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마무리 단계로 돌입한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국교정상화를 위한 물밑 협상도 진행되고 있다. 양국의 국교정상화 협상은 타결 단계까지 갔으나 지난해 10월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으로 가자(Gaza) 전쟁이 시작되면서 일단 보류되었고, 최근 미국의 노력으로 재개된 바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유라시아 그룹(Eurasia Group)의 회장인 클리프 쿠프찬(Cliff Kupchan)이 기고한 ”
코로나 종식 이후 실물경제 과열과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미국과 달리, ‘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불경기로 인한 디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자본이 중국을 이탈하고 실물경제가 침체되면서 중국인들의 구매력은 대폭 하락했고, 여기에 위기에 처한 중국 기업들이 원래부터 있었던 막강한 대량생산 능력을 앞세워 초저가 제품을 판매하면서 전세계는 중국발 덤핑 공세에 노출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 타임즈(Taipei Times)’는 9일 ”
지난달 3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34개 범죄혐의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의 판결로 인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를 기소한 뉴욕 맨해튼 검사장 앨빈 브래그가 민주당 소속이며, 극좌인사인 조지 소로스의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조작수사 및 편파수사 논란도 쉽게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앨빈 브래그 검사장의 정치 성향과는 별개로, 트럼프의 기소 과정에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개입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이번 논란은 새로운 쟁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참고로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판결에 항의하는 여론에 대해 “판결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조작이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It’s irresponsible for anyone to say this was rigged, just because they don’t like the verdict)”고 직접 비난하고 나섰다.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페더럴리스트(The Federalist)’는 지난 3일(현지시간) 변호사이며 탐사전문 저널리스트인 마고 클리블랜드(Margot Clevelend)가 기고한 칼럼 ”2021년 12월 뉴욕타임즈 기사를 소개했다. 이어 폴 웨
‘성추문 입막음용 뇌물’ 혐의로 기소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 34개 범죄혐의에 대해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날 유죄 선고를 내린 뉴욕 형사법원이 배심원단을 편향적으로 조직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화당 지지자들은 더욱 결집할 기세다. 실제로 트럼프 대선 캠프는 유죄 판결 직후 만 하루 동안 5280만 달러의 후원금이 모금됐다고 밝혔다.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
2년 만에 재개된 태블릿 명예훼손 형사재판이 재판부가 노골적인 증거조사 중단을 선언하고 나오면서 결국 파행을 맞았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항소심 제4-2형사부(나)(엄철, 이훈재, 양지정 부장판사)는 30일 오후 3시, 서울중앙지법 서관 422호 법정에서 12차 공판을 열었다. 이번 공판은 이른바 ‘최순실 태블릿’에서 L자 잠금패턴 조작 사실이 과학적, 객관적 기록으로 확정된 이후 열린 항소심 형사재판 첫 공판이다. 하지만 이번 공판에서 재판부는 L자 잠금패턴 조작 여부는 아예 심리조차 하지 않았다. 피고인들인 미디어워치 측 변희재 대표이사, 황의원 편집국장, 이우희 기자, 오문영 기자에 대한 인정신문(人定訊問, 재판 당사자 확인) 이후 앞서 재판과정을 간단하게 복기한 엄철 재판장은 이내 미디어워치 측의 태블릿 이미징파일 열람복사 신청을 기각했음은 물론, 전임 재판부의 김한수 전 청와대 행정관과 심규선 국과수 공업연구관에 대한 증인 채택까지 모두 취소시키는 일방적 결정을 내리고 나섰다. 특히 태블릿 이미징파일 열람복사는 법정에 출석한 공판검사조차 “제출명령에 큰 무리가 없다”고 미디어워치 측 신청에 동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엄철 재판장은 검찰 측이 피고인 측에게
오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유력해지면서, 국내외 언론은 미국의 외교정책이 대폭 수정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완전히 포기할 뿐 아니라 친러세력이 미국 외교안보 정책을 좌지우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28일(현지시간) 국제정책 자문업체인 ‘American Global Strategies LLC’의 대표이사 알렉산더 B. 그레이(Alexander B. Gray)가 기고한 ”
기후변화(climate change)에 대한 미국 공화당 지지자들의 관련 입장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기후변화 자체가 사기(hoax)이며 환경론자들의 거짓말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둘째는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화라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인류의 활동이 그 원인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마지막으로는 인류의 산업화로 기후변화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기후변화를 늦추려고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면 인류는 더 큰 비극을 맞이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코펜하겐 컨센서스(Copenhagen Consensus)의 대표이자 스탠포드 대학교 산하 후버 연구소(Hoover Institute)의 객원연구원인 비외른 롬보르(Bjorn Lomborg)가 기고한 칼럼 ”
중국이 세계 각지에 비밀경찰을 주둔시키고 있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한국 정보당국은 서울 송파구의 중국식당 ‘동방명주’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영사관 업무를 불법적으로 수행하고 국내 중국인을 송환시키는 등 비밀경찰 활동을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서양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 공산당은 중국을 탈출한 반체제 인사들을 감시하고 송환하는데 막대한 인력과 비용을 투입한다. 이들은 2014년부터 전 세계 120여개 국가에서 중국인 12,000명을 강제 송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제법 위반이며 심각한 인권침해 행위다. 이에 대해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타임즈(Taipei Times)’는 21일(현지시간)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국방부 차관보를 지낸 엘브리지 콜비(Elbridge A. Colby)는 최근 한국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에 대한 유사시 대규모 파병 계획이 중국에 대한 억지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에 이를 수정해야 한다(To the extent that we are currently planning on sending massive amounts of forces to Korea that would decrement from our ability to deal with the Chinese, I think we need to revise that)”고 밝혔다. 북한으로부터 한국을 지키는 것보다 중국의 침공으로부터 대만을 지키는 데 전략적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뉘앙스다. 이어 그는 “미국과 미국 대통령이 합리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한국 방위 계획이 필요하다(I think we need to have a plan for the defense of South Korea that the U.S. and the president of the U.S. could rationally implement)”는 언급도 했다. 이 발언은 오는 11월 미
미국 전역의 대학교에서 이스라엘과 미국을 규탄하고 테러집단인 하마스를 지지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시위꾼들은 대학 졸업식장에서도 소요사태를 일으켜서 졸업식이 취소된 대학도 있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에서는 졸업생 대표가 공개적으로 팔레스타인 지지를 선언하면서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고, 결국 대학 당국이 졸업식을 취소했다. 점점 더 과격해지는 친(親)하마스 시위와 이에 미온적인 대학 당국의 문제로 인해 미국 현지에서는 대학들을 향한 자금 지원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참고로 미국 대학들이 적성국가인 중국으로부터 천문학적인 자금을 지원받아서 여러 친중 성향 연구소를 운영 중인 것도 확인된 사실이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13일(현지시각) 미국혁신재단(Foundation for American Innovation)의 연구관리자인 로버트 벨라피오(Robert Bellafiore)가 기고한 칼럼 “
동아시아의 3대 경제대국인 한국, 일본, 중국은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공통적인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세계에서 인구가 2번째로 많은 중국은 2023년 합계출산율 1.0명을 기록하면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경제대국으로 등극할 기회를 상실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8일(현지시각) 미국기업연구소(AEI)의 니콜라스 에버슈타트 연구원이 기고한 칼럼 “
미국 대선을 6개월 앞두고, 지난 3월부터 약간 회복세였던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도가 다시 약보합세다. 최근 CNN이 공개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 따르면,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의 49% 대 43%로 6%p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중동 전쟁과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 유권자들의 불만이 높아지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역전 기회를 얻지 못한 채 이대로 ‘트럼프 대세론’이 굳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친(親)민주당 성향 정치컨설턴트인 더글러스 코헨(Douglas Cohen)은 6일(현지시각) 의회전문지인 더힐(The Hill)에 “
대부분의 국내외 언론은 현재 미국 각지의 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反이스라엘-親하마스 폭동을 ‘대학생들의 시위’라고 묘사한다. 극좌단체들이 주도한 2020년 5월 ‘BLM(Black Lives Matter)’ 폭동을 시민들의 자발적인 시위처럼 포장한 것과도 유사한 모습이다. 하지만 폭도들의 상당수가 대학생이 아닌 외부인들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민주당 소속 에릭 애덤스(Eric Adams) 뉴욕시장은 최근 컬럼비아를 비롯한 미국 각지의 대학에서 폭력시위를 주도한 ‘테러 선동가(pro-terror agitators)’들을 비난했다. 애덤스 시장의 발언은 사실로, 지난달 30일에는 뉴욕시에서의 시위자 중 절반에 해당하는 134명이 학생이 아니라 외부 선동가(outside agitator)인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2일(현지시간) “
지난 2020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전역에서 BLM(Black Lives Matter) 폭동이 확산됐고, 민주당 소속 주지사 또는 시장이 있는 지방정부에서는 폭도들의 요구대로 경찰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덕분에 캘리포니아를 비롯해 미국 수많은 지역은 강도와 마약 등 범죄뿐 아니라 노숙, 구걸, 노상방뇨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런 불법행위를 단속할 경찰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그나마 있는 경찰들은 BLM 폭동으로 인해 잔뜩 위축되어 있어서 법 집행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지난 29일(현지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