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5일 헌법재판소를 방문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헌법소원을 공개심리해달라는 요구를 담은 사회 각계 인사 2천50명의 서명과 얼굴 사진이 포함된 서명 188개를 전달했다.
일본군 `위안부' 생존 피해자 109명은 정부의 무책임한 대일 외교로 재산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국가로부터 외교적 보호를 받을 권리 등을 침해받았다며 작년 7월 5일 헌법소원심판청구서를 제출, 현재 재판이 진행중이다.
정대협 관계자는 "당사자인 할머니들과 한국 정부가 서로 반론을 확인하는 가운데 문제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미국 하원과 캐나다 연방하원에 일본의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제출돼 전 세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한국 재판부는 소멸시효를 이유로 지난 달 미쓰비시 피폭 징용공 손해배상청구를 기각한 바 있어 헌재의 재판 결과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공개심리를 진행한다.
(서울=연합뉴스) jangj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