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진전에 주요 걸림돌이 생길 때 마다 해결사 역할을 해온 6자회담 의장국 중국이 이번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송금과정에서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BDA 북한자금 이체완료 여부를 묻는 질문에 "6자회담 참가국들이 북한 동결자금 송금문제가 하루 빨리 성과를 내도록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친 대변인은 또 BDA 북한자금 송금이 완료되면 의장국으로서 6자회담을 곧바로 재개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중국과 기타 참가국들은 모두 6자회담이 빨리 재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았다.
그는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조만간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미국이 우리에 대해 면담 요청을 제기했다는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중국의 관영 영자지인 차이나 데일리는 이날 밤 미국의 AP를 인용해 BDA 북한자금 송금문제가 완료됐다고 처음으로 보도했으며 관영 신화통신은 2시간 뒤인 밤 10시17분(현지시각) 송금 완료 소식을 뒤늦게 타전했다.
중국은 BDA 북한 동결자금 송금문제 처리와 관련, 중국 마카오특구의 금융 및 사회안정 유지에 유리해야 한다는 점과 북핵 6자회담 진행에 유리해야 한다는 2대 원칙에 입각해 처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해왔다.
이에 따라 중국은 BDA 북한자금 송금문제를 처리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나 장기적으로 한반도 통일에 기여해야 한다는 대의명분론보다는 중국의 입장과 이익을 사수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입장을 숨기지 않았다.
(울란바토르<몽골>=연합뉴스) yskwon@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