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일본 정부가 2차대전 당시 군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대처를 두고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군대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발언으로 안팎의 비난이 거센 점을 감안해 더이상 이를 쟁점화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음에도 관료들이 나서서 자극적인 발언을 계속함에 따라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 이른바 "협의(狹義)의 강제성'을 부정했던 아베 총리가 그런 언급을 삼간 채 과거 위안부들이 당한 고통에 대한 "사죄"를 강조하고 있지만 측근인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일본 관방부장관이 구(舊) 일본군의 관여를 부정하는 발언을 해 여당측으로부터도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아베 총리는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스 등 미국 유력 언론으로부터도 거센 비판을 받고 있어 내달 하순 예정된 취임 이후 첫 미국 방문에서도 이 문제로 인해 곤혹스런 입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미국 하원에 제출된 일본군의 군대위안부 강제동원 비난 결의안에 불을 끼얹은 것은 아베 총리 자신이었다고 강조했다.

지난 5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관헌이 집에 들어가 끌고가는 등의 협의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증언은 없었다"는 독특한 논리가 과거 위안부들의 상처를 다시금 되살렸다는 것이다.

안팎의 반발에 직면한 아베 총리는 이후 몇차례 '사죄'라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무마에 나섰지만 이는 아베 총리의 지지기반인 보수층의 이반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관방부장관이 최근 "강제연행에 일본군의 직접적인 관여는 없었다"고 발언한 것도 이런 보수파들의 분위기를 대변한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공동여당의 기타가와 가즈오(北側一雄) 간사장이 이 발언에 대해 "관방부장관은 자신의 의견을 말할 입장에 있지 않다"고 비판한 반면 아베 총리가 이 발언에 대해 전면적으로 부정하지 못하는 것도 이런 사정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문은 아베 총리로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