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전교조 태동 20년…빛과 그림자

1987년 `참교육 깃발' 아래 `전교협' 결성
"깨끗하고 열린 교육 결실" vs "이념편향은 오점"



참교육을 표방하며 태동한 지 올해로 20년이 되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교조 건설 20주년 기념사업' 등을 준비하며 변신을 꾀하고 있어 주목된다.

전교조의 모태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민주화 물결이 거세게 일었던 1987년 9월 한신대에서 창립된 `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이다.

전교협은 우리 교육의 주체로서 민족ㆍ민주ㆍ인간화 교육실천을 위한 참교육 운동을 전개하다가 교원노조가 합법화되지 않았던 1989년 5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결성했다.

이후 전교조는 교육 민주화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한 덕분에 국민의 열띤 지지를 받았지만 그것은 엄청난 희생의 대가였다. 전교조 소속 교사 1천500여명이 해고돼 교단을 강제로 떠나야 하는 아픔을 겪었기 때문이다.

전교조는 이러한 탄압 속에서도 참교육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그 결과 국민의 정부가 출범한 1998년 합법화의 기대감을 가질 수 있었다. 교원노조법이 그 해 국회에 상정돼 이듬해에 통과되면서 전교조는 정식 교원노조로 인정받았던 것이다.

전교조는 이후 `깨끗하고 열린 교육'을 강조하며 과거 권위주의적이었던 학교 문화를 타파하는 노력을 경주해 상당한 성과를 거뒀고 일제교육의 잔재로 지적됐던 두발 규제나 체벌 등의 문제를 공론화해 개선함으로써 학생의 인권을 신장하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

특히 교단의 고질적인 병폐로 꼽혔던 교사의 금품ㆍ향응 수수를 근절하는 데 앞장서 학부모들로부터 박수갈채를 받았다.

하지만 몸집이 비대해지고 집행부가 관료화되면서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 채 정치투쟁에 과도하게 참여하고 편향된 이념을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국민적 지지가 갈수록 감소해 고립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전교조는 최근 교원평가제 도입에 반대해 연가투쟁을 벌였다가 무더기 징계를 받았고 교원성과금, 연금법 등을 놓고도 정부와 심한 대립각을 세웠지만 국민의 시선은 과거와 달리 그다지 곱지 않았다.

전교조 내부에서도 투쟁 일변도의 교원노조 운동 행태에 실망하는 여론이 비등했고 그것은 조합원 감소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쳤다. 조합원은 2003년 6월 9만4천473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줄어 작년 12월에는 8만6천918명까지 축소됐다.

전교조는 130명의 전임 및 상근 인력과 연간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사용할 정도로 막강한 조직으로 컸지만 교육 정책을 뛰어넘어 우리 사회의 각종 현안에 무리하게 개입한 탓에 국민적 신뢰를 잃은 만큼 이젠 새로운 철학을 갖고 재도약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교조는 출범 20주년인 올해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이달 26일 전국 대의원대회에서 연가투쟁 참가자 징계, 성과급, 교육과정 개정 등 현안에 대한 투쟁 방침과 참교육 확립을 위한 4대 핵심사업을 발표하면서 자성론도 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량 징계, 성과급, 연금법, 교육과정 개정, 사립학교법 재개정 등은 한발도 물러설 수 없다는 기존 방침을 재천명하면서도 참교육 실천활동을 더욱 체계화해 전교조의 정체성 확립을 공고히 한다는 유연한 전략도 세워놓고 있다.

전교조는 이 전략을 토대로 학교 개혁과 질 높은 공교육을 위한 교육재정 확보 및 무상 교육 운동 전개 계획 등을 이번 대의원대회에서 발표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번 행사가 약관의 나이에 접어든 전교조가 어떻게 변신할 지를 가늠하는 시험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kaka@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