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당시 군대위안부로 끌려갔던 피해자들에 대한 위로금 지급 업무 등을 담당해 온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이 이달말 해산되고 비영리법인(NPO)으로 업무 일부가 인계된다.
이 기금은 1993년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고노(河野)담화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로 95년 7월 민간모금액을 기반으로 발족한 기구다.
이 기금은 2005년 1월 "모든 사업이 일단락됐다"며 2006년말까지 해산키로 결정했었다. 하지만 피해여성과 지원단체들 사이에서는 피해자들의 복지 서비스가 중단되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기금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사업을 인수할 단체는 노동조합출신의 전 기금직원들이 중심이 돼 지난 1월에 설립됐으며, 이달중에 NPO법인으로 공식 출발할 방침이다.
현재 기금 가운데 3천만엔을 인수해 생존 피해자들의 의료.복지를 지원하고 향후 일본 외무성 등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을 방침으로 전해졌다.
기금은 95년 설치된 이후 한국, 대만 등의 피해자들에게 1인당 200만엔의 위로금과 의료복지비를 전달하고 총리의 사죄편지를 발송했다. 하지만 피해자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단체들로부터 "정부의 책임회피 수단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는 위로금 수령 거부 운동도 벌어진 바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은 7일 기자회견에서 아시아여성기금의 해산에 대해 "일본의 성의를 전달하는 의미에서 일조했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의 역할을 평가했다.
또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하나의 매듭을 지었다고 볼 수 있지만, 고노 담화의 정신에 따라 일본 정부로서 계속해서 충분한 관심을 기울여나갈 생각이다"고 밝혔다.
한편 기금 이사장인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아베 총리의 최근 발언에 대해 "기금은 고노 담화의 정신에 입각해 활동해 왔다. 총리가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한 이상 믿고싶다"고 말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그러나 미 하원에서 일본의 사죄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제출된데 대해서는 "역대 총리들이 위안부들에게 사죄의 편지를 보낸 점이 이해되지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다"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