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명박 수도권 표심 이탈, 이회창에 유입 중

이명박 38%대, 이회창 25%대, 양자구도 확연


어제(7일) 출마선언을 계기로 20% 내외였던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지지율이 25%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나 대선정국이 거센 풍랑으로 요동치고 있다.

조선일보와 TNS코리아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전 총재는 24.0%의 지지율을 기록, 1주일 전 같은 여론조사기관이 SBS로부터 의뢰받아 실시했던 여론조사 당시 지지율과 비교하여 4.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BS가 리얼미터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이 전 총재는 24.8%를 얻어 1주일 전과 비교하여 6.6%의 가파른 지지율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38.7% => 37.9% (TNS), 38.7% => 38.5% (리얼미터)로 미미한 변화만 나타냈으며,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의 경우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12.3% => 13.8%로 소폭 상승한 반면 TNS 조사에서는 17.1% => 13.9%로 하락하는 등 상반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 이 밖에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6.9%(TNS)와 4.7%(리얼미터), 민주당 이인제 후보는 2.0%(TNS)와 0.7%(리얼미터),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2.2%(TNS)와 1.7%(리얼미터)를 얻은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 점은 충청과 수도권에서의 이명박 지지층의 급격한 이탈 및 이회창 지지층으로의 유입 현상이다.

1주일 전인 10월 31일 TNS 조사에서 이 전 총재의 충청권 지지율은 12.1%였으나 어제(7일) 조사에서는 30.8%로 급등했다. 특히, 같은 지역에서의 이명박, 정동영, 이인제, 권영길, 문국현 지지율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충청 민심이 이 지역 출신 이 전 총재에게로 급속하게 쏠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충청 민심이 이 지역 출신 이해찬, 이인제 등에게 전혀 쏠림 현상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감안할 때 충청인들이 이 전 총재를 확실한 대안으로 생각하기 시작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경선 이전 이 지역에서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지지율이 55% 수준이었음을 감안할 때 이 전 총재의 지지율은 추가상승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수도권 민심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지난 주 인천/경기 지역에서의 이 후보 지지율이 39.6%로 올들어 처음 30%대까지 추락한 데 이어 이번 주는 서울 지역에서마저 38.7%를 얻는 수모를 당했다. 이 후보의 가장 견고한 아성이었던 수도권에서 30%대 지지율이 나왔다는 것은 '이명박 대세론'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지역에서의 이 전 총재 지지율은 서울 22.2%(3.4% 상승), 경기 24.7%(3.0% 상승)로 지난 주 대비 상승세를 계속 이어갔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이회창 돌풍'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에서의 이 전 총재 지지율은 1주일만에 14.5%에서 22.2%로 크게 상승했으며, 50대 지지율 또한 20%에도 미치지 못했던 상황에서 26.0%로 크게 상승했다. 특히, 성별 지지율 추이에 있어서 남성(16.2% => 24.1%)이 여성(21.8% => 23.9%)에 비해 상승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나 우리 사회 여론주도층인 40~50대 남성이 이회창을 중심으로 결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회창 돌풍'이 '찻잔 속 태풍'에 그칠 수도 있다는 일부 언론 및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시각을 불식시킬 수 있는 대단히 의미있는 조사 결과다.

이 전 총재 출마에 대한 찬반 여론도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찬성' 36.6%, '반대' 52.4%로 지난 주(찬성 36.3%, 반대 55.1%)와 큰 차이가 없지만 지역적으로는 상당한 변화가 감지된다. 이 전 총재 출마에 대한 찬반 의견은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서울 (찬성 32.4 => 34.8, 반대 59.7 => 54.0), 인천/경기 (찬성 39.2 => 42.5, 반대 55.5 => 48.8), 대전/충청 (찬성 39.8 => 40.3, 반대 48.3 => 46.1), 광주/전라 (찬성 29.8 => 26.1, 반대 54.0 => 53.7), 부산/울산/경남 (찬성 35.9 => 38.1, 반대 55.6 => 51.2), 강원/제주 (찬성 31.3 => 37.3, 반대 65.4 => 56.5) 등이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찬성이 42.8%에서 29.6%로, 반대는 47.9%에서 63.0%로 각각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보수 분열로 인한 정권교체 위기에 대해 이 지역 유권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향후 여론조사에서 정동영, 이인제, 문국현 등 범여권 후보들의 지지율이 상승세를 탈 수 있느냐에 따라 대구/경북 여론이 또한번 크게 출렁거릴 것으로 전망된다.

범보수 후보단일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이명박 후보 진영을 '패닉' 상태로 빠트릴 만큼 충격적이다. “누구로 단일화 돼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1.6%가 이명박 후보를, 33.9%는 이회창 전 총재를 택했다. 당내 경선을 통해 합법적으로 선출된 후보와 '불출마 선언'을 번복하여 출마를 강행한 후보간 비교임을 감안할 때 이명박 후보에게는 대단히 굴욕적이고, 이회창 후보에게는 대단히 희망적인 조사 결과다. 정치권과 언론의 비판과 달리 '불출마 선언' 번복이 표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명박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이회창 후보 보다 10~20%포인트 높은 반면 충청권에서는 두 후보의 격차가 4%포인트에 불과했다. 전 연령대에서도 이명박 후보가 이회창 후보보다 높았지만, 응답자 연령이 낮을수록 격차는 줄어들었다.. 40대에선 이 후보가 27.8% 앞섰지만, 30대는 13.8%, 20대는 7.5% 차이였다.

박 전 대표의 선택도 대단히 중요한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명박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박근혜의 이회창 지지 시 이명박 계속 지지 여부'를 물은 질문에서 20%가 '지지하지 않겠다' 혹은 '모르겠다'고 응답, 이들이 이회창 지지층으로 유입될 경우 이명박 vs 이회창 지지율은 30.4%대 31.5%로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이회창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박근혜의 이명박 지지 시 이회창 계속 지지 여부'를 물은 질문에서는 22.9%가 '지지하지 않겠다' 혹은 '모르겠다'고 응답, 이들이 이명박 지지층으로 유입될 경우 이명박 vs 이회창 지지율은 43.4%대 18.5%로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박 전 대표의 선택에 따라 대선 정국이 또 한차례 격변을 겪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박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기대도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33.5%에 머문 가운데 '이회창 전 총재를 지지해야 한다'(16.0%) 혹은 '중립을 지켜야 한다'(39.8%)가 과반수를 넘었다. 지역별로는 호남, 충청 및 수도권에서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이명박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39.7%)가 '중립을 지켜야 한다'(34.8%)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선일보-TNS코리아 공동 여론조사는 어제(7일) 전국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할당비례 추출방식 전화면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95% 신뢰 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이며, CBS-리얼미터 공동 여론조사는 6~7일 전국 19세 이상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5%포인트이다.

ⓒ 네이션코리아(http://www.nakore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