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의 유력 매체인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에 대통령의 면책특권을 제한하고 대법관 종신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칼럼을 게재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칼럼에서 대법관의 임기를 18년으로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 대선후보로 나선 카말라 해리스 부통령도 같은 입장이다. 현재 미국은 사법부 독립을 위한 제도로 대법관 종신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29일(현지시간) “대법원을 망치려는 바이든과 해리스의 계획이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진정한 위협(The Biden-Harris plan to wreck the Supreme Court is the REAL threat to America’s democratic system)”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민주당의 대법관 임기 관련 법안에 대해 “민주당이 도널드 트럼프를 무너뜨리고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갈 데까지 가겠다는 의미(Indeed, they showed just how far they’re willing to go to take down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미군 감축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자주 나온다. 특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하 나토)에 속한 유럽 지역의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재당선으로 인해 미국이 다시 고립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유럽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일부 유력 매체는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주한미군이 당장이라도 철수할 것처럼 선동하면서 11월 대선에서 민주당을 노골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의 발언에 담긴 핵심적 내용, 즉 미국 주도의 동맹 관계에서 미국이 일방적으로 희생하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고찰은 찾기 힘들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해군사관학교 석좌교수이자 조지아대학교 국제문제대학원의 비상임연구원인 제임스 홈즈(James Holmes)의 칼럼 “유럽인들은 진정으로 나토를 지지하나(Do Europeans Support NATO?)”를 게재했다. 칼럼은 트럼프가 취임한 후에 안보 무임승차를 하는 동맹국들에 대한 비난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
중국 공산당은 최근의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군사력 증강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특히 현재 500개로 추정되는 핵탄두를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중이다. 이에 한국·일본·대만 등 중국의 주변국들은 상당한 수준의 재래식 군사력을 보유했으면서도 핵전력에서는 중국의 위협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22일(현지시간)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이며 조지타운대학교 겸임교수인 에이미 J. 넬슨(Amy J. Nelson)과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인 앤드류 여(Andrew Yeo)가 공동으로 기고한 칼럼 “중국의 위험한 핵전력 증강(China’s Dangerous Nuclear Push)”을 게재했다. 서두에서 칼럼은 북한의 핵개발 뿐 아니라 중국의 핵전력 증강이 동아시아의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미국의 안보 보장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한국 국민들이 핵무기 보유를 원하고 있으며, 아시아는 향후 수년간 불안정한 군비 경쟁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과 일본이 독자적인 핵무장을 강행하면서 아시아의 정세가 더욱 혼미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칼럼은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유력해지면서,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경제 정책에 대해 다양한 전망이 제기된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로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지만, 전세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발 인플레이션이 더 심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의 유력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트럼프 정부에서의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트럼프 시대 경제의 과거와 미래(The Trump Economy, Past and Future)”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먼저 사설은 트럼프 정부 1기에서 경제가 호황이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당시 대부분의 미국인이 코로나 팬데믹 이전까지 경제 호황으로 혜택을 입었지만, 관세가 없었다면 더 잘 살았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수입물가가 상승하지 않았다면 경제 상황이 더욱 나아졌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사설은 트럼프 1기 경제 정책의 핵심이 세제 개혁과 규제 완화였다고 지적하고 당시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가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한 사실과 해외에서 거둔 소득을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13일(현지시간) 토머스 매슈 크룩스로부터 총격을 당해 죽음의 위기를 넘긴 이후로, 그간 트럼프를 히틀러에 비유하면서 비난하던 민주당 인사들조차도 일단은 크룩스의 정치테러를 규탄하며 트럼프의 쾌유를 기원하는 분위기다. 갈 데까지 간 이번 정치테러는 돌발적이고 예외적인 일이 아니라, 지난 2016년 대선 이후로 공화당과 자유우파를 과도하게 비난해 온 미국 민주당 및 극좌파 지지자들이 조성한 살벌한 정치풍토 때문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외에도 최근 여러 공화당 인사들이 극좌파로부터 테러를 당해 왔다.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14일(현지시간) 에디터인 크리스토퍼 트레모글리(Christopher Tremoglie)의 칼럼 “공화당 정치인에 대한 폭력은 계속된다(Violence against GOP politicians continues)”를 게재했다. 칼럼은 스티브 스칼리스 하원 원내총무, 랜드 폴 상원의원, 리 젤딘 전 하원의원 등 최근 좌익으로부터 테러를 당한 공화당 정치인들의 실명을 언급한 후 지난 13일에 있었던 트럼프 암살 시도 역시
중국 공산당은 지난달 ‘대만 독립분자’를 형사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최고 사형까지 가능하도록 했으며, 피의자가 중국 본토에 없더라도 궐석 재판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소시효를 없애 평생 추적해서 처벌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대만 라이칭더 총통은 중국의 이번 발표를 비판했고, “대만인 90% 이상이 영향받을 수 있다”며 중국 여행 경보를 상향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대만 국민들이 중국을 방문했다가 중국 공안에 의해 ’독립분자’로 체포되어서 봉변을 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 공산당의 이같은 폭거와 관련해서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 타임즈(Taipei TImes)’는 11일(현지시간) “시진핑은 역사공부를 해야 한다(Xi Jinping needs a history lesson)”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1928년 4월 상하이 주재 프랑스 조계지에서 열린 대만 공산당 창당행사 당시 중국 공산당이 펑룽(彭榮)을 대표로 보내 축하했던 사실을 소개했다. 이어 1936년 7월 마오쩌뚱이 미국 기자 에드거 스노우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만리장성 남쪽의 주권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영토를 모두 되찾는 것이 중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북한과 군사 협정을 체결한 데 이어, 중국은 미국의 동맹국인 필리핀의 인근 해역에서 연일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남중국해와 대만해협에서의 도발을 줄이지 않는 중국은 이 지역의 패권을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유력해지면서, 약간의 부작용이 따르더라도 중국 경제를 더욱 초토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미국 백악관의 주류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트럼프 후보는 중국에 대한 더 강력한 경제제재를 하겠다는 공약을 내건 바 있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지난 8일(현지시간) 싱크탱크인 허드슨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조나단 워드(Jonathan Ward)가 기고한 “안정적인 세상을 원하면 중국 경제로부터 해방되어야(Want a stable world? Disengage from the Chinese economy)”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중국, 러시아, 북한이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미국과 동맹국들이 이들에 대항해서 평화를 지킬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이 2차 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면서 대선은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승리로 기우는 분위기다. 특히 토론회 당시 바이든 대통령이 정신 건강 문제를 드러내면서 그의 지지율은 연일 폭락 중이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후보교체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영국의 자유우파 성향 시사주간지인 스펙테이터(The Spectator)는 3일(현지시간) 미국 출판사 엔카운터 북스(Encounter Books)의 대표이며 스펙테이터의 필진인 로저 킴볼(Roger Kimball)이 기고한 “미국은 10시부터 4시까지만 정상인 대통령을 감당할 수가 없다(The United States cannot afford a 10 a.m. to 4 p.m. president)”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민주당 성향 언론이 지난 2020년 대선 이전부터 바이든 대통령의 인지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로 일관해 왔다고 지적하면서 “1980년대 후반 소련이 붕괴하기 전까지 공산당 간부들이 소련의 현실을 은폐한 것과도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칼럼은 바이든 대통령을 적극 지지하던 좌파 언론이 현재는 패닉 상태에 빠져서 그의 후보 사퇴를 촉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각)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면서 민주당 내부에서도 후보교체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정신건강에 대한 회의론도 확산 중이다. 미국 CBS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대통령으로 일할 수 있는 정신건강과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72%가 “그렇지 않다”고 답변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지난 1일(현지시각) “바이든 대통령은 안보에 대해서도 졸고 있고, 미국인들의 생명이 위험하다(Joe Biden’s asleep at the national-security wheel and Americans will die)”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유럽 내 미군 기지가 테러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지난 30일(현지시각) 미군 유럽 사령부가 있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육군 주둔지를 포함한 여러 기지에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의 테러 경보가 발령되었다고 밝혔다. 사설은 “미군 통수권자가 카메라를 멍하니 응시하는 모습만큼 적들에게 용기를 주는 것은
러시아가 북한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고 군사 기술 협력을 늘리기로 합의하면서 잠시나마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던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다시 악화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가 북한에 핵무기 또는 첨단무기 관련 기술을 이전할 경우 한국군의 살상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협정에 중국까지 관여하면서 북한-중국-러시아 3국 동맹이 더 견고해진다면 한반도 안보에도 좋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k Interest)’는 28일(현지시간) RAND의 선임 연구원인 브루스 W. 베넷(Bruce W. Bennett)이 기고한 “러시아와 북한의 관계는 불확실하다(The Uncertain Russia-North Korea Relationship)”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미국과 한국이 러시아와 북한 간의 새로운 협정에 대해 걱정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인정하면서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협정의 세부 사항이며, 협정의 세부 사항과 러시아가 과연 북한을 지속적으로 지원할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칼럼은 군사 기술 지원에 대한 러시아의 약속이 우려된다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북한제 무기와 탄약에 크게 의존하던 러시아는 북한과 사실상의 안보조약을 체결했고, 이에 한국은 상황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미국, 영국 등 서방 국가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미국은 현존하는 세계 최강의 방공 무기인 패트리어트 미사일 시스템을 먼저 주문한 동맹국들 대신 우크라이나에 먼저 제공하면서 동맹국들 사이에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는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의 취약한 군사산업 기반을 드러낸 패트리어트 재배치(Patriot missile diversions expose weak military-industrial base)”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일상적인 공습을 방어하기 위해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방어를 위해 패트리어트를 지원하는 미국 정부의 결정이 원칙적으로는 옳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설은 이번 패트리어트 논란을 계기로 미국의 군사산업이 얼마나 약해졌는지 드러났다고 언급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5월 30일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에서 1심 유죄 선고를 받은 후에도 오히려 승기를 잡은 분위기다. 미국의 여론조사 기관인 라스무센(Rasmussen)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는 바이든에게 무려 9%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욕 법원의 1심 판결을 빌미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중죄인(felon)’이라고 규정하는 민주당의 선동이 먹히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대부분의 공화당 지지자들은 유죄 선고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에 대한 신뢰를 접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중도 성향 유력 매체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제10연방항소법원 판사를 지낸 마이클 W. 맥코넬(Michael W. McConnell) 스탠퍼드 로스쿨 교수의 칼럼 “공화당 지지자들이 유죄 선고를 받은 트럼프를 버리지 않는 이유(Why Republicans Don’t Abandon ‘Felon’ Trump)”를 게재했다. 칼럼은 공화당 지지자들의 경우 민주당 검찰이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표적 수사를 했다는 생각이라고 지적한 후 “그들은 트럼프 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임기 중 중국을 본격적으로 견제하기 시작한 첫 미국 대통령이며, 조 바이든 대통령도 중국 문제에 있어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을 상당 부분 계승했을 정도로 중국 문제는 공화당과 민주당이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사안이다. 따라서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바이든 후보와 공화당 트럼프 후보 중 누가 당선되더라도 미국은 중국 공산당에 대한 비타협적 노선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oreign Policy)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랜디 슈라이버(Randy Schriver) 프로젝트 2049 연구소 이사장과 댄 블루멘털(Dan Blumenthal) 미국기업연구소 선임 연구원 및 조쉬 영(Josh Young) 프로젝트 2049 연구소 소장이 공동으로 기고한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의 유죄 판결에도 불구하고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정권교체 가능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는 대부분의 경합주(swing state)에서 우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민주당의 우세 지역인 버지니아(Virginia)에서도 트럼프의 승산이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특히 역대 대선에서 공화당을 외면했던 유색인종과 젊은층에서도 공화당 트럼프 후보의 지지도가 상승하고 있어 바이든 대통령은 더욱 수세에 몰리고 있다.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내셔널리뷰연구소(National Review Institute)의 더글러스 머레이(Douglas Murray) 선임연구원이 기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