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공대 총격사건의 범인 조승희 씨가 정말 영화 '올드보이'를 모방했을까?뉴욕타임스ㆍABCㆍCNN 등 미국 언론들은 19일 조씨가 NBC에 보낸 사진 중 한 장을 예로 들어 "조씨의 사진이 영화 '올드보이'의 한 장면과 매우 흡사하다"면서 영화가 범행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영화장면은 주인공 대수(최민식)가 오른손에 망치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미국 언론들은 조씨가 망치를 들고 있는 사진과 매우 흡사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뉴욕타임스 등은 문제가 된 조씨의 사진과 영화의 한 장면을 나란히 편집해 함께 실었다. 이를 처음으로 보도한 기자는 뉴욕타임스에 뉴스블로그를 운영 중인 마이크 니자 기자로, 버지니아공대의 폴 해릴 교수 역시 이 영화와 조승희 사진의 유사점에 주목하고 이를 뉴욕타임스 블로그에 알려왔다고 전했다. 조씨 사건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영화 '올드보이'는 박찬욱 감독의 대표작. 동명의 일본만화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영문도 모른 채 무려 15년간 사설감옥에 갇혔다가 나온 남자 대수와 그를 가둔 남자 우진의 대결과 복수를 다룬 영화로 2004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받았다. 박찬욱 감독과 주연배우 최
거장 임권택 감독의 100번째 영화 '천년학'의 완성을 축하하고 한국영화 발전에 공헌한 임권택 감독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천년학' 임권택 감독 헌정행사 준비위원회는 29일 오후 7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임권택, 100편의 눈부심-대한민국 영화계가 그에게 바침'이라는 제목으로 헌정행사를 연다. 이 행사는 영화제작가협회ㆍ영화인회의ㆍ영화산업노조ㆍ감독조합 등 10여 개 영화관련 단체가 주축이 돼 준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후배들이 선배 영화인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행사는 감사패 증정과 '천년학' 프리미어 시사회 등으로 짜였다. 임권택 감독은 행사에 참석해 후배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할 예정. 이 자리에는 강우석ㆍ박찬욱ㆍ이준익ㆍ봉준호 등 감독들과 안성기ㆍ강수연ㆍ박중훈ㆍ문근영 등 배우, 제작자 등 400여 명의 영화인이 참석할 예정이다. 임권택 감독의 100번째 영화 '천년학'은 내달 12일 개봉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sunglok@yna.co.kr
이달 초 영상물등급위원회(이하 영등위)로부터 제한상영가 판정을 받은 일본 영화 '애처일기-향연(Diary of a Devoted Wife)'이 일부 장면 삭제를 통해 23일 청소년관람 불가 등급을 다시 받았다. 이 영화는 성기구를 사용하는 장면이나 미성년자인 학생과 윤리교사 부부의 트리플 섹스, 미성년자와 윤리교사 아내가 성관계를 맺는다는 내용 등이 문제가 돼 당시 제한상영가 등급 판정을 받았다. 이는 올해 처음 내려진 '제한상영가' 판정으로 지난해 4월 캐나다 영화 '라이 위드 미(Lie with Me)' 이후 11개월 만의 일이었다. 영등위 측은 "수입사 미디어소프트 측에서 문제가 된 14분 가량을 자진 삭제한 50분 분량으로 다시 등급분류 심의를 넣었다"면서 "심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청소년관람불가 판정을 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애처일기-향연'은 부부관계가 원만치 못한 중년 남자가 학창시절 윤리교사의 아내와 맺은 성관계를 회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함께 수입된 '애처일기' 시리즈 6편 중 하나. '애처일기-향연'과 함께 최근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하얀 방'과 '동심'은 오리지널 필름에서 10여 분 분량을 삭제한 64분물과 54분물
2002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해외청년학생 통일대회. 탤런트 권해효(42)와 노래패 '우리나라' 강상구(37) 대표의 인연은 이 행사를 통해 이뤄졌다. 권해효는 남측 공연팀의 사회자로, 노래패 '우리나라'는 공연팀으로 행사에 참가했다. 그러나 강 대표는 과거 이력 때문에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방북 허가를 받지 못해 팀원들만 금강산을 밟았다. 이 행사 이후 재일조선인 문제에 발벗고 나선 두 사람이 다큐멘터리 '우리 학교'(감독 김명준, 제작 스튜디오 느림보) VIP시사회가 끝난 뒤 한 자리에 모였다. 이 작품은 김명준 감독이 3년간 홋카이도(北海道) 조선초중고급학교에서 교사ㆍ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카메라에 담은 조선학교 아이들의 삶의 기록이다. "남북해외청년학생 통일대회에 참가한 600여 명의 학생 중에는 일본 조선학교 학생들도 수십 명 포함돼 있었습니다. 우리로 치면 고3 학생들이었는데 북한으로 조국체험을 왔다가 이 행사가 열린다는 소식에 돌아가지 않고 한 달을 기다렸다고 하더라고요. 행사가 끝날 때 가장 가슴 아파하던 아이들은 조선학교 아이들이었습니다. 펑펑 울더라고요. 그들을 보면서 충격이 컸어요."(권해효) 드라마 '겨울연가'에 출연했던 권해효는 20
여배우 앤젤리나 졸리(31)가 베트남 사내아이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AP통신은 "졸리가 3~4살 된 남자아이를 입양하기로 결정했으며 졸리는 아이와 함께 3개월 안에 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7일(현지시간) 전했다. 졸리는 호찌민 시 외곽에 있는 탐빈고아원에서 입양할 아이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의 법무부 입양부서 고위간부는 "입양신청서가 접수된 뒤 입양절차를 마치는 데는 통상 4개월이 소요되지만 이미 입양부모가 아이를 선택했기 때문에 절차는 3개월 내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졸리의 경우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졸리와 그의 파트너인 배우 브래드 피트(43)는 이미 캄보디아에서 입양한 아들 매덕스(5살), 에티오피아에서 입양한 딸 자하라(2살)와 둘 사이에서 작년 5월 태어난 딸 샤일로 등 3명의 아이가 있다. 피트와 정식 부부 사이가 아닌 졸리는 '편부모(single parent)'로서 아이 입양을 신청했다. 졸리는 작년 12월 연예전문 인터넷매체인 '헐리우드닷컴'과의 인터뷰에서 여배우로서의 일보다 엄마 역할을 하는 것을 훨씬 좋아한다면서 더 많은 아이를 갖고 싶다며 추가 입양 또는 출산의 뜻을 내비친 바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76) 감독이 영화 홍보차 내한했다. 그는 1994년 국내 개봉된 '성스러운 피'(1989년)로 널리 알려진 칠레 태생의 멕시코 감독으로 독특한 정신세계를 영화 속에 투영해 '영화계의 이단아' 등으로 불린다. '성스러운 피'는 국내 개봉 당시 부분삭제돼 반쪽짜리 영화로 상영됐다. 이 때문에 그의 작품에 열광하는 시네필에게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번 방한은 '엘 토포'(1970), '홀리 마운틴'(1973) 등 초기작 두 편의 국내 개봉이 성사되면서 이뤄졌다. 두 영화는 최근 미국 정식 개봉에 맞춰 HD(고화질)로 복원된 무삭제 필름으로 15일 필름포럼과 씨네큐브에서 정식 개봉을 앞두고 있다. 백발의 감독은 "영화 홍보 일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한국 영화에 관심이 많아 한국행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연어처럼 항상 물살을 거스르려는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했고 "영화는 의식을 깨우는 도구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다음은 감독과의 일문일답. --동양적인 색채가 강하다. ▲'엘 토포'가 10년 전에 미국에서 개봉됐다. 서부 영화인데 동양적인 느낌이 많은 영화다. 영화를 만들 당시 차이나타운에서 홍콩 영화를 많이 봤다. 명상 수련도 하던 때다
올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은 예상대로 연기파 배우 헬렌 미렌(62)에게 돌아갔다. 25일(현지시간) 미국 LA 코닥극장에서 열린 제79회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에서 헬렌 미렌은 강력한 경쟁후보였던 메릴 스트립을 따돌리고 첫 오스카의 영예를 안았다. 헬렌 미렌은 영화 '조지 왕의 광기'와 '고스포드 파크'로 각각 1991년과 2001년에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바 있다. 그에게 오스카 트로피를 안겨준 영화는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의 '더 퀸'. 헬렌 미렌은 이 영화에서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2세를 완벽하게 연기해 가장 강력한 여우주연상 후보로 시상식 전부터 거론됐다. "헬렌 미렌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타지 못하면 그 자체가 충격적인 일"이라는 말이 나왔을 정도. 헬렌 미렌은 지난해 베니스영화제ㆍLA비평가협회ㆍ뉴욕비평가협회ㆍ전미비평가협회ㆍ보스턴비평가협회 등으로부터 여우주연상을 받았고 올해 미국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SAG), 영국판 아카데미상인 BAFTA(영국 영화ㆍTV예술아카데미)에서 같은 상을 받았다. 헬렌 미렌은 2003년 영국 왕실로부터 기사(Knight)에 해당하는 '데임' 작위를 받았다. 남편은 영화 '레이'로 유명한 감독 테일러 핵퍼드. (서울=연합뉴스
장이머우(張藝謨) 감독의 '황후화(Curse of the Golden Flower)'가 중국 공산당의 공격을 받았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공산당 최고 교육기관 '중공중앙당교(中共中央黨校)'가 장이머우 감독의 최근작 '황후화'를 두고 '현대 중국영화의 명성에 먹칠한 잔혹한 블록버스터'라고 비난했다"고 8일(현지시간) 베이징발로 전했다. 중공중앙당교는 기관지 '스터디 타임스(Study Times)'를 통해 "중국 감독들은 잔혹한 폭력물이 아카데미상을 가져다줄 거라고 착각하고 있다"면서 "예술이란 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며 좋은 영화는 화려한 장면과 효과의 성찬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고 충고했다. 이어 "관객과 평단이 감동하는 영화는 단순하면서도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영화"라면서 "사람들을 고무시키고 윤리적인 가이드라인도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터디 타임스는 또한 "중국 영화사상 가장 비싼 세트에서 촬영된 '황후화'는 욕지기(혐오감)만을 남겼다"고 혹평했다. 스터디 타임스는 "일부는 장이머우 감독에 대해 '단지 스크린에 핏물을 붓는 화가에 불과하다'고 말하기도 한다"며 감독에 대한 비난을 멈추지 않았다. 당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황실 비극을 다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