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은 25일 당내 논란이 되고 있는 '후보 검증' 문제와 관련, 당내 대선예비주자들의 비전과 정책, 도덕성에 대해 당이 중심이 돼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하고 향후 당 검증기구의 결정을 존중하기로 했다.
대선주자들은 또 경선 시기와 방식에 대해서는 당 경선준비기구인 `2007년 국민승리위원회'에서 내달 10일까지 원만하게 합의가 도출되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하고, 경선 결과에 대해서는 승복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손학규(孫鶴圭) 전 경기지사, 원희룡(元喜龍), 고진화(高鎭和) 의원 등 당 대선주자 5명은 이날 오전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열린 강재섭(姜在涉) 대표 주최의 조찬간담회에 참석, 이같이 공감했다고 한나라당 나경원(羅卿瑗)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대선주자들은 또 ▲근거없는 비방 및 폭로 배격 ▲권역별, 주제별 정책토론회 개최 및 매니페스토(참공약 선택하기) 운동 적극 전개 ▲당 지도부와 경선준비기구의 엄정 중립 ▲필요시 지도부와 후보간 수시 모임을 통한 긴밀한 협의 개최 등에도 공감했다고 나 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나 대선주자들의 이날 의견 수렴은 후보들간 `합의'가 아니라 `공감'이라는 점에서 향후 경선 과정에서 얼마만큼의 구속력을 가질 수 있을 지는 논란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나 대변인은 6개항으로 정리해서 밝힌 대선주자 간담회 발표문의 성격과 관련, "`합의'로 표현해도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 "언어는 공감으로 (그대로) 해줬으면 한다"면서 '원론적 수준의 의견 접근'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강 대표는 이날 조찬모임에서 후보 검증 문제와 관련, "정책과 노선 뿐만 아니라 윤리와 도덕성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사자가 새끼를 떨어뜨려 강한 새끼를 만드는 것처럼 당이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며 "도덕성 검증문제가 앞으로 계속 제기되면 당이 주도하긴 어렵다. 당이 국가원로, 언론인, 종교인을 포함한 청문기구를 만들고 제기되는 모든 의혹을 모아 한 두차례 청문회를 여는 것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고 나 대변인이 전했다.
이명박 전 시장은 최근 자신을 둘러싸고 제기된 검증 문제에 대해 "요 근래 당과 국민이 걱정하는 계기가 있었다. 그 중심에 내가 있어 송구스럽다"고 밝힌뒤 "검증 문제도 당이 해야 한다. 정인봉(鄭寅鳳) 전 의원의 문제 제기는 순수하게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당내 경선 시기 및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당 지도부와 경선준비기구의 공정성을 거듭 강조하며 "최고위원중 캠프에 깊숙이 관여돼 있는 분에 대해서는 후보가 자제시켜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경선 룰에 대해서는 대선 주자들간에 의견차이를 보여 이 전 시장은 "경선시기나 방법에 관해선 조직과 기구가 있으니 거기에서 논의하는 게 맞겠다"고 밝힌데 비해 박근혜 전 대표는 "(당헌은) 공정하게 모든 의견을 수렴해서 9개월간 만든 것이다. 유불리를 떠나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원칙이 지엄해서 그냥 지켜왔는데 원칙을 지켜온 사람은 어떻게 보상받느냐"며 경선 룰 변경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히고, "후보들이 대리인을 내세워 합의하는게 합법적인가. 당원이 합의봐서 결정한 것을 후보들이 합의로 바꿀 수 없는 만큼 당원의 의견을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전 대표는 또 "경선과정에서 불법이 있다면 후보가 사퇴해야할 것이고, 또한 그런 일에 관여한 사람은 출당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학규 전 지사는 "경선은 최종적으로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가장 경쟁력있는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라며 "그 원칙에 맞춰 경선 룰이 정해져야한다. 특정 후보를 위한 들러리를 세우는 룰에는 합의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원희룡 의원은 경선 시기의 탄력적 조정과 경선 선거인단의 국민 참여 확대를 주장했고, 고진화 의원은 "룰을 고치는 것은 당헌개정 사항이므로 전당대회에서 고쳐야할 것"이라며 "계파 줄세우기가 매우 심각하다. 모든 후보들이 무계파 선언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