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연결하는 경의선.동해선 철도가 오는 17일 시험 개통된다. 이에 따라 17일 운행이 중단된 지 56년 만에 열차가 휴전선을 넘을 수 있게 됐다. 남북은 11일 오후 5시30분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제5차 장성급 군사회담 종결회의를 열어 열차 시험운행을 위한 군사보장 잠정합의서와 5개 항의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양측은 17일 열차시험운행을 군사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잠정합의서를 채택, 발효시키기로 하고 이를 공동보도문에 명기했다. 남북은 이와 관련, 정승조(육군소장) 수석대표와 김영철(중장) 북측 단장이 이날 서명한 잠정합의서에서 열차가 군사분계선(MDL)을 통과하는 시간을 하루 전에 상호 통보하기로 했다. 그러나 남측이 강력히 요구한 철도.도로 통행의 군사적 보장합의서 채택 문제는 양측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는 문구를 공동보도문에 반영하는 선에서 마무리하고 차기 회담으로 넘겼다. 남북은 또 서해상에서 군사적 충돌을 막고 공동어로를 실현하는 것이 군사적 긴장완화 및 평화를 정착하는데 시급한 과제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위해 ▲공동어로 실현 ▲군사적 충돌방지대책 및 공동어로 수역 설정 ▲서해상 군사신뢰 조성 정도에 따라 북측 민간선박의 해주항
북한이 2일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을 오는 8~10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하자고 제의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3일 남북 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 접촉을 갖자고 한 남측 제의에 대해 장소는 북측지역 통일각으로 바꾸고 시기는 늦추되 회담의 격은 한단계 높이자고 역제안한 것이다. 정부는 북측 의도를 분석하는 한편 회담 전략 마련에 돌입했다. 남측은 관련부처 간 협의 후 북측 제의를 수용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오는 17일 열차시험 운행을 목전에 두고 있기 때문에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남측이 북측 제의를 수락하면 작년 5월 16~18일 제4차 회담 이후 1년여 만에 장성급 군사회담이 재개되는 셈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무엇보다 경의.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에 따른 군사적 보장조치 문제가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남북은 지난 달 18~22일 평양에서 열린 제13차 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오는 17일 경의.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을 하기로 합의하고 이를 위한 군사적 보장조치가 취해지도록 적극 협력한다는데 의견을 모았기 때문이다. 북측도 '군사적 보장조치가 취해지도록 협력한다'고 제13차 경추위에서 합의했기 때문
정부가 5일 `비전 2030 인적자원 활용' 방안의 일환으로 병역제도개선안을 발표하면서 이에 따른 소요예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국방부도 2008년 도입, 2020년 이후 4만 명 수준을 유지할 예정인 유급지원병 도입 등에 따르는 소요 예산 및 예산확보 방안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유급지원병제는 의무복무 이후에도 적절한 보수를 지급해 추가로 복무를 연장하는 제도를 말한다. 인력양성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전투.기술 숙련병과 첨단장비 운용 전문병 등이 유급지원병 대상이다. 국방부는 의무복무를 한 후 유급지원병으로 전환해 6∼18개월을 추가 복무하는 전투.기술 지원병과, 입대 전부터 선발을 거쳐 의무복무기간을 포함해 총 3년을 근무하는 첨단장비운용 전문병 등 2가지 형태의 유급지원병제를 운용할 예정이다. 2008년부터 2천 명을 시범운영 한 뒤 매년 1천∼1천500명을 점진적으로 증원해 2020년 이후에는 4만명(전투.기술 숙련병 1만 명, 첨단장비운용 전문병 3만 명)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예산이다. 국방부는 유급지원병들에 대한 보수에 대해 정확한 언급을 하지 않은 채 다만 전투.기술 숙련병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