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핵심 관계자가 이명박 후보 측에서 10월말경 “대선 때 중립을 지켜주면 퇴임 이후를 보장하겠다”는 제안을 해왔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한겨레신문사가 정동영 후보 측이 제기한 노무현과 이명박 후보 간의 빅딜설을 취재하면서 드러났다.
청와대의 천호선 대변인은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관여할 의사도 없고, 관여할 수도 없다는 것을 정 후보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더 코멘트할 게 없다”며 정동영 후보의 문제제기를 일축했다. 문제는 다른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가 한겨레신문의 취재에 대해 “이명박 후보 쪽에서 지난 10월 말 ‘선거에서 중립만 지키면 퇴임 이후를 보장할테니, 만나자’며 문재인 비서실장과 만남을 요구했지만 우리는 대화조차 거절했다”고 밝힌 것.
청와대의 말을 그대로 믿는다 하면, 이명박 후보 측에서 분명히 제안이 왔다는 것이다. 이를 문재인 비서실장이 거절했다고는 하나, 그 뒤 어떤 만남이 있었을지는 명백히 밝혀진 것이 없다.
의혹의 대상이 되는 점은 현재의 청와대와 노무현 대통령의 태도이다. 노대통령은 이명박 후보 측의 요구대로, 검찰 수사에 대해 철저히 중립과 불개입 태도를 지키고 있다. 검찰총장 임명권자이자, 법무부장관과 함께 검찰 총 관리 책임을 지고 있는 대통령의 태도로서는 석연치 않다.
특히, 노대통령은 수시로 검찰 수사 및 법원 판결에 대해 문제제기를 해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노대통령은 선관위와 헌재판결 등에 삿대질 수준의 비판을 해온 바 있다. 강정구 교수 국가보안법 위번 건에 대해서, 노무현 정권 하의 천정배 당시 법무부 장관은 수사권 발동권까지 동원하며 적극 개입하여 구속을 막아내기도 했었다.
정동영 후보는 검찰 수사에 대한 노대통령의 책임론 비판의 수위를 점차 높여가고 있다. 신당의 오충일 대표 역시 최고위원 회의에서 오 대표는 "며칠 전 한덕수 경제부총리가 예산안 심의 문제로 당사에 들렀을 때 그런 이야기를 했다"며 "검찰이 이런 짓을 했을 때 누가 조사해야 하는가. 자기들이 저지른 엄청난 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할 것 아니냐"고 거듭 청와대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신당 측에서 노대통령과 이명박 후보 간의 빅딜에 대해 연일 의혹을 제기하는 시점에서, 청와대 측이 이명박 후보 측에서 거래를 제안해왔다는 점을 밝히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한편 신당에서는 검찰 탄핵안을 발의했고, 상황에 따라서 법무부장관 경질도 요구할 태세이어서, 노대통령이 언제까지 검찰의 수사에 대해 침묵을 지킬 수는 없을 거라 예상되고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