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파 김성식, 정태근 의원의 탈당 선언으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곤혹스런 입장에 놓이게 됐다. 이들의 탈당이 박 전 대표의 ‘불통’ 이미지를 한층 더 굳어지게 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탈당 선언 직전 ‘재창당’ 등 쇄신 문제를 놓고 약 일주일가량 전부터 박 전 대표에게 면담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의총에서 전격적인 탈당선언을 하기까지 쇄신문제보다 오히려 박 전 대표와의 ‘불통’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의원을 비롯한 쇄신파들은 핵심 사안인 ‘재창당’ 문제를 박 전 대표에게 직접 설명해 불필요한 오해를 불실시키고 이해를 구하기 위해 자신들의 입장을 담은 문건을 친박계 의원을 통해 전달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고 한다.
문건이 전달됐는지도 불분명하고, 쇄신파가 제안한 면담 요청도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 실제 쇄신파 의원들은 13일 의원총회에서도 박 전 대표의 출석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박 전 대표는 이날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원희룡 의원은 의총이 끝난 후 “(박 전 대표와의 만남이) 주선도 안 되고 통화도 안 되는 상태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소통의 의미가 없는 것”이라면서 “측근을 통해 전달되는 수렴청정, 선문답식 소통은 안 된다.”고 비판했다.
정두언 의원 역시 “청와대의 ‘오더’대로 하다가 (당이) 망했는데 청와대가 무력화되자 지금은 다른 오더대로 하고 있다”며 “(박 전 대표와) 얘기하고 싶어도 만날 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박 전 대표는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보수도 화합과 통합의 길로 가야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자신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최근에는 대학생들과 직접 대화에 나서 젊은층과의 소통문제에도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소통’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시점에서 불거져 나온 당 내 의원들과의 ‘불통’ 관계는 박 전 대표 대처에 따라 상당한 상처를 입을 수도 있는 문제다. 박 전 대표가 ‘재창당’을 주장하는 쇄신파를 설득하지 못할 경우 박 전 대표가 당의 쇄신을 거부하는 수구로 전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쇄신파 역시 박 전 대표가 직접 대화에 나서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줬을 경우, 일방적 재창당만을 고집하기도 힘들다. 그렇지 않아도 쇄신파의 재창당론이 차기 총선을 겨냥한 꼼수로 보는 부정적 시각을 더 키울 수 있다.
핵심은 결국 박 전 대표가 나서 비대위 문제를 어떻게 풀어내 탈당 노미노 사태를 막을 수 있느냐에 달렸다. 폴리뷰 박한명 편집장은 “현재까지 쇄신파는 박 전 대표를 설득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는 인상을 준다”면서 “반면 박 전 대표는 여전히 친박계 의원을 통해 자신의 뜻을 흘리는 간접화법을 사용하고 있다. 지금 상황은 박 전 대표가 직접 나서서 정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인데, 여전히 구태의 방법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편집장은 “쇄신파의 탈당 사태를 박 전 대표가 어떻게 설득하고 매듭짓느냐에 따라 탈당 도미노 사태로 이어질 지, 단순 해프닝으로 끝날 지가 결정될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박 전 대표에 대한 평가가 다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를 원만히 수습하지 못할 경우, 당의 분열은 더 가중되고 그럴 경우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박근혜로는 힘들다’는 인식을 더 확산시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