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재경팀 = 우리나라 경제 역사상 최대의 자율 개방이 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시한(31일 오전 7시)을 이틀 앞둔 29일 경제부처들은 권오규 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여는 등 협상 진행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FTA 대책 논의위해 대외경제장관회의 주재한 권오규 경제부총리 (자료사진)


또 타결에 대비해 한미 FTA가 우리나라 전체 경제와 세부 업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다시 점검하고 한미 FTA 후속 보완 대책 마무리 작업에 나서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정부는 이날 관계장관회의에 이어 중동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귀국한 뒤인 31일 오후 한미 FTA 협상안을 최종 확정하기 위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고 협상이 타결되면 다음달 2일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어 한미 FTA로 피해를 보게 될 업종과 계층에 대한 지원 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경제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재정경제부는 한미FTA 협상 진행 상황에 귀를 기울이면서 협상 타결에 대비, 대국민 홍보대책 및 피해산업 보완대책 마련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권오규 부총리는 노무현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와 별도로 협상 결과를 국민에게 상세히 알리기 위해 TV에 출연하는 방안을 현재 검토 중이며 재경부 제1차관과 2차관은 FTA 피해산업 보완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국회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임영록 정책홍보관리실장도 여.야 의원 및 보좌관들을 만나 한미FTA 협상 및 추후 일정에 관해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

한미 FTA 협상 중 섬유, 자동차, 무역구제 등 주요 분과의 실무 책임을 맡고 있는 산자부도 협상장의 움직임에 안테나를 집중하면서 타결에 대한 준비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부처 내부적으로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실물 경제와 산업 정책을 맡고 있는 부처로서 FTA 협상 타결보다 그 이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FTA가 우리 경제의 선진화로 연결될 수 있는 대책들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한미 FTA 협상 기간 주요 업종별 관계자들을 초청, 협상 진행상황과 정부의 협상 방침을 설명해왔으며 협상이 타결되면 다음달 5일부터 업종별 간담회와 전국 순회 설명회 등을 통해 한미 FTA가 개별 업종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를 볼 수 있는 업종.업체에 대한 보완 대책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쇠고기'라는 초민감품목의 실무를 맡고 있는 농림부는 협상 타결 가능성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하고 있지만 이전까지 밝혀왔던 원칙은 지킨다는 입장 아래 마지막까지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개 분과중 경쟁분과가 가장 먼저 완전한 합의를 이룬 상태여서 정부부처 중 상대적으로 느긋한 입장에서 여타 분과의 최종 타결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공정위는 경쟁분과 외에도 자동차를 비롯한 여타 분야에서 미국과의 최종 합의 결과에 따라 국내 시장의 경쟁구도가 영향을 받게 되고 소비자들의 후생에도 막대한 영향이 미치게 된다는 점을 감안, 여타 분과의 최종 협상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