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북한제 무기와 탄약에 크게 의존하던 러시아는 북한과 사실상의 안보조약을 체결했고, 이에 한국은 상황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미국, 영국 등 서방 국가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미국은 현존하는 세계 최강의 방공 무기인 패트리어트 미사일 시스템을 먼저 주문한 동맹국들 대신 우크라이나에 먼저 제공하면서 동맹국들 사이에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의 취약한 군사산업 기반을 드러낸 패트리어트 재배치(Patriot missile diversions expose weak military-industrial base)”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일상적인 공습을 방어하기 위해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방어를 위해 패트리어트를 지원하는 미국 정부의 결정이 원칙적으로는 옳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설은 이번 패트리어트 논란을 계기로 미국의 군사산업이 얼마나 약해졌는지 드러났다고 언급
‘최순실 태블릿’의 이동통신 가입계약서 조작 문제와 관련 SK텔레콤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진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재판부에 국민참여재판을 신청했다. 변희재 대표는 24일자로 서부지법 형사 7단독 재판부(마성영 재판장)에 제출한 국민참여재판 의사확인서를 통해 “이 사건은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쪽이 국내 굴지 거대기업 SK텔레콤이며 또한 쟁점 사항과 관련 피해자 거대기업 SK텔레콤의 주장과 언론인인 피고인의 주장이 배치되는 사건”이라면서 “전문 법관이 아니라 일반 국민의 법감정에 따른 판단을 구하는 것이 사법 신뢰 차원에서도 적정한 사건이라고 사료된다”고 밝혔다. 의사확인서에서 변희재 대표는 “이 사건은 쟁점 사항 중의 핵심이 바로 전 국민이 한 번 이상 작성해봤을 모바일기기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의 조작 여부”라며 “이 역시 전문 법관보다는 일반 국민의 경험치가 훨씬 더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 국민은 ‘이 사건 태블릿 계약서’는 물론, SK텔레콤이 해당계약서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취지로 공개한 ‘또 다른 스마트기기 계약서’의 싸인과 필적, 명의 등에 대한 검증 과정에서 양 계약서가 위조되었음을 충분히 파악,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5월 30일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에서 1심 유죄 선고를 받은 후에도 오히려 승기를 잡은 분위기다. 미국의 여론조사 기관인 라스무센(Rasmussen)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는 바이든에게 무려 9%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욕 법원의 1심 판결을 빌미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중죄인(felon)’이라고 규정하는 민주당의 선동이 먹히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대부분의 공화당 지지자들은 유죄 선고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에 대한 신뢰를 접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중도 성향 유력 매체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제10연방항소법원 판사를 지낸 마이클 W. 맥코넬(Michael W. McConnell) 스탠퍼드 로스쿨 교수의 칼럼 “공화당 지지자들이 유죄 선고를 받은 트럼프를 버리지 않는 이유(Why Republicans Don’t Abandon ‘Felon’ Trump)”를 게재했다. 칼럼은 공화당 지지자들의 경우 민주당 검찰이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표적 수사를 했다는 생각이라고 지적한 후 “그들은 트럼프 대
도태우 변호사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대위원장을 향해 “당대표직에 도전하는 한 위원장은 패션(Fashion)이 아니라 패션(Passion)을 추구했어야 한다”며 “자신이 빛나는 보석으로 두드러져 보이기보다, 열정으로 인한 수난을 겪어낼 진정성을 보여주었어야 한다”고 직격했다. 도 변호사는 24일 SNS에 ‘당대표직의 패션’이라는 제목을 글을 올려 “대통령의 탄핵, 임기단축 개헌, 체제변성적인 주장이 공공연히 거론되고 추진되는 광대(狂大)야당의 현실 앞에서 ‘대통령보다 더 멋있어 보이는 여당 대표’란 ‘삶의 관점’에서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도태우 변호사는 이날 과거 법정에서 한 전 위원장을 마주쳤던 순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도 변호사는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대위원장을 처음 본 것은 2017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 형사재판정인 서울중앙지방법원 417호에서였다”며 “필자는 변호인석에 한 위원장은 검사석에 마주 앉아 있었다. 한 위원장은 이원석 현 검찰총장과 함께 공판검사팀을 이끄는 투톱(two top)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한 위원장의 도회적인 옷맵시는 둔감한 내 눈에도 이미 튀어 보였던 것 같다. 그러나 당시 필자에게 가장 두드러
SBS가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 조작 문제와 관련해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의 입장을 담은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지난 21일 SBS는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내용의 변희재 대표 측 반론을 두 개 기사를 통해 공개했다. 앞서 지난 5월 31일 이 매체는 “'태블릿PC 허위사실 유포' 변희재,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 그리고 “'국정농단 태블릿 허위사실 유포' 변희재 명예훼손 혐의 기소” 제하 두 개 기사를 통해 유튜브에서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된 태블릿PC의 가입계약서가 위조됐다는 등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미디어워치 변희재 대표가 재판에 넘겨졌다는 취지의 보도를 했다. 이에 변 대표는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와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보수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판사 매수 의혹, 그리고 최태원 회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최순실 태블릿’ 조작 커넥션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신의한수는 지난 19일 “한동훈-SK 은밀한 관계?”라는 제목의 방송을 통해 “법무법인 바른, 태블릿 조작, 전장연을 통한 연결고리 의혹에 대해서 최태원과 한동훈이 해명해야 한다고 본다”며 최태원과 한동훈이 부각되는 수상한 네트웍에 대해 거론했다. 이날 신의한수 소속 이병준 기자는 먼저 최근 인터넷에서 새삼 화제가 되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판사 매수 의혹을 제기했다. 이 기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나비아트센터 관장 이혼 재판 1심에서 최태원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던 김현정 부장판사는 약 3개월 뒤 법무법인 바른에 들어갔다”며 “약 1년 뒤 법무법인 바른의 매출이 1,000억을 첫 돌파했다는 보도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보도 말미에 바른의 관계자가 매출 상승과 관련해 설명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바른은 지난해 HD현대중공업 통상임금 소송, 마산로봇랜드 실시협약해지시 지급금 등 청구소송과 SK에코플랜트 4,400억대 PF 약정 자문을 맡아 좋은 결과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한 YTN이 관련 변 대표의 입장을 담은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20일 YTN은 변희재 대표의 입장인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를 게재했다. 앞서 지난 5월 31일 YTN은 “檢, '국정농단 태블릿 허위사실 유포' 변희재 기소”라는 제목으로, 민간인 국정농단 사건의 핵심 증거 '최순실 태블릿'의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던 바 있다. 이에 변 대표는 “차후 받게 될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 및 손해배상 조정을 신청했다.
국민일보가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 조작 문제와 관련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의 입장을 담은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18일자 국민일보는 관련 변희재 대표의 입장인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를 그대로 게재했다. 앞서 지난 5월 31일 국민일보는 “‘국정농단 태블릿PC 조작설’ 변희재,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재판행” 기사를 통해 박근혜 정권 탄핵의 스모킹건 ‘최순실 태블릿’의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다 이에 변 대표는 “차후 받게 될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 및 손해배상 조정을 신청했던 바 있다.
아시아경제가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 조작 문제와 관련해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의 입장을 담은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18일자 아시아경제는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내용으로 변희재 대표의 반론을 실었다. 앞서 지난 5월 31일 아시아경제는 “‘국정농단’ 태블릿PC 계약서 위조”… 변희재 불구속 기소 제하 보도를 통해 민간인 국정농단 사건의 핵심 증거 ‘최순실 태블릿’의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었다. 이에 변 대표는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와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신청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임기 중 중국을 본격적으로 견제하기 시작한 첫 미국 대통령이며, 조 바이든 대통령도 중국 문제에 있어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을 상당 부분 계승했을 정도로 중국 문제는 공화당과 민주당이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사안이다. 따라서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바이든 후보와 공화당 트럼프 후보 중 누가 당선되더라도 미국은 중국 공산당에 대한 비타협적 노선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oreign Policy)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랜디 슈라이버(Randy Schriver) 프로젝트 2049 연구소 이사장과 댄 블루멘털(Dan Blumenthal) 미국기업연구소 선임 연구원 및 조쉬 영(Josh Young) 프로젝트 2049 연구소 소장이 공동으로 기고한 “
[편집자주] 이 칼럼은 차기환 방문진 이사에게 오늘자로 공문 형태로 발송됩니다. [변희재 · 미디어워치 대표이사] 과거 JTBC에서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에 대한 조작보도를 내보낸 주역인 손석희가 11년만에 친정 MBC에 복귀한다. MBC 측은 18일 “손석희가 7월 13일부터 총 5회에 걸친 특집 기획방송 ‘손석희의 질문들’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손석희의 질문들’은 손석희가 매주 새로운 게스트들과 함께 우리 사회 각 분야의 이슈에 관해 대담을 나누는 5부작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5회 프로그램 각각의 주제는 ‘자영업의 위기’, ‘디지털 시대 저널리즘의 고민’, ‘영화의 갈 길’, ‘나이듦에 대한 생각’, ‘텍스트의 쇠퇴’다. 놀라운 일이다. 윤석열 정권 들어서 그렇게 탄압을 받는다고 엄살을 떨던 MBC가 바로 윤석열 정권을 만들어낸 JTBC ‘최순실 태블릿’ 조작보도의 장본인인 손석희를 받들어 모시겠다는 셈이니 말이다. 필자가 일찌감치 지적했듯이 MBC, KBS, 한겨례, 오마이뉴스 등 박근혜 탄핵 당시의 거짓선동 언론들은 차라리 윤석열에 의해 조금 탄압을 받을지언정 윤석열을 탄생시킨 태블릿 조작 사건의 진실을 알리는 일은 목에 칼이 들어와도 하지 않
대표적인 보수 시사평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조우석 평론가(전 KBS 이사)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 “신뢰하기 힘든 사람”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정통 보수 진영 내에서 한 전 위원장의 사상에 대해 본격적인 검증이 이뤄지는 조짐이다. 조우석 평론가 17일 유튜브 채널 ‘너만몰라TV’의 ‘[ 조우석 평론가 특별 영상 ] 국힘당대표 한동훈?! 우리가 잘 몰랐던! 정치검사 한동훈의 진실! - 2024.06.17.’ 제하 방송을 통해 “한동훈을 위장우파라고 하는 사람들이 흔히 있다”며 한동훈 전 위원장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어떤 사람에 대해 알려면 그 사람의 주변 친구들을 보면 된다는 얘기가 있는데, 그런 기준으로 보면 (한동훈은) 애매한 부분이 있다”며 “한동훈이 출마 기자회견을 한다는 기사가 올라갔다가 삭제됐는데, (이 보도의 부제목에는) 한동훈이 김경율, 진중권, 신지호 등을 끌여들였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전했다. 이어 “왜 한동훈 주변에는 자유우파 인물이 없는가. 한동훈이 트로이의 목마가 아닌가, 하는 예측도 우리 주변에서 나오고 있다”며 “한동훈은 이에 대해 설득력 있는 답변을 해야한다”고
박근혜 정권 탄핵 사태를 촉발한 것으로 알려진 ‘최순실 태블릿’의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한 서울신문이 변 대표의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서울신문은 17일자 반론보도문을 통해 변희재 대표의 입장을 그대로 게재했다. 변희재 대표는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면서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31일 서울신문은 ‘‘국정농단 태블릿 허위사실 유포’ 변희재 명예훼손 혐의 기소’ 제하 보도를 통해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하면서 정작 당사자인 변 대표의 입장은 소개하지 않았다. 이에 변 대표는 “차후 받게 될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와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신청했다. 이번 반론보도는
민간인 국정농단 사건의 핵심 증거로 알려진 ‘최순실 태블릿’ 이동통신 가입 계약서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했던 시사저널이 변 대표의 반론보도문을 게재했다. 17일자 시사저널의 반론보도문을 통해 변희재 대표는 “SK텔레콤에 의한 최순실 태블릿의 계약서 조작 사실은 관련 소송들에서의 각종 사실조회 결과와 필적 감정 등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면서 “이를 토대로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도 SK텔레콤과 공모 혐의가 있는 검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31일 시사저널은 ‘'태블릿 PC 조작설' 변희재, 명예훼손 혐의 기소’ 제하 보도를 통해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SK텔레콤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재판에 넘겨졌다고 보도하면서 검찰의 일방적 입장만 담아 보도했던 바 있다. 이에 변희재 대표는 “차후 받게 될 계약서 조작 문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입증 방해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여지가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반론보도와 손해배상을 구하는 조정을 신청했으며 이번 반론보도는 시사저널과의 사전합의로 게재됐다.
※ 본 칼럼은 일본 산케이신문(産経新聞)에 2024년 6월 12일자로 게재된 니시오카 쓰토무(西岡 力) 교수의 ‘거짓말로 생겨난 ‘위안부 문제’가 사라지는 날(噓からの「慰安婦問題」終わる日)‘ 제하 칼럼을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거짓말로 생겨난 ‘위안부 문제’가 사라지는 날 (噓からの「慰安婦問題」終わる日) 나라와 선인(先人)의 명예를 훼손했다 필자는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 1991년부터 가세해 강제연행설, 성노예설은 사실이 아니라는 논진을 계속 펼쳐왔다. 필자의 지론은, 위안부는 역사상 어느 시기에도 존재했던 것이기에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는 의미의 위안부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1991년도에 아사히신문이 날조 보도를 섞어 관련 대캠페인을 벌이고 일본의 반일 학자와 변호사, 운동가가 재판을 일으킨 뒤에야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는 의미의 위안부 문제가 만들어졌다는 것이고, 또 그것이 한국에 불똥이 튀면서 외교문제로 급부상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현재도 사실무근인 강제연행설, 성노예설이 확산되어 우리나라와 선인(先人, 조상)의 명예가 현저하게 훼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