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운명이 걸린 30일 최후 철야협상이 핵심 쟁점인 쇠고기와 자동차에 걸려 접점을 찾지 못한 채 난항을 거듭했다. 한미 양국은 쇠고기 등 민감 농산물과 자동차, 섬유 등에 대한 이견을 해소하면 30일 자정께 타결을 공식 선언할 계획이었으나 벼랑끝 대치가 계속됐다. 이에따라 협상 시한인 31일 오전 7시까지 타결에 이를 수 있을 것이냐는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청와대 윤승용 대변인은 이와 관련 "현재 각자 입장에서 이것만은 국익 플러스 여론 때문에 도저히 양보할 수 없다는, 딱 전선을 명확히 한 채 대치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협상 상황을 전했다. 그는 "전망이 정말 어렵다. 항상 마지막 현안 하나 때문에 99%가 물건너 갈 수 있는 거고, 여러 가능성은 항상 남아있는 것"이라고 말해 미국의 요구가 과도할 경우 정부가 협상 결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토니 브레토 미 백악관 부대변인도 이메일 성명에서 " 협상이 잘되고 있지 않다"면서 "향후 몇 시간내에 진전의 신호가 없으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카란 바티아 미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가 이끄는 양국 협상단은 30일
협상 결과 설명하는 한미 수석대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7차 협상이 절충점을 찾고 핵심 쟁점을 걸러내는 노력에서 성과를 내고 14일(현지시각) 막을 내렸다. 양측은 최소한 양보할 수 있는 분야를 골라내고 양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해서는 한계선을 긋는 방식으로 윗선에 보고할 쟁점을 체를 치듯이 걸러내는 작업에는 적지않은 성공을 거뒀다. 그러나 무역구제-자동차-의약품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해 아직은 타결을 낙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김종훈 우리측 수석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고 적기타결도 가능하다"고 타결에 필요한 진전이 있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타결이 임박했다거나 만족스럽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지켰다. 웬디 커틀러 미국 수석대표도 "그동안의 협상중 가장 성공적인 협상을 마쳤다"며 "직면하고 있는 도전을 과소평가하지는 않지만 전망은 아주 좋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협상기간 쟁점별로 절충안을 모색하면서 분과회의에서 걸러낸 쟁점들은 수석대표급으로, 수석대표간에 조율하지 못한 내용들은 더 윗선으로 넘기기 위한 '체치기' 작업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양측은 협상기간 내내 일반 현안은 분과회의에서 다루고 분과 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7차협상 사흘째인 13일 김종훈 우리측 수석대표는 "이번엔 분명히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협상 진행 상황을 평가했다. 한미 FTA 7차협상을 이끌고 있는 김종훈 수석대표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적기 타결이 가능할 것 같다"면서 이처럼 말했다. 그러나 그는 7차 협상에서 타결은 어렵다면서 최종 국면인 만큼 특정 분야의 진전사항을 하나하나 공개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내가 (특정 분야의) 진전을 말하면 웬디 커틀러 미측 대표가 양보를 한 셈이기 때문에 웬디가 힘들어지고 웬디가 받은 게 있다고 말하면 내가 깨진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아직은 분과차원에서 할일이 많다면서 진행 속도가 늦은 분야로 지적재산권, 섬유 등을 꼽았다. 특히 저작권을 50년에서 미측 요구에 맞춰 70년으로 연장할지 여부를 질문받자 "용역 결과 연장에 따른 비용이 1년에 100억원 정도로 나왔다"며 미국의 지재권 제도가 더 강한 만큼 어느쪽이 더 많이 움직일지는 명약관화하다고 일부 양보 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6자회담의 진전이 개성공단 제품 원산지 특례인정 문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여건은 좋아질 수 있다"고 기대감을 표시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