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4.27 순천 보궐선거과정과 이후 2012.4월 순천 등 총선과정에 북한이 지령을 내린 사실이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의 '통진당 통합과 야권연대에 대한 북한 지령문' 이란 문건으로 드러나자, 활빈단이 검찰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민노당 김선동 후보로 야권연대가 이뤄진 최초의 지역이 바로 전남 순천이기 때문이다. 당시 순천보선에는 민주당 소속인 조순용, 박상철, 구희승, 허상만, 허신행 후보와 무소속 김경재 후보가 출마했지만, 민주당 지도부가 민노당과의 야권연대 지역으로 순천을 선정하자, 민주당 소속 5명의 후보들이 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등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당시에도 민주당이 야권연대를 빙자해 이념은 물론이고 정강정책이 상이한 민노당 후보에게 자리를 양보하자 순천과 전남에서 반발이 확산되기도 했지만 민주당 지도부는 이런 반발 여론을 애써 무시해 석연치 않은 의혹이 일기도 했다.
특히 당시 민노당은 2007년 대선과정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코리아연방공화국’ 형태로 통일국가를 세우자고 했는데, 이는 북한이 주장하는 고려연방공화국과는 대동소이한 주장으로 민주당의 통일정책과는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런 연대가 가능했던 이유는 다름아닌 북한의 지령을 받드는 세력이 순천시 안팎에 침투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당시 순천보선에는 이석기 의원과 이정희 대표 등 지금의 통진당 지도부 핵심 인사들이 총출동해 순천에 상주하며 선거를 지휘했으며, 2012년 4월 총선에서도 마찬가지로 당 지도부가 총출동해 선거를 치르는 등 통진당 중앙당 차원에선 순천을 통진당 전남동부권 세확산의 전략적 거점도시로 선정했다.
이와관련 활빈단(대표 홍정식)은 24일 하태경 의원이 북한이 민노당의 지도부에 각종 지령를 내린 사실을 주목하고 "2011.4.27 순천 보궐선거 당시 북한으로부터 선거자금 지원 등 여부와 당시 민노당과 순천 지역의 좌파시민단체 세력들의 북한과의 연계여부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북한 왕재산 지령문에 따르면, 전남동부권 핵심지역인 순천을 민노당 핵심거점 지역으로 염두에 두고, 민주노동당 자체를 확대하는 사업병행을 위해 "전략지역으로 설정한 곳에 선차적 힘을 넣으면서 당 대열을 부단히 확대하라"는 지령을 내렸다.
또 "민주노동당이 연합전선운동의 주체세력으로서 연합전선체들을 건설하는 것을 자기의 외곽을 튼튼히 꾸리고 대중적 지반을 다지기 위한 사업이라는 것을 각인하고 적극 추진하라" " 민주노동당이 임시연대공동투쟁체들도 먼저 발기하고 주도하라" 라는 지령도 내렸다.
통진당 외곽단체인 한국진보연대에 대해서도 "한국사회변혁투쟁의 전략적임무와 조국통일위업까지 실현하기 위한 연합전선체다" " 당면한 4.27 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에 패배를 안기고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진보 및 개혁세력의 총체적 선거연대를 실현하라" 민주당이 과욕을 부리지 않고 양보하게 하라"고 선거연대와 관련한 구체적 지침을 내렸다.
이밖에도 순천선거를 앞둔 "북한의 '정부, 정당, 단체 연합성명‘(2011. 1. 5.)에 모든 정당, 단체들이 호응하게 하라' " MB정부에 ‘진정성’‘사죄’등 실현 불가능한 조건들을 내세워라" "민노당과 진보연대 등은 종북시비를 피해야 하니 북한과의 교류는 극력 자제하라"등의 지령도 내렸다.
활빈단은 조만간 당시 선거과정에서 드러난 북한과의 연계 여부에 관한 혐의사실을 확인해 민노당 김선동 후보 당선을 위해 나선 인사나 단체를 구체적으로 특정해 검찰에 국보법 위반 혐의로 고발예정이다.
한편 순천에선 전남지방경찰청이 북한 원전(原典)을 소지하고 배포해 국보법 위반 혐의로 순천시민단체 출신 순천시 산하 센터 직원 윤모씨를 기소의견으로 송치하는 등 관련 수사가 진행중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