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국방비 삭감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방비는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미국 국무부는 홈페이지에서 중국을 지칭하는 명칭을 ‘중화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China·PRC)에서 ‘중국’(China)으로 수정하는 등 중국 공산당 정권에 비타협적으로 맞서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침공 위협에 노출된 대만은 최근 국방비를 GDP의 3%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직 미국이 요구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은 대만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양국 관계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서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타임즈(Taipei Times)’는 1일(현지시간) “가치의 균형과 새로운 세계 질서(Balancing values and a new world)” 제하의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외교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전 세계 정부, 동맹국, 적국 모두 이에 적응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소개했다. 이어 “트럼프는 미국과 동맹국과의 관계를 공유된 가치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피트 헤그세스 장관은 최근 군 효율화와 예산 절약을 위해 향후 5년간 매년 8%씩 국방 예산을 삭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그는 중국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인도-태평양(Indo-Pacific) 사령부의 예산은 삭감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견제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선임 편집위원인 브랜든 J. 바이처트(Brandon J. Weichert)의 칼럼 “인도태평양에서 중국에 악몽을 선사할 미 육군의 신형 정밀타격 미사일(China’s Indo-Pacific Nightmare: The U.S. Army’s New Precision-Strike Missile)” 을 게재했다. 칼럼은 미국 육군의 신형 정밀타격 미사일(Precision Strike Missile, 이하 PrSM)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패권을 노리는 중국을 위협할 수 있는 무기 체계라고 소개하면서 이 미사일이 적의 미사일 기지와 레이더, 헬기 등을 성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칼럼은 중국이 반접근·지역거부(A2/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경쟁은 국제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단순한 군사적·경제적 경쟁을 넘어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체제의 대결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1월 출범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보다 더 강력한 대(對)중국 경제제재를 감행하겠다고 선언했고, 실제로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친중세력의 거짓말과 선동에 속은 미국과 자유세계가 중국의 국력을 과대평가한 나머지 중국을 겨냥한 무리한 정책을 기획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다트머스 대학 교수인 스티븐 G. 브룩스(Stephen G. Brooks) 와 미국 재무부 정책 분석가인 벤 베이글(Ben A. Vagle)이 공동으로 기고한 “중국을 제대로 제압하는 방법(The Real China Trump Card)”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미국의 상당수 분석가들은 중국이 경제적으로 미국과 동등하거나 적어도 근접한 수준이라고 평가하지만, 실제 경제력을 고려하면 미국이 여전히 큰 격차로 앞서 있다”고 규정했다. 구체적으로 칼럼은 한때 미국을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해외 원조 기관인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폐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세계적으로 후폭풍이 거세다. 미국 민주당에서는 미국이 해외 원조를 중단하면 중국이 그 틈을 파고들면서 경제적·지정학적 공백을 이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한다.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페더럴리스트(the Federalist)’는 17일(현지시간) 이와 관련해서 경제전문가이자 기업인인 헬렌 랄레이(Helen Raleigh)가 기고한 “중국은 USAID가 사라진 빈집에 뛰어들지 않을 것(No, China Won’t Swoop Into The Void USAID Leaves Behind)”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민주당의 이런 우려가 과장된 것이며, 중국의 해외 원조에 대한 진정한 동기를 오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칼럼은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 공산당이 중요한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elt and Road Initiative: BRI)’를 통해 자신들의 경제적, 지정학적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며 “그렇기에 중국의 대외 원조는 전략적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에너지 및 교통망 프로젝트에 집중된다”고 밝혔다. 이어 칼럼은 트럼프 정
최근 한국의 청년층을 중심으로 반중 정서가 강해지자 1960~70년대생 운동권 출신이 주력인 친중파는 격렬히 반발하고 있다. 그들의 친중 논리 중 하나는 “중국은 한국의 중요한 수입처”라는 논리다. 한국 경제의 성장에 있어서 중국이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반중 정서가 확산되어서는 곤란하다는 게 국내 친중세력의 주장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세계 최강국’ 미국을 겨냥해서 반미 폭력시위를 일삼던 자들의 논리 치고는 일관성이 전혀 없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 대한 한국의 경제적 의존도는 급감했다. 중국이 반도체를 제외한 여러 핵심 산업에서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한국 제품의 수입을 대폭 줄였기 때문이다. 이 역시 국내 친중 세력이 애써 외면하는 현실이다. 미국의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oreign Policy)’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런던 킹스칼리지 국제관계학과의 라몬 파체코 파르도(Ramon Pacheco Pardo) 교수의 칼럼 “한국이 중국에 대해 가진 대응수단은 생각보다 많다(South Korea Has More Leverage Over China Than You Think)” 를 게재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기존의 통념에 따르면
국내외 친중세력으로부터 극찬을 받고 있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ChatGPT’의 개발사인 오픈AI(OpenAI)의 기술을 도용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딥시크가 기술 도용에 그치지 않고 오픈AI의 모기업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전문 인력을 빼간 사실도 밝혀졌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10일(현지시간) 토마스 바라비(Thomas Barrabi) 기자가 송고한 “딥시크,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연구소 출신 인재 채용(DeepSeek hired talent from Microsoft’s controversial AI research lab in China)” 제하의 단독 기사를 게재했다. 바라비 기자는 중국 챗봇 딥시크의 직원들 중 최소 4명이 마이크로소프트가 중국에 설립한 AI 연구소 ‘마이크로스프트 리서치 아시아(Microsoft Research Asia: 이하 MRA)’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바라비 기자는 MRA는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 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고 경영진은 이 연구소를 계속 유지해도 될지 고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그는 “딥시크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인도적 지원 단체로 알려진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해체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후폭풍이 거세다. 주로 USAID의 지원을 받거나 USAID와 공동 사업을 진행하던 이해관계자들이 강경하게 반발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USAID를 “급진적 미치광이들이 운영하는 기관”이라고 지칭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7일(현지시간)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인 맥스 프리모락(Max Primorac)이 기고한 “USAID는 어떻게 타락하고 자멸했나 (How USAID went woke and destroyed itself)”를 게재했다. 맥스 프리모락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USAID에서 근무했다. 칼럼은 서두에서 “미국 정부가 수백억 달러를 지출하는 USAID는 정부 기관이 이념적으로 궤도를 이탈하고 의회의 초당파적 정치적 지지와 미국 국민의 신뢰를 모두 잃은 사례(USAID, the U.S. government’s vehicle to disburse tens of billions of dollars in taxpayer-funded foreign aid, is a troubl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을 계기로 미국은 중국과의 디커플링(decoupling)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여기엔 반도체, 인공지능 등 미국발 첨단 기술의 중국 유입을 막고, 각종 중국산 부품의 수입을 줄여서 유사시 국가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도 포함된다. 특히 세계 최강인 미국의 군사력을 지탱하는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중국을 공급망에서 신속하게 퇴출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정책전문지인 ‘내셔널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는 지난 1일 게리 루그헤드(Gary Roughead) 전 해군참모총장이 기고한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방위 산업 기반을 분리시켜야 한다(America Must Untangle Its Defense-Industrial Base from China)”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칼럼은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중국에 대한 강경책에서는 초당적으로 동의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미국이 국방 및 안보 분야에서 중국과 얽힌다면 국가 안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칼럼은 지난 1월 초에 미국 국방부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된 수십 개의 중국 기업을 거래제한 기업 목록
생성형 AI ‘ChatGPT’의 개발사인 오픈AI(OpenAI)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를 상대로 기술 도용 의혹을 제기했다. 오픈AI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딥시크가 자사의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경쟁 AI 모델을 개발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지적하면서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오픈AI의 공식 발표 이후 일주일 가까이 이어졌던 친중 매체들의 ‘딥시크 띄우기’에도 일단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이에 대해 영국의 유력 통신사인 로이터(Reuter)는 지난 30일(현지시간) 스티븐 넬리스(Stephen Nellis), 크리스탈 후(Krystal Hu), 제프리 다스틴(Jeffrey Dastin), 애나 통(Anna Tong), 케이티 폴(Katie Paul) 기자가 공동으로 작성한 분석 기사 “중국이 미국의 AI 기술을 도용하는 걸 막기가 힘든 이유(Why blocking China's DeepSeek from using US AI may be difficult)”를 게재했다. 기사는 한 AI 시스템이 다른 AI 시스템으로부터 학습하는 “증류(distillation)” 기술에 대해 “ 더 오래되고 더 강력한 AI 모델이 최신 모델에서 나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서명한 ‘출생 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에 대해 지난 23일(현지시간) 시애틀 연방 법원이 제동을 걸었다. 이날 존 코에너 판사는 “이 행정명령은 명백히 위헌적”이라며 그 효력을 14일간 차단한다고 밝혔고, 이 행정명령의 시행을 추가로 막을지에 대한 심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 직후 ‘출생시민권(birthright citizenship)’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이 조치가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부합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자유우파 매체인 ‘페더럴리스트(The Federalist)’는 지난 24일(현지시간) 편집위원인 존 대니얼 데이비슨(John Daniel Davidson)의 칼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식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대통령 직무를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조치 및 행정명령 78개를 무효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오는 2월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 60%의 관세에 10%를 추가해서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이 마약 원료인 펜타닐을 캐나다와 멕시코에 보내고 이것이 미국으로 밀반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의 유력 경제전문지인 ‘포브스(Forbes)’는 21일(현지시간) 미국기업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의 명예 선임연구원인 칼린 보우먼(Karlyn Bowman)의 칼럼 “
중국 공산당은 2025년에도 대만 인근에서 군사 훈련을 이어가는 등 대만 침공의 야욕을 숨기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국무장관 지명자인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상원의원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상원 외교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중국이 2029년까지 대만에 군사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대만의 예비역 장군인 리시민(李喜明)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은 해상 봉쇄나 미사일 포격 등의 조치로 대만에 항복을 강요하려는 생각이며, 10년내에 전면적 침공도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이에 대해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페이타임즈(Taipei Times)’는 18일(현지시간) “
이스라엘과 이슬람 테러단체 하마스가 전쟁 발발 467일 만에 인질 및 포로 교환을 포함한 휴전에 합의했다. 양측은 15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19일부터 휴전이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국의 유력 매체인 ‘뉴스위크(Newsweek)’는 15일(현지시간) 포드햄 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존 데이븐포트(John Davenport)의 칼럼 “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LA) 일대를 강타한 산불이 3일째 진화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피해 규모는 서울 면적의 4분의 1에 달하며, 불에 탄 건물은 만 채가 넘고 10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민주당을 지지하는 극단적 환경주의자들은 LA 산불의 원인이 기후변화(climate change)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자유우파 성향 매체인 ‘뉴욕포스트(New York Post)’는 9일(현지시간) 국립 에너지분석센터의 조나단 레서(Jonathan Lesser) 선임연구원이 기고한 칼럼 “캘리포니아 산불은 기후변화가 아니라 민주당 주지사 때문(Bad leaders — not climate change — are the reason the LA fires are burning California)”을 게재했다. 칼럼은 이번 산불의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아니라 민주당 소속 개빈 뉴섬(Gavin Newsom)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지목했다. LA가 속한 캘리포니아주는 매 선거때마다 민주당에 몰표를 주는 ‘블루스테이트(Blue State)’로 유명하다. 칼럼은 기후변화로 인한 강풍이 캘리포니아에서 더 많은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바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