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15일부터 몽골과 중국, 한국, 일본 등 동북아 4개국을 순방하며 6자회담 재개 일정 등을 논의한다. 힐 차관보의 이번 동북아 4개국 순방은 6자회담 진행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온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송금문제가 해결됐다는 소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주몽골 미국대사관측은 15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힐 차관보가 아시아소사이어티가 주최하는 윌리엄스버그 콘퍼런스에 참석하기 위해 이날 오후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칭기즈칸국제공항에 도착한다고 밝혔다. 주몽골 미국대사관의 프랭크 스탠리는 "힐 차관보는 18일까지 열리는 윌리엄스버그 콘퍼런스 참석을 마치고 곧바로 중국 베이징으로 출발할 예정이며 일본을 방문하기 전에 서울도 방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이 영변 핵원자로 폐쇄 등 초기단계 이행조치에 들어갈 경우에 대비해 한국과 중국, 일본 당국자들과 만나 6자회담 재개 일정과 '2.13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대책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힐 차관보는 당초 이날 오전 6시30분(이하 현지시간) 모스크바를 경유하는 몽골항공편으로
북핵 6자회담 진전에 주요 걸림돌이 생길 때 마다 해결사 역할을 해온 6자회담 의장국 중국이 이번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송금과정에서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BDA 북한자금 이체완료 여부를 묻는 질문에 "6자회담 참가국들이 북한 동결자금 송금문제가 하루 빨리 성과를 내도록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친 대변인은 또 BDA 북한자금 송금이 완료되면 의장국으로서 6자회담을 곧바로 재개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중국과 기타 참가국들은 모두 6자회담이 빨리 재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다. 그는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조만간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미국이 우리에 대해 면담 요청을 제기했다는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중국의 관영 영자지인 차이나 데일리는 이날 밤 미국의 AP를 인용해 BDA 북한자금 송금문제가 완료됐다고 처음으로 보도했으며 관영 신화통신은 2시간 뒤인 밤 10시17분(현지시각) 송금 완료 소식을 뒤늦게 타전했다. 중국은 BDA 북한 동결자금
중국과 미국이 오는 20일부터 이틀동안 미국 워싱턴에서 제4차 전략대화를 개최한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과 미국이 20일부터 전략대화를 거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친 대변인은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존 네그로폰테 미 국무부 부장관이 수석대표를 맡는다"고 말했다. 그는 "전략대화는 양국의 전략과 정치분야 대화의 중요 무대로 양국관계의 중대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중미 양국은 지난해 11월8일 베이징에서 제3차 전략대화를 갖고 북한 핵문제와 6자회담 문제 등을 논의했다. 친 대변인은 의제를 묻는 질문에 "국제지역 문제에 관해 폭넓게 협의할 것"이라고 대답해 북핵문제도 논의할 것임을 시사했다. (베이징=연합뉴스) yskwon@yna.co.kr
중국에서 돼지 청이병(靑耳病)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돼지들이 줄줄이 집단폐사하자 사육농가들이 공황 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자여우링(賈幼陵) 중국 농업부 수의국장은 12일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으로 불리는 이른바 '돼지 청이병'이 중국 전역 22개 성으로 확산했다고 밝혔다. 자 국장은 "지금까지 전국 22개 성 289개 농가에서 4만5천858마리의 돼지가 청이병에 전염돼 1만8천597마리가 폐사했으며 5천778마리를 살처분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지난해 100만마리 이상의 돼지가 고열병으로 폐사했으며 외신들은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2천만마리 이상이 폐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5월 발생한 돼지들의 고열병 전염 바이러스가 청이병이라고 규정했지만 다른 바이러스가 고열을 유발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이후 중국 대다수 도시에서 판매되는 돼지고기 값이 공급물량 감소의 여파로 20% 이상 오르는 등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자 국장은 "돼지 청이병으로 사육농가가 심리적 공황상태에 빠지고 있지만 청이병이 돼지고기 값 폭등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그는
중국 지린(吉林)성 18개 대형병원들이 가짜 혈액을 사용하다 적발돼 정부가 조사에 나섰다. 특히 이번에 적발된 병원들은 비교적 규모가 크고 환자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는 병원인 것으로 드러나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CCTV)은 11일 지린성 식품약품감독관리국이 3월부터 병원들에 대한 집중단속을 벌였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단속요원들은 병원들의 가짜 약품 사용 일제단속에 나섰다가 이들 병원에서 위조 상표를 부착한 가짜 인체 혈액 수천병을 발견했다. 이들은 "인체 알부민은 단백질 농도가 96% 이상에 달해야 하지만 적발된 혈액은 농도가 0%였다"면서 "완전 가짜 혈액"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조사 결과, 혈청을 모방한 용해제를 섞은 가짜 인체 알부민 2천42병을 발견했으며 1천554병은 이미 사용됐다고 말했다. 인체 혈액은 피를 많이 흘리거나 위독한 환자 치료용이기 때문에 보통 '구명약'으로 불리며 가짜 혈액을 사용하면 목숨이 위태롭다. 중국 병원들은 환자들에게 1병당 300위안(4만2천원)을 받고 혈액을 공급하지만 가짜 혈액은 1병당 10위안(1천300원) 정도에 팔린다. (베이징=연합뉴스) yskwon@yna.co.kr
지난 6일부터 중국 중남부지역에 폭우가 쏟아지면서 홍수 등으로 66명이 숨지고 12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10일 오후 6시(현지시각) 현재 중남부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59만1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가옥 14만2천채가 무너졌다고 보도했다. 이번 폭우 피해지역은 중부 후난(湖南)성과 남부 광둥(廣東)성, 광시(廣西)장족자치구, 구이저우(貴州)성, 장시(江西)성 등으로 피해주민은 897만명이다. 지난 6일부터 나흘 연속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광둥성에서는 지금까지 18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으며 29명이 다치고 이재민 7만2천400명이 발생했다. 또 인근 지역인 광시장족자치구에서도 지난 6일과 9일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해 13명 이상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10만여명이 대피했다. 특히 광시장족자치구에서는 대입 수능고사인 '가오카오(高考)'를 보던 수험생 수천명이 홍수로 학교 건물이 물에 잠기자 긴급 대피하는 소동까지 빚어졌다. 광둥성 북쪽에 위치한 중부지역 후난(湖南)성의 경우 홍수로 인한 가옥 붕괴 등으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행방불명됐으며 15만8천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후난성 전지역은 10일 오전 5시 현재
지난 6일부터 중국 중부와 남부지역에 쏟아진 폭우와 이로 인한 산사태 등으로 인해 적어도 66명이 숨지고 12명이 실종됐으며 약 6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신화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지난 나흘간 남부지역인 광둥(廣東)성과 광시(廣西)장족자치구, 후난(湖南)성, 구이저우(貴州)성 등지에 폭우가 내려 약 900만명의 주민이 피해를 보고 있으며 경제적 피해규모도 290억위안(3억8천만달러)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통신은 이번 폭우로 가옥 4만8천채가 완파되고 근 10만 가구에서 피해가 발생했으며 74만1천에이커의 농지가 침수됐다면서 침수된 농경지 가운데 6분의 1 정도는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라고 피해상황을 전했다. 통신은 이에 앞서 광둥성에 폭우가 쏟아져 14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했으며 29명이 다치고 이재민 2만여명이 생겼다고 보도했다. 또 인근 지역인 광시(廣西)장족자치구에서도 지난 6일과 9일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해 13명 이상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했으며 10만여명이 긴급 대피했다. 광둥성 북쪽에 위치한 중국 중부지역인 후난(湖南)성의 경우 홍수로 인한 가옥 붕괴 등으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행방불명됐으며 15만8천여명의 이재민이
중국 정부가 지난 2002년 북한으로 강제 송환한 탈북자는 모두 4천809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권단체들이 강제 북송되는 탈북자 수를 추정한 적은 있으나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이 구체적인 통계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중국이 강제 북송하는 탈북자가 매년 5천명에 달한다는 미국과 한국 인권단체들의 주장이 거의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입증됐다. 이 같은 사실은 정신저(鄭信哲)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이 격월간 학술지 중남민족(中南民族)대학저널 최신호에 기고한 논문에서 8일 드러났다. '한반도 정세가 조선족지역 발전과 안정에 미치는 영향'이란 제목의 이 논문에 따르면 탈북자는 북한경제가 악화된 1980년대 후반부터 생겼다. 중국 조선족은 탈북자들에 대한 동정심으로 음식과 의복을 제공했으며 심지어 탈북 여성과 결혼하거나 동거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중후반부터 잇따른 자연재해로 북한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북한 식량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탈북자들이 크게 증가했다. 정 연구원은 따라서 2002년 중국이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를 통해 북송한 탈북자도 4천809명에 달한다고 공식 통계를 인용해 소개했다. 이중 옌볜조선족자치주가
중국은 7일 리덩후이(李登輝) 전 대만 총통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와 관련, 방일을 허용한 일본을 강력 비난했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리덩후이의 방일을 허용한 일본 정부에 대해 다시 한번 강력한 불만을 표시한다"고 말했다. 장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리덩후이가 일본에서 하고 있는 행동이 무슨 의도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고 말해 리 전 총통의 대만 독립 기도를 비판했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리 전 총통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했으며 그의 일본에서의 행동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비난을 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일본을 방문하고 있는 리 전 총통은 이날 부인과 함께 도쿄(東京)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해 중국의 분노를 사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yskwon@yna.co.kr
중국은 4일 지구온난화와의 전쟁에 선진국들이 재정지원에 나서고 기술이전을 허용하는 등 적극 앞장서줄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당총서기 겸 국가주석은 6일부터 독일에서 열리는 선진8개국(G8) 정상회담에서 지구온난화 문제를 집중 제기할 계획이다. 마카이(馬凱)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은 이날 지구온난화 저지 계획을 발표하면서 선진국들이 기술이전 등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마 주임은 "일부 선진국들은 기술이전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말만 요란하고 행동이 없으며 천둥소리만 나고 비는 내리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에 따르면 선진국들은 개도국들이 발전할 수 있는 권리를 충분히 감안하고 재정지원과 기술이전에 적극 나서도록 하고 있다. 추이톈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도 "후 주석이 G8 정상회담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중국의 입장과 제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이 부장조리는 "중국의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한다"면서 "이는 기후변화로 영향을 받는 사람 5명 중 1명이 중국인이라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
(베이징=연합뉴스) 권영석 특파원 = "아, 오늘이 그 날입니까? 저는 잊고 있었습니다. 저는 톈안먼(天安門)사태에 대해 별로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습니다" 4일 오전 10시 톈안먼사태 발발 18주년을 맞은 중국 베이징 도심 톈안먼광장. 평소와 다름없이 중국 전역과 세계 각국에서 몰려온 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직장 여성인 왕모(34)씨는 "친구들로부터 톈안먼사태 얘기는 들었다"면서 "그러나 내가 어렸을 때 일어난 일이고 별로 흥미도 없어 잘 모르겠다"고 대답했다. 중국 학생과 시민 100만여명은 1989년 6월4일 톈안먼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며 연좌시위를 벌였으나 중국 당국의 탱크를 앞세운 무력진압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톈안먼사태 18주년 기념일을 맞은 중국에는 공식 행사나 시위도 눈에 띄지 않고 있으며 중국 정부나 관영 언론들도 일체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역사의 현장인 톈안먼광장에는 평소와 다름없이 전국에서 올라온 중국 관광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을 뿐 톈안먼사태는 중국인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는 듯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톈안먼광장 구석구석에는 공안과 무장경찰이 진을
중국 윈난(雲南)성 푸얼(普이)시에서 3일 오전 5시34분(현지시각) 진도 6.4의 강진이 발생, 2명이 사망하고 70여명이 다쳤다. 중국 신문들은 이날 국가지진국 발표를 인용해 북위 101.1도, 동경 23도 지점인 윈난성 푸얼시 하니(哈尼)족자치현에서 진도 6.4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지진으로 주민 2명이 사망하고 70명 이상이 부상했으며 가옥이 무너지는 피해가 발생했으나 여진이 계속돼 인명 및 재산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베이징=연합뉴스) yskwon@yna.co.kr
중국이 국가기밀로 분류하고 있는 고위 지도부의 사망 소식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공개해 배경에 이목이 주목되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지도부 사망 소식을 즉각 보도하지 않는 관례를 깨고 지난 2일 오전 7시30분(한국시각) 황쥐(黃菊) 부총리 사망 소식을 전 세계 최초로 보도했다. 신화통신이 과거 덩샤오핑(鄧小平)이나 자오쯔양(趙紫陽) 등 고위 지도부 사망에 관한 외국 언론의 보도를 확인하는 역할만 수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특히 신화통신은 이번에 황 부총리 사망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어판 뉴스가 송고되고 몇 시간 뒤에 뜨는 영어판 뉴스도 동시에 보도해 미리 기사를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이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지도부 사망을 둘러싼 오해와 루머 확산을 막기 위해 정보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베이징=연합뉴스) yskwon@yna.co.kr
췌장암과의 투병 끝에 2일 사망한 황쥐(黃菊) 중국 부총리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이끌던 중국 최대 정치세력이었던 이른바 '상하이방(上海幇)'의 대표주자다. 황 부총리는 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당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주룽지(朱鎔基) 전 총리, 우방궈(吳邦國)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과 함께 칭화(淸華)대 출신 '칭화방(淸華幇)'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저장(浙江)성 자산(嘉善) 출신인 황 부총리는 1963년 칭화대 전기공정대학 전기제조과를 졸업한 뒤 상하이인조기계공장 기술원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이후 줄곧 상하이에서 일을 해온 기술전문관료다. 그는 1986년 상하이시 부서기로 재임할 당시 상하이 시장으로 부임한 장쩌민 전 주석과 인연을 맺게 되면서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로 떠올랐으며 장쩌민 퇴임 이후 장쩌민의 영향력을 실천하는 임무도 맡았다. 황 부총리는 우방궈 상무위원장과 쩡칭훙(曾慶紅) 국가부주석과 함께 장쩌민 당시 상하이 시장 밑에서 부서기로 일한 인연을 갖고 있으나 다른 상하이방과는 달리 묵묵하게 장쩌민이 맡긴 임무를 수행해왔다. 그는 1989년 톈안먼(天安門)사태를 계기로 장쩌민이 당총서기로 전격 발탁되고 주룽지 전 총리와 우방궈
중국 상하이방(幇)의 거두이며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측근인 황쥐(黃菊) 국무원 부총리가 2일 지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69세. 중국 신화통신은 권력서열 6위이며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인 황 부총리가 이날 오전 2시3분(현지시각) 베이징에서 숨졌다고 보도했다. 중국 중앙당국은 부고에서 황 부총리를 "공산당 우수당원이고 모든 역경을 극복한 충성스러운 공산주의 전사이며 당과 국가의 탁월한 지도자"라고 말했다. 이 부고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국무원,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공동 명의로 발표된 것이다. 황 부총리는 지난 1938년9월 저장(浙江)성 자산(嘉善)에서 태어나 1966년3월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칭화대학 전기공정계열 전기제조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중앙 정치국 위원과 상하이시 당서기를 역임했으며 2002년11월 정치국 상무위원, 2003년3월 부총리로 임명됐다. 황 부총리는 1963년 상하이인조기계공장에서 기술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 상하이 시정부로 들어가 상하이 시장과 당서기까지 승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3월 황 부총리가 암에 걸려 투병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최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