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하나다(月刊Hanada)’의 2020년 9월호(인터넷 공개 2020년 12월 28일)에 게재된 세키헤이(石平)의 ‘등골이 오싹해지는 ‘중국의 조용한 침공’(背筋が凍りついた中国による『目に見えぬ侵略』)‘을 ‘겟칸하나다’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등골이 오싹해지는 ‘중국의 조용한 침공’(背筋が凍りついた中国による『目に見えぬ侵略』) [필자소개] 세키헤이(石平)는 평론가로, 1962년 중국 쓰촨(四川)성에서 태어났다. 베이징대학 철학부를 졸업한 후, 쓰촨대학 철학부 강사를 거쳐, 1988년에 일본을 방문했고, 1995년, 고베대학 대학원 문화학 연구과 박사과정 수료했다. 2002년 ‘왜 중국인은 일본인을 미워하는가(なぜ中国人は日本人を憎むのか)’(PHP연구소)를 간행한 이후 일·중 및 중국 문제를 중심으로 한 평론 활동에 들어갔다. 2007년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고, 2008년 다쿠쇼쿠(拓殖)대학 객원교수로 취임했다. 2014년 ‘왜 중국을 벗어나면 일본은 잘 되는 것인가’(PHP 신서)로 제23회 야마모토시치헤이(山本七平)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한민족이야말로 역사의 가해자이다(韓民族こそ
※ 본 인터뷰 기사는 프랑스의 세계적 유력지 ‘르 텔레그람(Le Télégramme)’의 에르베 샹보니에르(Hervé Chambonnière) 기자가 ‘프랑스와 중국의 위험한 관계’의 저자인 앙투안 이장바르를 인터뷰하여 ‘중국 스파이들의 가장 높은 관심을 끌고 있는 프랑스 브르타뉴(Espionnage. « La Bretagne intéresse au plus haut point la Chine »)’ 제하로 2019년 10월 19일에 공개한 것입니다. ‘르 텔레그람’으로부터는 번역 전재 허락을 받았습니다. (번역 : 황지현) 중국 스파이들의 가장 높은 관심을 끌고 있는 프랑스 브르타뉴(Espionnage. « La Bretagne intéresse au plus haut point la Chine ») 매혹적인 중국계 여학생들, 너무나 솔깃한 연구 지원자금, 설명하기 힘든 침입들… 앙투안 이장바르 기자는 프랑스와 중국 사이의 ‘위험한 관계’를 다루는 그의 저서에서 중국 스파이들의 가장 큰 관심을 끄는 지역이 핵잠수함 기지가 있는 프랑스 브르타뉴(Bretagne)라는 사실을 밝힌다. 이번에 저자는 ‘르 텔레그람(Le Télégramme)’에서 몇몇 설득력 있는
위안부 문제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가 지난 2021년 초 한국과 미국의 반일극좌세력으로부터 인신공격을 당했었던 존 마크 램자이어(John Mark Ramseyer) 하버드 로스쿨 교수. 그가 당시 자신을 변호해주면서 학문·언론·표현의 자유 수호를 위해 투쟁한 한국인들에게 감사 인사를 영상으로 전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최근 미디어워치 앞으로 보내온 동영상 성명서를 통해 “자기와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도 일단 그 주장을 펼칠 기회는 가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미국에선 확립되어 있지만, 위안부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상당수의 미국 학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존중을 하는 전통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지난해 초 당시의 상황을 소개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학자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내 논문을 철회하라면서 학술지 편집진을 압박했으며 한국과 일본의 역사에 대해 전혀 모르는 학자들도 이에 동참했다”며 “하버드측에 저를 해임하라며 탄원서를 보낸 이들도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자들을 상대로 싸워야 한다”며 “언론의 자유, 그리고 다른 관점에 대한 관용이야말로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이기에, 우리 모두가 자신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공이 대만을 공격할 타이밍이 언제일지에 대해 미국을 포함한 자유진영 국가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중국 공산당은 대만을 독립국가로 여기지 않으며,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대만을 중공의 영토로 표시한 지도를 국무부 차원에서 구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미국 정부가 대만을 사실상 국가로 공식 인정할 의향을 내비춘 것으로, 이는 중공이 대만을 불법으로 침공했을 경우에도 미국의 군사적 개입 가능성도 더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대만의 유력 영자신문인 ‘타이완 뉴스(Taiwan News)’는 13일(현지시간) 켈빈 첸(Kelvin Chen) 기자가 작성한 기사 “미 국무부가 타이완을 중공 영토로 표시한 지도를 구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되다(New legislation blocks State Department from buying maps depicting Taiwan as Chinese territory)”를 게재했다. 기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국무부가 대만을 중국 영토로 표시한 지도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개정안을 담은 2022 회계연도 지출법안에 서명했다(U
※ 본 기사는 프랑스의 ‘프랑스 엥포(France Info)’의 마일랑 빌라보르드(Maylen Villavorde) 기자의 2019년 10월 29일자 서평 기사 ‘프랑스 정보기관, 브르타뉴에 침투한 중국 스파이 세력에 대해 우려하다(Les services de sécurité français inquiets de la présence d'espions chinois en Bretagne)’를 ‘프랑스 엥포’ 측의 허락을 받아 번역 공개한 것입니다. (번역 : 황지현) 프랑스 정보기관, 브르타뉴에 침투한 중국 스파이 세력에 대해 우려하다(Les services de sécurité français inquiets de la présence d'espions chinois en Bretagne) 앙투안 이장바르는 자신의 저서 ‘프랑스와 중국의 위험한 관계’에서 프랑스 경제와 국방 분야와 연계된 중국의 은밀한 전쟁에 대해 탐구했다. 그는 특히 브르타뉴 지역이 이러한 상황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폭로했다. 중국계 여학생들에게 유혹당하는 프랑스의 군인들과 엔지니어들, 그리고 프랑스 혁신기업 내부에서 중국 측의 스파이 활동, 브르타뉴 지방의 대학 및 공학계열 그랑제꼴에서
※ 본 칼럼은 일본의 영자지 ‘재팬포워드’에 2018년 11월 18일자로 게재된 앤더스 코(Anders Corr)의 ‘조용한 침공 : 호주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공작([BOOK REVIEW]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를 ‘재팬포워드’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최인섭) 조용한 침공 : 호주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공작([BOOK REVIEW]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 클라이브 해밀턴이 최근에 쓴 책 ‘중국의 조용한 침공(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은 호주 국민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중공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책이다. 중국 공산당은 클라이브 해밀턴이 고발하고 있는 각종 대외 공작 전술, 기법을 점점 더 과감하게 실행하고 있다. 미국, 유럽, 아프리카 및 아시아 지역의 정치인들과 기업 및 대학들에 자금을 지원하는 행위도 바로 여기에 포함된다. 중국 공산당은 같은 식의 전술, 기법을 동남아
“동북아 외교안보 질서 유지 문제와 관련해 한국과 일본이 안보 분담을 나눠서 할 수 있는 일이 분명 많습니다. 한국과 신뢰 관계를 만들기 위해 무엇이든지 하고 싶습니다.” 안보 문제와 관련한 전문성으론 일본 제도권 정치인 중에서 1인자로 평가받는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의원. 그는 2월 25일 오전 11시, 마포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미디어워치와의 줌(ZOOM) 인터뷰에서 “냉전 시절 동북아 외교안보 질서 유지를 위한 한국의 군사적 기여를 높이 평가한다”면서 “이제는 하루빨리 아시아태평양판 나토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우크라이나 사태에 이어 이제 대만 위기가 예측되는 상황인 만큼 앞으로 일본은 대만과 비공식적으로라도 군사협의 논의가 필요하며 독일식의 핵공유, 핵관리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래는 이번 인터뷰 인사말과 인터뷰 전문이다. * * * 안녕하세요? 이시바 시게루 의원님, 저는 한국의 자유주의 및 보수주의 성향 미디어비평지인 미디어워치 대표이사 황의원입니다. 옆에 있는 친구는 저를 돕는 요시다 켄지 기자입니다. 이번에 저희가 영광스럽게 이시바 시게루 의원님을 인터뷰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한국에서도 이시바 시게루 의원님은 아베 신조 전
[최대집 · 제20대 대통령 예비후보, 제40대 대한의사협회 회장] 호주(오스트레일리아)는 영연방 국가 중에 하나로, 1950년에 한국전쟁이 터지자마자 유엔군으로서 육군과 해군, 그리고 공군을 모두 파견해줬던 대한민국의 우방국 중에 우방국이다. 당시 호주군 연인원 17,164명이 참전했으며, 이중 340명이 사망했고, 1,216명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중 상당수(281명)는 지금도 부산 유엔기념공원(묘지)에 묻혀있다. 이런 호주가 중국 공산당이 음험하게 펼쳐온 정·재계 및 학계 등 침투·전복 공작 문제 때문에 최근 몇 년간 무척 시끄러운 상황이다. 중국 우한의 코로나19 발생원에 대한 호주 측의 공식조사 요구, 한국에 요소수 파동까지 일으킨 호주와 중국 사이의 수년에 걸친 심각한 무역 갈등, 그리고 오커스(AUKUS)로 대표되는 호주·영국·미국 안보동맹 구성 등이 그냥 일어난 사건들이 아니고, 실은 그 이전에 매우 복잡하고 심각한 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 중국 공산당의 호주 및 세계 영향력 공작 문제를 공론화시키며 관련 서방세계 최고 이론가로 주목받고 있는 학자가 바로 호주 찰스스터트 대학 교수인 클라이브 해밀턴(Cilve Hamilton)이다. 그의 관련
[조성환 ·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정치학 박사)] 세계질서가 크게 소용돌이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세인들은 이 국제정치의 격랑을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 그리고 현재 유일 패권국인 미국의 양국 권력 쟁패 정도로만 여겼다. 지식인과 전문가도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거론하며 새로이 부상하는 중국과 기존의 패권을 방어하려는 미국이 벌이는 국제정치적 게임의 관점에서만 이를 조명하는 데 익숙했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이 커다란 격랑이, 단순히 ‘용과 독수리 사이에 힘의 쟁패’라는 차원을 넘어서, ‘중국몽’이라는 표어로써 전 세계, 특히 서방 세계 내부에 침투하려는 중국 공산당의 반문명적 도발과 침공에 의해 비롯됐다는 사실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실제로, 우한 코로나 팬데믹의 확산과 창궐, 재앙의 야기로 중국에 대한 전 세계인의 경각심과 혐오감이 불가역적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시진핑이 지도하는 중국 공산당의 세계 침투와 매수, 협박과 도발 등의 악덕에 대한 고발도 각 국가들에서 차례로 이어지고 있다. 언론사이자 출판사인 ‘미디어워치’는 시진핑의 중공이 서방에서 자행하는 부패 함정과 지배와 침공의 실태, 반문명적 도발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세이론(月刊正論)’ 2022년 4월호에 게재된, 모라로지 연구소(モラロジー研究所) 교수이자 레이타쿠(麗澤) 대학 객원교수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강제노동’ 주장하는 이들은 1차 자료부터 보라(「強制労働」派は 一次史料を読め)’(원제)를, ‘겟칸세이론’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이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사도금광, ‘강제노동’ 주장하는 이들은 1차 자료부터 보라 (「強制労働」派は 一次史料を読め) 지난해 12월 28일, 일본 문화심의회가 ‘사도킨잔(사도금산)’(니가타 현)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했다. 그러나 일본 문화청은, 이 선정이 추천을 결정한 것이 아닌 향후 일본 정부 내에서 올해의 추천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그 전후로 한국에서는 문재인 정권, 언론, 학자 및 반일 운동가들이 사도킨잔은 조선인 강제노동의 현장이었으므로 세계문화유산에 적합하지 않다며 일본 정부의 추천신청을 반대하는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정권도 좀처럼 추천을 결정하지 않았고, 일부 일본 언론은 올해 추천은 보류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하나다(月刊Hanada)’의 인터넷판인 ‘하나다프러스(Hanadaプラス)’에 2020년 5월 29일자로 게재된 ‘일본이 직면한 ‘중국몽’이라는 위기, ‘중국의 조용한 침공’ 해설(日本国民が直面する「中国の夢」という危機/『目に見えぬ侵略』解説)‘를 ‘겟칸하나다’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일본이 직면한 ‘중국몽’이라는 위기, ‘중국의 조용한 침공’ 해설(日本国民が直面する「中国の夢」という危機/『目に見えぬ侵略』解説) [필자소개] 야마오카 데츠히데(山岡鉄秀)는 정보전략분석가이자, Australia-Japan Community Network Inc. (AJCN, 일-호 지역주민네트워크 주식회사) 대표이며 공익재단 모라로지(モラロジー) 연구소 연구원이다. 1965년 도쿄 출생. 일본 주오(中央)대 졸업 후, 호주 시드니대 대학원, 뉴사우스웨일즈대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2014년 호주 스트라스필드(ストラスフィールド, Strathfield) 시에서, 중국계와 한국계의 반일 단체가 추진하는 위안부 동상 설치 계획과 조우했었다. 이에 아이가 있는 어머니들과 함께 현지 일본계를 이끌고 AJCN를
※ 본 인터뷰 기사는 프랑스의 세계적 유력지 ‘르 피가로(Le Figaro)’의 마리-라에티시아 보나비타(Marie-Laetitia Bonavita) 기자가 ‘프랑스와 중국의 위험한 관계’의 저자인 앙투안 이장바르를 인터뷰하여 ‘앙투안 이장바르, “중국은 프랑스 기업들에 가장 공격적인 국가”(Antoine Izambard: «La Chine est le pays le plus agressif envers nos entreprises»)’ 제하로 2019년 10월 31일에 공개한 것입니다. ‘르 피가로’로부터는 번역 전재 허락을 받았습니다. (번역 : 황지현) 앙투안 이장바르, “중국은 프랑스 기업들에 가장 공격적인 국가” (Antoine Izambard: «La Chine est le pays le plus agressif envers nos entreprises») 이장바르 기자는 그의 저서에서 산업·기술 격차를 따라잡기 위한 중국의 떳떳하지 못한 수법들을 해독했다 사이버공격 및 그보다 전통적인 여러 첩보 수단들, 기업 인수, 연구소 자금 조달… 에마뉘엘 마크롱이 상하이와 베이징을 방문할 준비를 하는 동안, 중국은 미국에 맞서는 기술적 리더십을 획득하기 위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Pierre Choderlos de Laclos, 1741~1803년)는,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 풍속이 극도로 문란해져 파멸적 상황에 이른 프랑스 상류사회를 소설 ‘위험한 관계(Les Liaisons dangereuses)’를 통해 묘사했던 바 있다. 중국 공산당에 침투당해서 헤매고 있는 오늘날 프랑스 엘리트들의 상황 역시 그에 못지않은 듯 하다. ‘프랑스와 중국의 위험한 관계(France Chine, les liaisons dangereuses)’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경제 주간지인 ‘샬랑쥬(Challenges)’의 경제·안보 분야 전문 기자 앙투안 이장바르(Antoine Izambard)가 쓴 책이다. 21세기 들어 특히 본격화된 프랑스와 중국 사이의 물밑에서의 음험한 전쟁 문제를 파헤친 그는 이 책을 통해 프랑스 내에서는 대서양 쪽으로 뻗어있는 브르타뉴 반도가 특히 이 전쟁의 중요한 전장임을 고발하고 있다. 중국은 하필 왜 브르타뉴 반도를 노렸을까. 브르타뉴에는 무엇보다도 프랑스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핵잠수함(SSBN) 기지가 있다. 게다가 프랑스 방위산업청도 인근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버산학단지와 특별군사학교는 물
‘호주와 중국의 예정된 전쟁’(원제 : 「目に見えぬ侵略」「見えない手」 副読本)은 중국 공산당의 호주 및 세계 침투·전복 공작 문제에 관한, 근래 가장 화제를 모은 두 권의 책에서 핵심을 뽑아서 정리한 책이다. 그 두 권의 책은 2021년 상반기 국내에 번역 출간된 ‘중국의 조용한 침공(Silent Invasion)’(세종서적)과 ‘보이지 않는 붉은 손(Hidden Hand)’(실레북스)이다. ‘중국의 조용한 침공’과 ‘보이지 않는 붉은 손’은, 클라이브 해밀턴(Clive Hamilton)의 원저들 내용도 일단 탁월한데다가, 전문번역가인 김희주 씨와 홍지수 씨에 의해 각각 훌륭하게 번역돼 나온 책들이다. 다만 이 책들은 두 권을 합해 1,000쪽이 넘을 정도로 방대하다. 분량도 분량이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생소한 호주와 북미, 유럽의 인물, 지역, 정치 등을 소재로 다루고 있어 기존에 해당 국가의 내부 정치 문제나 각국의 인도-태평양 외교안보 전략 등 국제 시사 분야에 전문성이 없는 일반 독자들로서는 수월하게 읽어내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호주와 중국의 예정된 전쟁’은 앞서 출간된 원저들에서 주요 내용을 뽑아 이를 각 주제별로 새로이 정리하여 40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