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이 되면서 화창하고 선선한 날씨의 유혹에 이끌려 야외로 나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연약한 피부. 특히 조심해야 할 것이 바로 피부 질환이다. 피부는 자외선이 강한 여름 햇볕에만 상하는 것이 아니다. 밤낮으로 큰 기온차와 차갑고 건조한 날씨는 여름 못지않게 피부를 괴롭히는 계절이 바로 가을이다.
갑자기 건조한 날씨 속에서 빼놓지 말고 신경써야할 또 한 가지는 피부보습이다. 피부를 건조하게 방치하면 주름이나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지성은 피부 표면이 번들거리기 때문에 유분감있는 보습제를 바르기 꺼려왔다. 그러나 지성도 건성 못지않게 보습케어를 꼼꼼히 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것은 단지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유분도 함께 부족해진다. 유분은 피부 보호막을 만드는데 가을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 기름성 보호막이 훼손되기 때문에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피부 건조가 더욱 심해진다.
이에 윤창운 원장은 “지성피부일수록 오히려 건성피부보다 수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이런 경우 뾰루지나 여드름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건성을 포함하여 지성피부도 보습케어에 각별히 신경써야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일교차가 커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정상적인 각질의 탈락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질이 과도하게 쌓이는 것도 문제다. 과도하게 쌓인 각질이 수분흡수를 방해해 가을철 피부 건조의 원인이 된다.
이렇게 건조해진 피부를 방치하면 잔주름이 생기고 노화를 촉진하며 피부 트러블도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지금처럼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가 더욱 문제다. 이 시기 피부는 여름 동안 강한 자외선에 노출돼 탄력이 떨어지고 많이 지쳐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자칫 관리에 소홀하면 여름의 흔적은 물론 노화의 징후까지 갖게 된다. 윤창운 원장은 “이와 같은 주름은 한번 생기면 수술적 치료 방법 외에는 좋아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하고 “특히 중년 이상의 여성들은 가을철 피부 관리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을철 피부 관리의 핵심은 보습이다.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선 인위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보습제나 화장품 등을 사용, 피부의 수분 손실도 막아야 한다. 실외뿐 아니라 실내도 건조하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높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보습을 위해서는 각질 제거는 필수 이다. 정상적으로 탈락이 이루어지지 않는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수분 흡수를 돕고 맑은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각질 제거를 위해서는 스크럽제를 사용하고, 흑설탕과 같은 것을 세안제에 섞어 사용해도 효과가 있다.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선 외출 후 반드시 얼굴을 씻어 모공을 막고 있는 각종 노폐물과 찌꺼기를 씻어내야 한다. 이때 강한 비누로 세게 문지르는 것보다 자극 없는 세안제를 사용, 깨끗하고 미지근한 물로 여러 번 헹궈내는 게 좋다.
간혹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자극이 심한 수건을 사용하거나 잦은 세안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피부에 상처를 남기고 필요 이상의 각질을 제거, 오히려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만든다. 따라서 잦은 세안보다는 세안시 클렌징을 이용해 꼼꼼히 세안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천연팩을 이용하거나 마사지를 주기적으로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윤창운 원장
출처 -프리미어 클리닉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