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이명박 후보에 대해 우호적인 보도로 일관했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사설에서 이명박 후보를 질타했다. 그간 조선과 동아는 이 후보의 위장전입, BBK 주가조작 의혹 등에 대해서도 청와대 측을 공격하며, 이후보를 상대적으로 옹호해왔다.
그러나 이번 이후보의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투기 및, 재산은닉 혐의에 대해서는 그간의 논조와는 확연히 다른 사설을 내보냈다.
조선일보는 오늘자 사설 <이명박 후보와 공직자의 이해충돌>에서, 이후보 측의 해명을 그대로 인용해주면서도,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렸다.
“고도제한이 불합리해서 감사원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가 시정을 권고했다면 고도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이 후보 건물이 그곳에 있다 해서 하지 못한다면 다른 시민들의 피해가 발생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후보는 사전에 서울시의회 등에 이해충돌 사실을 보고하고 양해를 구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공직자로서 올바른 처신이었다. 그 건물을 사전에 매각할 수도 있었다. 뉴타운 지정 문제도 마찬가지다. 액수가 적다고 문제가 아닌 것이 아니다.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으로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
이는 그간 이명박 후보 측의 무대응 전략을 정면에서 비판한 내용이다. 특히 대통령 후보로서의 입장표명을 요구한 것은, 조선일보의 일련의 논조와는 판이하게 달라졌다 분석된다.
동아일보 역시, 사설 <이명박씨의 부동산 의혹 제기와 실체적 진실>이라는 사설에서, 자료입수 경위와, 근거없는 유언비어 유포를 비판하면서, 이후보 측의 태도도 함께 지적했다.
“이 씨 측의 대응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이 씨와 처남 김재정 씨, 맏형 이상은 씨 및 일가붙이들이 관련된 부동산 의혹이 6건이나 제기됐지만 명쾌하게 해명된 것은 거의 없다. 작은 의혹이라도 일단 제기됐으면 어느 부분이 사실이고 어느 부분은 사실과 다른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사과할 일이 있으면 진솔하게 사과하는 게 국민의 이해(理解)를 구하는 길이다.
근거 없는 의혹 제기”라고 일축하거나 “정권 차원의 정치공작”이라고 반박하면서 대충 얼버무리는 것은 검증 회피로 비칠 수 있다“
물론, 조선과 동아의 사설 한편으로, 이후보에 대한 우호적 보도 태도를 완전히 포기했다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그보다는 이번의 부동산 투기와 재산은닉 건에 대해서만큼은 이후보 측의 무대응 전략이 방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충고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조선과 동아가 이후보 측의 충성도 높은 지지 언론이라기 보다는 스스로 판단하여, 가장 집권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밀고 있다는 점에서, 이후보가 명확히 의혹을 해명하지 못한다면, 이들 역시 다른 편집방향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조선과 동아가 이후보의 공개적 대응을 촉구한 마당에, 이후보 측이 끝까지 무대응 전략을 고집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