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개별 공시지가는 작년보다는 오름폭이 작은 가운데 작년 부동산시장이 크게 동요했던 수도권에서는 많이 올랐다.
◇ 과천, 집값 이어 땅값도 상승률 1위 = 올해 개별 공시지가는 전국 평균 11.6% 상승했다. 작년에 18.5% 상승했던 것과 비교하면 낮다. 2004년(18.3%), 2005년(18.9%)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작년에 전국의 땅값 상승률이 5.61%인 것과 비교하면 공시지가 상승률은 2배를 넘는다.
건교부는 "지난해 순수 땅값 상승률 외에도 공평과세 등을 위해 현실지가와의 격차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15.5%), 인천(15.0%), 경기(12.8%) 등 수도권은 모두 전국 평균을 넘었다.
개별지역으로는 과천시가 24.2% 올라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과천은 재건축시장의 영향과 일부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과천은 올해 주택 공시가격 상승률도 전국 1위였다.
남동공단의 공장용지 수요가 증가한 인천 남동구도 23.1%나 올랐으며 용인 수지구도 21.1% 상승했다. 미군기지 이전.뉴타운 개발 등의 영향을 받은 서울 용산구는 20.5%,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사업.가정오거리 뉴타운계획의 영향을 받은 인천 서구도 20.3% 상승했다.
혁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인 충북 진천군(20.3%), 음성군(16.2%), 부산 강서구(16.4%), 울산 중구(16.3%), 대구 동구(15.5%) 등도 상승폭이 컸다.
그러나 행정도시 건설의 영향으로 작년에 33%이상 올랐던 충남은 올해는 7.7% 오르는 데 그쳤으며 충북도 작년 18.15%에서 8.5%로 오름세가 둔화됐다.
◇ 충무로 파스쿠찌 커피전문점 4년연속 1위 =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땅은 서울 중구 충무로1가의 파스쿠찌 커피전문점으로, 평당가격이 2억원에 육박하는 1억9천630만원으로 산정됐다. 이는 작년보다 평당 2천776만원 오른 것이다.
파스쿠찌 커피전문점은 2004년이후 4년연속 가장 비싼 땅으로 평가받았다. 가장 싼 땅은 전남 완도군 노화읍 내리산 239번지 임야로, 평당 237원에 불과했다.
주거지역중 가장 비싼 곳은 서울 대치동의 동부센트레빌 부지로 평당 3천470만원이었으며, 최저가는 충남 아산시 방축동 대지(평당 6천600원)였다.
지역별로 최고 공시지가를 기록한 곳은 ▲부산 부전동 LG텔레콤 부지(평당 7천534만원) ▲대구 동성로2가 법무사회관 부지(평당 6천609만원) ▲대전 은행동 이안경원 부지(평당 4천593만원) ▲인천 부평동 금강제화 부지(평당 3천965만원) ▲광주 충장로2가 EXR 부지(평당 3천436만원) 등이었다.
◇ 전국 공시지가 총액 2천911조원 = 전국 2천913만여필지의 공시지가 총액은 2천911조3천1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총액(2천348조9천903억원)보다 23.9% 늘어난 것으로 작년에는 공시지가 산정에서 제외됐던 국.공유지 317만여필지까지 포함돼 총액 증가율이 평균 공시지가 상승률보다 훨씬 높았다.
시.도별로는 서울이 909조7천167억원으로 가장 높고 경기도가 827조1천406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인천도 155조2천894억원으로 산정돼 수도권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에 이르렀다.
이어 충남(142조9천175억원), 부산(135조1천759억원), 경남(126조7천201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제주도는 32조5천746억원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연합뉴스) sungj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