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아랍권이 제시한 평화안을 받아들이는 문제를 놓고 이스라엘에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아랍 정상들은 28∼29일 사우디 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연례 회의에서 2002년 베이루트 회의 때 채택한 평화안을 다시 추진키로 합의하고 이스라엘에 이 평화안의 수용을 촉구했다.

이 평화안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때 점령한 땅(가자지구, 동예루살렘, 요르단강 서안, 골란고원)을 온전하게 반환하는 조건으로 모든 아랍 국가가 이스라엘을 인정해 수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창설과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 평화안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는 일단 관망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애초 이 평화안에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는 견해를 피력했던 에후드 올메르트 총리는 새로운 내용이 추가됐는 지 등을 분석한 뒤 입장을 밝히겠다며 신중한 접근자세를 보이고 있다.

팔레스타인과의 협상을 주장하는 아미르 페레츠 국방장관은 이 평화안에 평화과정을 진척시킬 수 있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면서 무조건 거부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고 이스라엘 언론이 전했다.

페레츠 장관은 특히 팔레스타인 국가의 창설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이익이 되는 것은 물론 이스라엘에도 큰 이익이 된다며 1967년 전쟁 때 점령한 일부 점령지를 포기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발생한 모든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은 실현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해 협상을 무조건 거부하는 것보다는 대화하면서 거부할 것을 거부하자는 실용론을 폈다.

그러나 이츠하크 헤르조그 복지장관은 아랍평화안이 협상의 출발점으로 활용될 수는 있겠지만 평화안이 요구하는 국경 기준을 이스라엘이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평화안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또 이스라엘은 유대인 국가의 정체성을 훼손할 수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귀환권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고향에서 쫓겨나 난민이 된 팔레스타인인들은 2, 3세를 포함해 4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이들이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허용할 경우 유대인 국가로서의 존립을 위협받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 우익 정당인 리쿠드당 의원인 실반 샬롬 전 외무장관은 아랍평화안의 수용은 이스라엘 국가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평화안에 대한 거부입장을 명확히 밝히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시몬 페레스 부총리는 이스라엘 라디오 방송 회견에서 "우리가 제시하는 대로 받아들이라고 말해서는 안된다"며 평화안을 그대로 수용하라는 아랍권의 요구를 일축한 뒤 이견해소를 위한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피스나우' 회원 등 이스라엘 평화운동가 100여명은 28일 아랍권이 내놓은 평화안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카이로=연합뉴스)
parksj@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medium90/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