 인수해 생존 피해자들의 의료.복지를 지원하고 향후 일본 외무성 등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을 방침으로 전해졌다. 기금은 95년 설치된 이후 한국, 대만 등의 피해자들에게 1인당 200만엔의 위로금과 의료복지비를 전달하고 총리의 사죄편지를 발송했다. 하지만 피해자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단체들로부터 "정부의 책임회피 수단에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환경소위원회의 에니 팔리모베가(민주) 소위원장이 6일 위안부 비난 결의안 채택 시점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미 이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지지(時事)통신이 워싱턴발로 보도했다. 외교위 아.태환경소위원회는 2차대전 당시 일본의 군대 위안부 동원을 비난하는 결의안 심의를 담당하고 있다. 팔리모베가 소위원장은 지지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을 방문하는 아베 총리에게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게 하고 싶지 않다"고 말해 결의안 채택을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 이후로 미룰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팔리모베가 소위원장은 소위원회에서 결의안 심의를 신중하게 계속할 것이라면서 "더 좋은 모습이 되도록 의논하는 것이 민주주의다"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이 발언을 "일본 정부가 이미 사죄를 표명했다는 지적에 입각해 (결의안) 일부 수정도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5일 오전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 종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는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의 결의안에 대해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 의결이 되더라도 내가 사죄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민주당 오가와 도시오(小川敏夫) 의원의 위안부 결의안과 관련한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미 하원 청문회에서 이뤄진 증언 중 어떤 것도 확고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구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하는데 개입했다는 근거가 없다고 발언해 한국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에 직면한 가운데 아베 총리가 국회에서 같은 취지의 발언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파문이 예상된다. 특히 이런 발언은 취임 후 위안부 강제동원을 시인한 1993년 고노(河野)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혔던 그의 지난해 국회 발언과도 배치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아베 총리는 "기본적으로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자세에는 변함이 없다고 재자 주장했다. 아베 총리가 국제사회의 비난이 예상됨에도 이런 발언을 강행한 것은 고노 담화가 위안부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표명하고 있어 미 하원의 위안부 비난
"위안부 동원에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발언 에 대해 한국은 물론 미국에서도 비판여론이 비등하는 등 파문이 확산되자 일본 정부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 고위층의 인식은 변한 게 없지만 이번 논란으로 인해 한국 등 주변국과의 마찰이 가시화되고 있는데다 내달 하순 아베 총리의 방미를 앞둔 상황에서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사죄를 거부하고 있다는 국제적 비난여론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외무성 등 정부 일각에서는 이번 논란이 현재 미국 하원에 제출돼 있는 종군위안부 비난 결의안의 '저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현지 로비스트는 물론 정부 관리들까지 현지로 급파돼 결의안 저지 로비에 나서고 있지만 작년 4월 제출됐던 결의안을 저지했던 것과는 달리 올해는 상황이 변했다는 것이다. 지난 해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다수당이 되면서 하원 의장과 외교위원장에 낸시 펠로시, 톰 랜토스 의원 등 민주당 인사들이 포진하면서 로비가 그만큼 어려워진 것으로 일본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이런 점들을 들어 이번에는 위안
북한 공작원에 의한 일본인 납치는 북한의 주장처럼 우발적 사건이거나 "망동주의자의 범행"이 아니라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개입한 의혹이 있다고 산케이(産經)신문이 4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런 근거로 북한에 납치됐다 돌아온 하스이케 가오루(蓮池薰)씨가 경찰 조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임이 두텁고 한국인 납치사건을 지휘했던 강해룡(姜海龍) 전(前) 북한 대외정보조사부 부부장을 만난 사실이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신문에 따르면 강 전 부부장은 1978년 영화감독 신상옥(申相玉), 최은희(崔銀姬)씨의 납치를 지휘한 것은 물론 87년 11월 대한항공기 폭파사건의 김현희(金賢姬)씨를 공작원으로 선발하는 데도 관여한 인물이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강력한 권한을 배경으로 체제 유지를 위한 특수공작을 기획, 지휘해왔다. 일본 경찰 당국도 그동안 강 전 본부장의 일본인 납치 관여 여부를 집중 조사했지만 별다른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하스이케씨가 "강 전 부부장과 만난 적이 있다"고 최근 진술함으로써 수사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동안 일본 경찰의 대외정보조사부는 북한이 팀을 편성해 일본인 납치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일 내주 뉴욕에서 열리는 북.미국교정상화 워킹그룹 회의와 관련, 미국에 의한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문제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2일 보도했다. 그는 이날 미국 국무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이 국제금융기관의 융자 등을 받는데 최대 장애가 되고 있는 테러지원국 지정 문제에 대해 "워킹그룹에서 테러지원국 지정 이유로 돼 있는 북한의 과거 테러 사건을 모두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또 대북 경수로 지원 문제에 대해서는 "북한이 플루토늄을 갖고 있는 한 경수로 논의를 할 자격이 없다"면서도 핵폐기가 전제되면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또 95t의 대북 중유 지원 일정과 관련,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일례로 북한의 조치에 따라 향후 1년 동안 12-24차례로 나눠서 단계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워킹그룹 회의가 북한에서 열리게 될 경우 방북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힐 차관보는 또 북한이 1단계 조치를 이행해 6자회담 참가국 외무장관
일본 정부가 미국 하원에 제출된 종군 위안부 비난 결의안 채택 저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고위 관리를 미국 워싱턴으로 파견해 로비전을 벌이는가 하면 국내에서는 보수파 의원과 각료들까지 나서서 구 일본군의 종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의 담화 수정론을 재점화하는 등 분위기 조성에도 주력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관방장관 등 정부 최고위급 인사들도 종군위안부 강제 동원의 "근거가 없다"는 인식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어 한국 등 주변국과의 마찰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아베 총리는 1일 밤 고노 요헤이 담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강제성을 증명하는 증언이나 뒷받침하는 것은 없었다. 그러므로 그 정의에 대해서는 크게 변했다는 것을 전제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교도통신은 이 발언을 구 일본군이 직접 관여했다는 '협의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사실이 없다는 뜻이라고 해석했으나 산케이(産經)신문은 고노 담화 재검토를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10월 중의원 답변에서도 구 일본군에 의한 직접적인 동원 등 '협의의 강제성'에
독도 주변 해역을 포함한 한일간 배타적경제수역(EEZ) 설정을 위한 양국 정부간 협상이 내달 5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개최된다고 NHK가 28일 보도했다. 양국간 EEZ 협상은 지난해 6월 6년만에 재개된 바 있으나 한국이 독도 영유권 방침을 분명히 한데 반해 일본은 독도 영유권과 EEZ를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맞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지난해 9월 종료된 바 있다. 양국간 EEZ 경계가 결정되지 않음에 따라 독도 주변 해역의 해양조사 과정에서 양국의 대립이 이어졌다. 다만 지난해 10월에는 사전 합의에 의해 한.일 공동으로 이들 지역에서 방사능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번 협상에서 일본측은 향후 대립을 피하기 위해 이 해역에서의 해양조사에 대해서는 사전통보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재차 한국측에 제안할 방침이라고 NHK는 보도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일본 교토(京都)지방재판소는 외국 국적을 이유로 노령연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차별을 금지한 국제인권규약과 헌법에 위반된다며 교토에 거주하는 한국인 여성 5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1인당 1천500만엔의 위자료 청구 소송을 기각했다. 야마시타 히로시(山下寬) 재판장은 "입법부의 재량 범위 내의 사안으로 위법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현순임(80)씨 등 5명은 1959년 시행된 국민연금법에서 외국국적을 이유로 수급대상에서 제외된데 반발, "무연금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국적에 따른 부당한 차별로 국가가 시정을 소홀히 하는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보험료 납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외국인을 연금수급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정책적 판단으로서 합리적인 재량권의 범위에 속한다"고 주장해 왔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일본 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에서 대북지원에 참여하지 않기로 하는 등 한국, 미국 등과 다른 행보를 취하기로 한 것을 둘러싸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요미우리(讀賣)신문과 산케이(産經)신문에 따르면 정치권 일각에서 "일본의 이번 독자적인 행보가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고립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비판론이 제기되자 여권 인사들은 "북한은 여전히 신뢰할 수 없다"고 반박하며 정부 입장을 옹호했다. 야마자키 다쿠(山崎拓) 자민당 전 부총재는 14일 오후 기자단에 "한반도의 비핵화로 가장 큰 혜택을 보는 것은 일본이다. 다른 나라에 비핵화를 맡기는 태도는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마스조에 요이치(舛添要一) 자민당 의원도 "미국이 먼저 나서서 (북.미국교정상화를) 해버리면 일본은 대응 수단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가토 고이치(加藤紘一) 의원이 회장으로 있는 자민당 아시아 외교.안보비전연구회가 14일 국회에서 개최한 임원회의에서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대북외교에 대한 비판과 의문의 목소리가 터져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서는 "정세 전개가 빠르다. 핵과 납치 문제가 한 세트라는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정부가 대북 정책을 명쾌하게
스탠퍼드대, 하버드대가 환경보호 분야에서도 미국 최고의 대학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USA투데이 인터넷판이 24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비영리 연구단체인 지속가능한재능연구소(SEI)가 재원이 풍부한 미국의 10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노력 성적을 측정해 24일 발표했다. SEI는 재생가능한 에너지 사용, 현지 생산 식품 사용, 기부금 사용처 공개 등을 실시한 대학에 높은 점수를 줬다. 그 결과 스탠퍼드, 하버드대 외에 윌리엄스대, 다트머스대가 환경친화적인 여러 관습을 유지해 왔을 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 기부금 사용처도 공개해 최상위권에 올랐다. 미국의 학교 관리들은 환경보존을 중요한 문제로 생각한다고 미국대학협회의 리처드 헐리 회장은 말했다. 헐리 회장이 재무책임자(CFO)를 맡고 있는 메리 워싱턴대에서는 지난해 재단 이사회가 에너지 절약 시스템에 800만달러를 투자했다. 재단측은 10년 뒤에는 이로 인해 매년 45만달러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테네시주 클라크스빌에 있는 오스틴 피 주립대학에서는 학생들이 그린에너지기금 조성을 위해 학기당 학생 1인당
"1월 22일은 올해 가장 우울한 날" 궂은 날씨에 긴 밤, 지난 연말연시에 썼던 카드대금도 처리해야 하는 1월 22일이 올해 가장 우울한 날이라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인터넷판이 이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매년 가장 우울한 날을 선정해 발표했던 영국 카디프 대학의 클리프 아놀 박사는 올해의 경우 22일이 바로 그 날이라고 밝혔다. 새해를 맞아 금연을 결심한 사람들도 주말을 잘 보낸 뒤 직장으로 출근해 이런저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담배를 입에 물게 될 수도 있는 날이란 것이다. 아놀 박사는 사람들이 가장 우울해지는 때가 1월의 마지막 7일짜리 주의 월요일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주가 7일이 안될 경우는 그 앞주의 월요일이 가장 우울한 날이 된다는 것이다. 필립 호드슨 영국상담협회 연구원은 "최악의 날이 월요일이란 점은 다른 증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며 "우리 인체는 25시간 짜리 시계에 따라 활동한다. 이에 따라 주말이 되면 늦게까지 잠을 자지 못한다. 월요일 아침에 깰 때 신경질이 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연말연시 흥청망청 먹고 마신 뒤 불어난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