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에 소개드릴 자료는 현역 의사이자 뛰어난 과학적 회의주의 비평가이기도 한 존 번(John Byrne)이 쓴 ‘Evidence-Based Medicine Vs. Science-Based Medicine’를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리메이크(설명과 사례를 한국 실정에 맞게 대거 바꿨음)한 원고입니다. 이 원고는 2012년 11월 10일, 제주의사회 종합학술대회에서 발표했던 바 있습니다. 해당 원고는 이후 다시 인터넷 발표용으로 재편집되었습니다. 김진만 선생님, 이영록 선생님, 강용석 선생님, 신정재 선생님, 그리고 그 밖에 본 원고 발표 과정에 귀한 의견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기초과학(basic science)과 응용과학(applied science)은 차이가 있습니다. 기초과학은 자연의 기본적인 원리에 관한 과학적 지식으로 축적된 체계입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은 우리 살고 있는 우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며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이해하는데 근간이 되는 기본적인 사실들과 법칙들을 설명합니다. 현대에 확립된 우리의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사이언스베이스메디슨 블로그( http://www.sciencebasedmedicine.org )의 편집인 중 한 사람인 폴 인그래함(Paul Ingraham)이 통증 치료와 관련 침술에 대한 최신 논문들을 고찰한 글(Does Acupuncture Work for Pain?)입니다. 침술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유일하게 여겨졌던 통증 완화조차 최근의 연구들은 그 임상적 근거가 지극히 의심스럽다는 쪽으로 흐르고 있음을 지적하는 내용으로, 각주 등 읽을거리가 아주 풍부한 글입니다. 이 글은 원 저자인 폴 인그래함(Paul Ingraham)의 허락을 받고 올리는 글입니다. 폴은 인터넷 전업작가인 관계로 엄격한 저작권 조건을 지켜줄 것을 전제로 이 글의 번역 소개를 허락해주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선 이 글은 이곳 외에 다른 곳에 퍼가는 것은 절대적으로 금지라는 것을 알립니다(법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습니다). 외부에 이 글을 굳이 소개하겠다면 반드시 링크로 소개해주셔야 합니다. 황의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원장이 번역했습니다.(2012년 10월 18일 기준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본 자료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이 창립 기념으로 만든, 5대 한의학 치료법(침술, 뜸술, 부항, 한방물리요법, 한약)에 대한 과학적 평가 백서(White Paper) 중 ‘한약’ 편입니다.(2012년 10월 10일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작성하고, 유용상 이사(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남복동 고문(산업의학과 전문의)이 감수했습니다. ‘한약’(Chinese Herbal Medicine) “나는 그 누구에게도 한약을 권하지 않을 것이다.” -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 정의 Description 한약은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천연물(동물, 식물, 광물) 또는 가공된 약재를 혼합제조해 만들어내는 약물로 설명되고 있다. 배경지식 Background 한약(漢藥)은 그 명칭에서 짐작할 수 있듯 중국 한(漢)대의 토속민간치료법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의학계에선 관련 분야 지식과 이론을 집대성한 고전으로서 후한대의 '상한론傷寒論)'과 명대의 '본초강목(本草綱目)'을 꼽는다. 기원이 중국이기에 대한민국에서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본 자료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이 창립 기념으로 만든, 5대 한의학 치료법(침술, 뜸술, 부항, 한방물리요법, 한약)에 대한 과학적 평가 백서(White Paper) 중 ‘한방물리요법’ 편입니다.(2012년 9월 3일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작성하고, 유용상 이사(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남복동 고문(산업의학과 전문의)이 감수했습니다. ‘한방물리요법’(Acupressure, Tuina(Chuna), Chiropractic, Osteopathy, Spinal Manipulation) “척추교정과 관련한 대체의학적 물리요법은 절대 권할만한 치료법이 아니다.” -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snt) 정의 Description 한방물리요법(韓方物理療法)은 추나(영문으로는 Chuna 또는 Tuina 로 표기), 지압, 경락마사지 등으로 불리며, 한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경혈로 불리는 피부 지점을 자극하거나 척추 및 전신의 관절을 조작해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다. 배경지식 Background 중국에선 춘추전국시대 이후 진한(秦漢)시대의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본 자료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이 창립 기념으로 만든, 5대 한의학 치료법(침술, 뜸술, 부항, 한방물리요법, 한약)에 대한 과학적 평가 백서(White Paper) 중 ‘부항’ 편입니다.(2012년 9월 3일판)(2012년 9월 3일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작성하고, 유용상 이사(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남복동 고문(산업의학과 전문의)이 감수했습니다. ‘부항’(Cupping) “부항 시술이 특정 질환에 효능이 있다는 근거가 없다.” -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 정의 Description 부항(附缸, Cupping)은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작은 컵 모양의 부항단지 안에 진공을 유발, 경혈이나 경락이라 불리는 지점의 피부에 붙임으로써 피를 뽑거나 하여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다. 배경지식 Background 부항은 흔히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베트남이나 이집트, 러시아, 이란, 심지어 멕시코 등지에서도 오래 전부터 시술돼온 바 있으며, 지금도 여전히 토속민간치료법으로서 시술되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본 자료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이 창립 기념으로 만든, 5대 한의학 치료법(침술, 뜸술, 부항, 한방물리요법, 한약)에 대한 과학적 평가 백서(White Paper) 중 ‘뜸술’ 편입니다.(2012년 9월 3일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작성하고, 유용상 이사(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남복동 고문(산업의학과 전문의)이 감수했습니다. ‘뜸술’(Moxibustion) “뜸술은 하나의 치료법으로서 심각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 정의 Descripition 뜸술(灸術, Moxibustion)은 한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경혈로 불리는 피부 지점 위에서 쑥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를 태워 자극함으로써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다. 배경지식 Background 뜸술은 중국, 티벳 등 동아시아 지역의 토속민간치료법 중 하나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기록돼있는 것으로 보아 진한시대 이전부터 시술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뜸술의 주재료는 쑥(Artemisia Vulgaris)으로, 이를 말린 뒤 빻아서 뭉쳐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본 자료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이 창립 기념으로 만든, 5대 한의학 치료법(침술, 뜸술, 부항, 한방물리요법, 한약)에 대한 과학적 평가 백서(White Paper) 중 ‘침술’ 편입니다.(2012년 11월 8일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작성하고, 유용상 이사(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남복동 고문(산업의학과 전문의)이 감수했습니다. ‘침술’(Acupuncture) “침술은 사실상 의학적 이득이 없으며, 내재된 사상적 개념부터가 무의미하다.” -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 정의 Descripition 침술(鍼術, Acupuncture)은 한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소위 경혈로 불리는 피부 지점 등에 가느다란 바늘을 찔러넣어 치료하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다. 배경지식 Background 대개의 토속대체의학이 그러하듯 침술 역시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사가들은 침술에 관해 구체적으로 기록한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기원전 2세기경 중국문헌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을 꼽고 있다. 비록 침술이 중국에서 고대로부터 긴 기간 전승돼오긴 했지만,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로버트 토드 캐롤(Robert Todd Carrol) 박사의 ‘회의주의자 사전(skeptic's dictionary)’에서 'Cochrane Collaboration' 항목을 번역한 것입니다.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번역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을 다소 취했습니다. (2012년 8월 기준 번역)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tion) 코크란연합(Cochrane Collaboration, http://www.cochrane.org)은 정통적, 또는 비정통적 치료법을 다루고 있는 다양한 의학 연구 논문들에 대해 근거중심의학의 최고 레벨 연구방법론으로 일컫어지는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시행한 연구결과를 발간하는 대규모 학술연구 단체이다. 코크란연합은 이아인 차머스(Iain Chalmers)의 주도로 1993년에 설립됐다. 연구결과들은 코크란 라이브러리(Cochrane Library)를 통해 소개된다. 코크란연합에서는 전세계의 의학연구 전문가들이 어떤 치료법들이 정말로 효과가 있는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자료는 국내 최고의 광우병 전문가들인 ‘주 : 나는 사실을 존중한다’의 정지민 작가, ‘과학이 광우병을 말한다’의 유수민 씨, ‘눈초의 광우병 이야기’, 'PD수첩 광우병편 방송은 무죄다?'의 양기화 박사, 세분이 PD수첩 광우병 편을 둘러싼 논란을 대담 형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정지민 작가가 편집한 것이며 ‘주 : 나는 사실을 존중한다’의 부록으로 실렸습니다. 본 내용은 1부에 이은 2부 내용입니다. (1부 내용 : 광우병을 말한다. 광우병 최고전문가 3인의 대담. #1) 정지민 : 저는 오류라는 말도 과분하다고 봐요. 애당초 이론상으로도 성립되지 않는 내용을 그렇게 단순하게 표현해서 일상적으로 위협을 느끼게 했으니까요. 양기화 : 그리고 그런 주장에 반대되는 사실, 가령 김용선 교수가 논문에서 지적하고 있는, 광우병에 잘 걸리지 않는 유전자형은 백인에서는 볼 수 없는데 한국인과 일본인에서는 어느 정도 나타난다는 사실은 다루지 않았죠. 한국인이 광우병에 위험하다는 유전자형만 언급하고 유리하다는 유전자형은 슬쩍 넘어간 겁니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것만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자료는 국내 최고의 광우병 전문가들인 ‘주 : 나는 사실을 존중한다’의 정지민 작가, ‘과학이 광우병을 말한다’의 유수민 씨, ‘눈초의 광우병 이야기’, 'PD수첩 광우병편 방송은 무죄다?'의 양기화 박사, 세분이 PD수첩 광우병 편을 둘러싼 논란을 대담 형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정지민 작가가 편집한 것이며 ‘주 : 나는 사실을 존중한다’의 부록으로 실렸습니다. 분량상 2부로 나누어 싣습니다. 참고로, 양기화 박사님의 대담 말씀 중에서 스코틀랜드의 광우병과 육골분 사료에 대한 부분은, 양박사님이 충분히 자료 검토를 못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비록 지엽적인 사실 오류이지만, 양박사님께서는 대담 후반부에 따로 정정 자료까지 덧붙여주었습니다. 원고를 보내주시고 게재 허락을 해주신 정지민 작가님과 세세한 오류 수정까지 해주신 양박사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대담자 : 정지민 ('주 : 나는 사실을 존중한다'의 저자), 유수민 ('과학이 광우병을 말하다'의 저자), 양기화 (병리학 박사, '눈초의 광우병 이야기', 'PD수첩 광우병편 방송은 무죄다?'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의료일원화국민연대(과학중심의학연구원의 전신)가 주최한 국제세미나 ‘2차 의료일원화 국제토론회 - 동양의학! 만들어진 전통인가, 유구한 문화적 유산인가’(2009년 1월 17일, 서울 장충동 만해NGO 교육센터 세미나실)에서 장궁야오(张功耀) 교수가 강연한 원고('나는 왜 중의중약(中醫中藥)을 국가 의료 시스템에서 퇴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가?')를 재편집한 것입니다. 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 박혜은씨가 번역하고,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편집했습니다. 장궁야오 교수는 중국 중난대학 과학기술사회연구소의 과학철학 전공 교수로, 지난 2006년부터 중국의 국가의료시스템에서의 한의학 퇴출론을 내세워 중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학자입니다. ([니하오 베이징]“중의학이 엉터리라니”) 한의학은 왜 퇴출되어야 하는가? 2006년 10월 6일, 과학철학자인 필자 장궁야오(张功耀)와 미국의 중국계 의사인 왕징(王澄)은, 공동으로 인터넷에서 서명활동을 전개하여, 의료 보건 시스템 개혁 과정에서, 정책을 취해 약 5년의 경과를 거쳐 한의한약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의료일원화국민연대(과학중심의학연구원의 전신)가 주최한 ‘의료일원화 국제토론회’(2008년 3월 29일, 광주광역시 풍암동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장궁야오(张功耀) 교수가 강연한 원고(원문 제목 '중의중약(中医中药)의 현황(现状)과 미래(未来)')를 재편집한 것입니다. 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 박혜은씨가 번역하고,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편집했습니다. 장궁야오 교수는 중국 중난대학 과학기술사회연구소(中南大学科学技术與社会发展研究所), 长沙, 中国, 410083)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철학 전공 교수로, 지난 2006년에 ‘고별한의한약’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한의학 퇴출론으로 중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던 바 있는 학자입니다. ([세계의 창]중국 한의학 ‘탱자’ 될라) 쇠퇴하고 있는 중국에서의 한의학 Ⅰ. 한의학은 도대체 무엇인가? 병들지 않는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에 병이 발생한 후, 생겨날 수 있는 고통과 위해(危害)를 없애기 위해, 인류는 ‘의학(醫學)’을 만들었다. 인류를 위해 일(奉仕)하는 ‘의학’은 대체적으로 아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사이언스베이스드메디슨 블로그 필진이지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인 킴볼 앳우드(Kimball Atwood)가 ‘미국의사협회’ 의료윤리 학술지(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of Ethics) 2011년 6월호에 기고한 ‘“CAM”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 A Critical Opportunity Missed’라는 글을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의 황의원 원장이 번역한 것입니다. 의과대학에서의 “보완대체의학” 교육이 낳은 파행(“CAM”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 A Critical Opportunity Missed) 소피아(Sophia)가 한 명문대학교 의과대학 2학년생일 때 이야기다. 그녀는 어느날 학교에서 여러 보완대체의학(CAM)에 대한 개괄 차원의 수업을 종일 듣게 됐다. 하루 동안, 의과대학 학생들은 각각 다른 강의실에 번갈아 들어가서 ‘전체론적 의학으로서의 카이로프랙틱(holistic chiropractics)’, ‘바이오피드백 최면(biofeedback
※ 본 원고는 중국 창사(长沙) 중난대학(中南大學) 과학철학과 교수인 장궁야오(张功耀, ‘장공야오’로 표기되기도함)가 2014년 6월 21일에 열린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 주최 ‘'과학과 의료윤리로 본 한방문제 - 해외연자 초청 세미나’에서 강연한 내용의 원고를,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별도로 편집해 공개하는 것입니다.(한의계 경전 '황제내경'은 허위 조작됐다 ) 장궁야오 교수는 2006년에 ‘고별한의한약(告別中醫中藥)’이라는 논문을 발표해 중국 정부에 한의(中醫)와 한약(中藥)을 국가의료시스템에서 퇴출시킬 것을 촉구하면서 한의학 폐지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주인공입니다. 허위의학으로서의 한의학(中醫) 신사숙녀 여러분, 이 기회를 빌어 여러분들과 의학문제에 대해서 교류할 수 있게되어 무척이나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의 한의학 관련 저자인 허준(許浚, 1539~1615년) 선생이 편찬한 '동의보감(東医宝鉴)'을, 그리고 세종(世宗) 때 지어져 세조(世祖) 때에 교열을 본 바 있는 '의방유취(医方类聚)'를, 정경선(郑敬先)이 소찬한 '의림촬요(医林撮要)'를 읽어본 바 있습니다. 저는 저 저서들을 독해함으로써, 저
※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글은 수의사(Doctor of Veterinary Medicine)이자 동물 침술 등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갖춘 과학비평가 데이비드 래미(David W. Ramey)가 2001년 ‘사이언티픽리뷰오브얼터너티브메디슨(The Scientific Review of Alternative Medicine)’의 여름호에 기고한 논문 ‘Acupuncture Points and Meridians Do Not Exist’를 번역한 것입니다.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황의원 원장이 번역(의역)했습니다. ‘경혈’과 ‘경락’은 존재하지 않는다!(Acupuncture Points and Meridians Do Not Exist) 요약(Abstract) 침술의 기본 교리 중 하나는, 바늘침을 반드시 “경혈(acupuncture point)”이라고 알려진 특정지점들에 꽂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특정지점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신체의 어떤 선(lines)에 따라서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선은 일반적으로 “경락(meridian)”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경혈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