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위 2006 한국영화산업 결산자료 발표 한국인 프랑스인만큼 영화 본다 지난해 한국영화 수출액이 전년 대비 68%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18일 발표한 '2006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영화 해외수출 규모는 2천451만 달러로 2005년(7천599만 달러)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수출 편수는 208편으로 2005년(202편)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출 단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2005년 37만6천 달러였던 편당 수출가격이 지난해 11만7천 달러로 3분의 1 수준 아래로 내려앉았다. 태국을 제외하고는 모든 나라에서 수출액이 줄어들었으며 일본은 전년 대비 82.2%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아시아 지역 수출 비중이 처음으로 감소했다. 영진위 측은 일본에서 개봉된 한국영화가 연이어 흥행에 참패한 데다 저작권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 및 거래관행 차이에서 발생하는 갈등까지 겹쳐 수출이 급감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관객은 연중 3.4편의 영화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5~6회, 호주의 4~5회보다는 적지만 프랑스ㆍ스페인의 3~4회와는 유사한 수준이다.
*사진설명 :애로배우였던 가수 하유선 ⓒ연합뉴스가수 하유선과 성은은 에로배우 출신이다. 영화 '신데렐라'로 최근 흥행에 성공한 봉만대 감독 또한 에로 영화 감독으로 이름을 날렸다. 하유선과 성은, 봉 감독은 비주류인 에로 영화에서 각각 주류문화인 대중가요와 상업영화로 자리를 옮긴 인물들. 이들이 주류문화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이들에 대한 대중의 거부반응이 예상보다 덜한 것을 보면 유교문화권인 한국사회도 이제 에로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많이 사라진 것도 사실. 이는 비디오숍과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에로물과 포로노물이 한 원인이다. 가수 하유선은 가수로 데뷔하기 이전 하소연이란 이름으로 활약, '얼짱' 에로스타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 포르노 영화의 주류문화 편입 가능성을 논한 책이 최근 출간돼 눈길을 끈다. 영화평론가 연동원 씨가 낸 '포르노 영화 역사를 만난다'(연경미디어 펴냄)는 포르노 영화를 통해 현대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 책. 포르노를 통해 시대별 사회문화를 조명하고 포르노 산업과 관련된 사회문제, 포르노 문화가 주류문화로 유입될 가능성을 전망했다. 이 책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포르노 문화의 주류문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