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복합 여드름 흉터치료는 어떻게 해야?

[깨끗하고 투명한 피부 이야기-루미나르 피부과]



20세기 최고 지휘자라는 찬사와 대중적인 사랑을 한 몸에 받은 뉴욕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 번스타인[ Bernstein, Leonard ,1918.8.25~1990.10.14 ]같은 거장을 마에스트로(maestro)라고 말한다. 마에스트로는 지휘자뿐만 아니라 각 분야에서 최고의 명인이나 거장을 존칭하여 일컫는 말이다. 그만큼 주위에서 실력을 인정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복합 여드름흉터치료로 유명한 루미나르 피부과는 프락셀과 프락셀 제나 시술에 관한 여드름흉터치료와 모공치료에 대해 프락셀본사 한국지점인 ㈜조이엠지에서 프락셀 공식 대표지정병원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국내 래디어스 필러 공식수입원인 (주)디앤컴퍼니에서 코필러 시술의 공헌도와 시술력의 가치를 인정받아 국내1호 래디어스 코필러 공식지정 시술전문 피부과로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프락셀과 프락셀 제나를 만드는 미국 쏠타메디컬 CEO의 초청을 받는 등 루미나르 피부과 노진혁 원장에 대한 주변의 평가는 한마디로 마에스트로다.

여드름 청춘의 상징?...흉터는 마음의 상처!

여드름을 흔히 ‘청춘의 상징’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실제 여드름 때문에 고민인 10대와 20대의 젊은이들에게는 심리적정신적으로 위축되어 대인기피 또는 성격장애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여드름은 털 피지샘 단위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과다각질화, 염증반응과 세균의 상호작용, 호르몬,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발생한다.

여드름은 10대 청소년기에 많이 발생하지만 건강보험공단의 여드름 진료환자수 조사결과 연령층 중 20대가 가장 많이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청소년기에 여드름이 발생하더라도 학업 등의 이유로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여드름에 대한 인식이 한때 있다가 사라지는 ‘청순의 상징’으로 가볍게 생각해 방치한다. 하지만 청소년기 여드름은 여드름 자체보다 그 이후 남는 흉터가 심각해 질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여드름흉터치료는 다양하지만 최근 인기 있는 치료 방법은 프락셔널방식의 레이저와 약품도포 치료술이다.

프락셀제나 레이저는 피부 진피 층 내의 열 자극을 통해 새로운 콜라겐 생성과 피부재생을 유도한다. 이는 기존의 박피 시술과는 달리 피부 진피 층 내에 레이저가 침투해 새로운 콜라겐을 생성하고 피부를 재생하는 것이다. 약품도포는 레이저 침투가 적은 흉터 부위에 화학 약품을 이용해 새살이 차오르게 하는 것을 극대화시킨다. 즉, 피부 표면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피부가 재생된다.

여드름 치료, 전문의의 의료서비스 질 '핵심'

프락셀제나 레이저 시술에 약품도포 시술이 더해지면 피부 겉과 속의 양면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여기에 미세박피, 서브시전(Subcision: 진피절제술), MTS 다륜침 등의 시술로 부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결국 이런 과정의 적절한 조합이 복합여드름흉터 치료법의 핵심이다. 그러나 전문의의 노하우와 시술건수 역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중요사항이다.

복합여드름흉터 치료법을 선보인 복합 여드름흉터전문병원 루미나르 피부과 노진혁 원장은 "여드름 흉터는 특히 발생과정과 치료적인 부분에서의 전문의의 의료서비스 질이 중요하다"며 "각 개인의 흉터타입과 치료반응이 다양한 만큼 전문의의 의료서비스로 치료효과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같은 장비(레이저)와 병행치료법(약물 등)을 시행해도 각각의 치료원리, 피부의 재생원리 및 시술의 시기, 간격, 세기에 따라 치료효과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며 "전문의의 학문적 전문성과 치료적 경험에 따라서 시술 시 큰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여드름흉터 치료를 쉽게 생각해 시술 받고 부작용이나 치료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아 다시 재시술 받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제 여드름흉터를 전문적으로 치료해줄 수 있는 피부과 전문의를 신중하게 찾아야겠다.

도움말: 루미나르 피부과 원장 노진혁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