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아카데미워치 (학술/대학)


배너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V)

진중권 교수의 서울대 석사학위 청구 논문에서 기타 표절 부위들과 엉터리 인용부위들

<동양대 진중권 교수의 서울대 석사논문 표절 혐의 관련 기사>

1. [단독] 진중권 교수, 석사논문 표절 혐의로 제소돼

2. 진중권, '책 안 읽고 논문 쓴다' 학생들에 표절 부추겨

3. “서울대의 진실 검증엔 시효가 있다”?

4. 서울대는 도쿄대(東京大)를 이길 수 없다.

5.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

6.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I)

7.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II)

8.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V)

9.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V)

10. 진중권 교수의 표절 논문에 엮인 피해자들

11. 서울대의 진중권 석사논문 표절 은폐 의혹에 관하여
 



 
이전글 :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II)

5. 진중권 논문의 기타 표절 부위들

진중권 논문을 한번씩 대충 훑을 때마다 진중권이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 있는 문장을 직역으로 표절한 부위가 계속 나온다. 얼마나 더 나올지는 모르겠다.



위는 진중권 논문 29쪽의 한 단락이다. 이는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 14쪽의 다음 문장들과 정확히 일치한다. 인용부호도 출처표시도 없는 표절이다.


Вместо четкой разграниченности семант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происходит сложное переплетение: синтагматическое на одном уровне иерархи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оказывается семантическим на другом. Снятие оппозиции «семантика — синтактика» приводит к размыванию границ знака. Сказать: все элементы текста суть элементы семантические — означает сказать: В определенном отношении это так и есть: текст есть целостный знак, и все отдельные знаки общеязыкового текста сведены в нем до уровня элементов знака.



위는 진중권 논문 35-36쪽이다. 이 부분은 사실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 유리 로트만이 글리쓴(Г. Глисон)의 저서인 ‘묘사언어학 개론(Введение в дескриптивную лингвистику)’(1959)에 나오는 내용을 정리해놓은 부분이다.(‘19 장 ‘자연언어의 잉여성 기술(Описание избыточности в естественных языках)’)

진중권은 유리 로트만이 글리쓴의 책 내용을 정리한 부분을 다루면서도 1차 출처라고 할 수 있는 글리쓴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하지 않았다. 유리 로트만은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 분명 글리쓴을 인용했음에도 말이다. 학적으로 얘기하면, 진중권은 ‘재인용’을 하지 않은 것이다. 진중권은 글리쓴의 저서에 대해서는 참고문헌에도 적시하지 않았다.

진중권 논문 35-36쪽의 문단 제목 ‘복수의 약호’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15쪽에 있는 다음 부분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О множественности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кодов


복수(수치)라는 자체가 약호를 가진다는 것인지? 복수적인 약호도 아니고 약호의 복수성도 아니고, 문단제목을 잘못 해석했다. 위 구절의 정확한 뜻은 ‘예술적 약호의 복수성에 대해서’이다.

이 부분의 내용인 “예술적 전달은~ 확보하려고 한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15쪽에 있는 다음의 문장들과 일치한다.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коммуникация(예술적 전달은) обладает(가지고 있다) одной(하나의) интересной(재미있는) особенностью(특징을): обычные виды связи знают только два случая отношений сообщения на входе и выходе канала связи(일상적인 전달 형식은 입력과 출력의 채널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전언관계들만을 가지고 있다) — совпадение или несовпадение(일치 아니면 불일치가 바로 그것이다.). Второе(후자는) приравнивается ошибке и возникает за счет «шума в канале связи» — разного рода обстоятельств, препятствующих передаче(전달 채널에서의 소음 - 여러가지 전달을 방해하는 상황들로 생성된 – 오류라고 간주된다). Естественные языки(자연 언어는) страхуют(예방책을 강구한다) себя от искажений(의미 왜곡에 대해) механизмом избыточности(잉여성의 메카니즘을 통해서) — своеобразным запасом семантической прочности(의미론적으로 안정된 자신만의 고유한 여러 어휘들을 통해서). [24]



진중권 논문 37쪽의 내용은 ‘예술 텍스트의 구조’ 17쪽과 일치하는데, 이는 유리 로트만이 다음과 같은 꼴모고로프 A. N. 의 잡지기사들,


(1) Колмогоров А. Н.(꼴모고로프 A. N.), Кондратов А. М. (꼰드라또프 A. M.) Ритмика поэм Маяковского(마야꼬프스키 장시의 운율체계) // Вопросы языкознания(언어학 문제). 1963. № 3;

(2) КолмогоровА. Н. (꼴모고로프 A. N.), Прохоров А. В. (쁘로호로프 A. V.) О дольнике современной русской поэзии (현대 러시아시의 시격에 대하여)// № 6;

(3) Колмогоров А. Н. (꼴모고로프 A. N.), Прохоров А. В. (쁘로호로프 A. V.) О дольнике современной русской поэзии (현대 러시아시의 시격에 대하여) (статистическа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дольника Маяковского, Багрицкого, Ахматовой (마야꼬프스키, 바그리츠키, 아흐마또바 시격의 정적 특징묘사)) // Там же. 1964. № 1.)


을 인용해 온 것이다. 헌데, 진중권의 논문 본문에는 꼴모고로프 A. N. 를 언급하지 않으며, 참고문헌에도 꼴모고로프 A. N. 를 거론하지 않고 있다. 원칙적으로 이는 모두 재인용 처리가 되어야 하는 것들이다.


여하튼 진중권 논문 37쪽의 내용은 ‘예술 텍스트의 구조’ 17쪽에 있는 다음의 문장들과 일치한다.


А. Н. Колмогоров(꼴모고로프는) пришел к выводу, что энтропия языка (Н)(언어의 엔트로피가) складывается из двух величин(두 개의 양으로 이루어 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것은) определенной смысловой емкости (h1) (일정한 의미용량) — способности языка в тексте определенной длины передать некоторую смысловую информацию(즉, 일정한 길이의 텍스트에서 어떤 의미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언어의 능력이고), и гибкости языка (h2) (언어의 유연성)— возможности одно и то же содержание передать некоторыми равноценными способами(즉, 몇 가지 등가의 방식들로 같은 내용을 전할 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При этом (이 때) именно(바로) h2(h2가) является источником поэт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시적 정보의 원천이 된다.). Языки с h2 = 0 (h2가 0 인 언어), например(예를들어) искусственные языки науки, принципиально исключающие возможность синонимии(동의어의 가능성이 배제된 인공언어는),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оэзии быть не могут(시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없다). Поэтическая речь(시적 발화는) накладывает на текст ряд ограничений в виде заданного ритма, рифмы, лексических и стилистических норм (텍스트에 리듬, 운율, 어휘, 문체의 형식으로 일정한 제약을 강요한다). Измерив, какая часть способности нести информацию (она обозначается буквой β.) расходуется на эти ограничения (정보(이는 β라는 알파벳으로 표기된다.)를 가지는 능력의 어떤 부분이 이 제약에 소모가 되는 것인지 연구한 결과), А. Н. Колмогоров сформулировал закон(꼴마고로프 A. N. 은 규칙을 정하였다), согласно которому(그 규칙에 따르면) поэтическое творчество(시적 창조는) возможно лишь до тех пор, пока величина информации, расходуемой на ограничения, не превышает β < h2 — гибкости текста (제약에 소모되는 정보의 양이 유연성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만 가능하다). На языке с β > h2 поэтическое творчество невозможно. (β > h2인 언어에서는 시적창조가 불가능하다)



위 진중권 논문 39쪽 단락은 ‘예술텍스트의 구조’ 19쪽의 다음 문장들과 일치한다.


Ситуация № 1. Писатель в позиции: Н = h2 + h/2; читатель: Н = h1 + h/1. Адресат (читатель или критик) разделяет в произведении «содержание» и «художественные приемы». Ценит выше всего нехудожественную информацию, содержащуюся в художественном тексте. Писатель оценивает свою задачу как художественную, читатель видит в нем в первую очередь публициста и оценивает его произведение по «направлению», журналу, в котором опубликовано произведение (ср. восприятие «Отцов и детей» Тургенева в связи с опубликованием их в «Русском естнике»), или вне данного текста проявившейся общественной позиции писателя (ср. отношение к поэзии Фета в среде передовой молодежи 1860-х гг. после появления его реакционных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их статей). Яркое проявление ситуации № 1 — «реальная критика» Добролюбова.

Ситуация № 2. Писатель в позиции: Н = h2 + h/2; читатель: Н = h2 + h/2.
Возникает в эпохи утонченно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культуры (например, европейское Возрождение, определенные эпохи культуры Востока). Массово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поэзии: почти каждый читатель — поэт. Поэтические конкурсы и состязания, известные античности и многим средневековым европейским и восточным культурам. В читателе развивается эстетство.

Ситуация № 3. Писатель в позиции: Н = h1 + h/1; читатель: Н = h1 + h/1. Писатель смотрит на себя как на естествоиспытателя, поставляющего читателю факты в правдивом описании. Развивается «литература факта», «жизн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Писатель тяготеет к очерку. «Художественность» — уничижительный эпитет, равнозначный «салонности» и «эстетству».

Ситуации № 4. Писатель в позиции: Н = h1 + h/1 читатель: Н = h2 + h/2. Писатель и читатель парадоксально поменялись местами. Писатель рассматривает свое произведение как жизненный документ, рассказ о подлинных фактах, а читатель настроен эстетски. Предельный случай: нормы искусства накладываются на жизненные ситуации — бой гладиаторов в римском цирке;

Нерон, оценивающий пожар Рима по законам театральной трагедии; Державин, повесивший, по словам Пушкина, пугачевца «из пиитического любопытства» -



진중권 논문 39쪽의 내용에서 “이 입장들은~ 결합시킨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0쪽에서 다음 부분과 일치한다.


Все охарактеризованные ситуации представляют крайние случаи и воспринимаются как насилие над некоторой интуитивно данной нормой читательского отношения к литературе.



진중권 논문의 39~40쪽이다. “그러나 ~ 점이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0쪽의 다음 문장과 정확히 일치한다.


Но один и тот же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текст при взгляде на него с позиции адресанта или адресата выступает как результат исчерпания разной энтропии и, следовательно, носитель разной информации.



진중권 논문 40쪽에서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알 수 있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0쪽의 다음의 문장과 정확히 일치한다. 진중권이 이 부분은 뒤에서 “이러한 로뜨만의 주장은”이라고 하는 식으로 유리 로트만의 주장임을 밝히고 있지만, 이 경우는 원칙상 각주로 출처를 제시해야하는 것이며, 직역으로 인용한만큼 인용부호(쌍따옴표)를 해줬어야 한다(또는 들여쓰기도 허용).


… формулу энтропи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можно будет выразить так:


H=H^1^ + Н^2^, где Н1 = h1 + h/1, a Н2 = h2 + h/2.

Но поскольку H1 и H2 в предельном случае, грубо говоря, охватывают всю лексику данного естественного языка, то становится объяснимым факт значительно большей информативност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по сравнению с нехудожественным.



진중권 논문 45쪽에서 위의 “리얼리즘 ~ '외적 약호변환'이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4쪽의 다음 문장과 일치한다.


… в реалистическо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системе вопрос о соотношении значения понятия в структуре (идей или стиля) с внесистемным значением сразу же занимает первостепенное место. Средством выявления этого значения выступает внешняя перекодировка ...



진중권 논문 46쪽의 “뿌쉬낀은~한다”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4쪽에서 다음의 문장과 일치한다.


Пушкин, уже смотрящий на романтическую структуру глазами реалиста, стремился раскрыть значение роман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стиля….



진중권 논문 46-47쪽에서 “작가가~발생한다.”는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 24쪽에서 다음의 문장과 일치한다.


Более сложен случай, когда автор не сопоставляет два стиля, подразумевая, что один из них — ложный, неестественный и напыщенный, а другой — правдивый, воплощающий самое истину, а стремится проникнуть в сущность 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и, поняв ограниченность любой из кодирующих систем.


진중권 논문 47쪽에서 “이는 동일내용이~잘 나타내는데”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26쪽에서 다음의 문장과 또 일치한다.


Это приводит к появлению произведений, в которых демонстративно пересказывается одно и то же содержание в разных семантических ключах и в разных стилистических тональностях.


진중권 논문 47쪽에서 “례르몬또프는~인정한다”는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 26쪽에서 다음의 문장과 일치한다.


Лермонтов начинает допускать возможность увидеть одно и то же явление с двух точек зрения.



진중권 논문 47쪽에서 위 단락은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 26쪽의 아래 단락과 일치한다.  원문에는 위 예가 속한 시집의 제목(례르몬또프의 '쌰쓔까')이 밝혀져 있지만, 진중권 논문에는 이 부분만 누락됐다. 아래 볼드체한 부분을 보기 바란다. 왜 앞서는 이 시의 작가 이름을 틀리게 기재하고("뿌쉬킨의 시구"), 논문 전체로 시 제목을 계속 누락시켰는지 이해가 안간다.


Луна катится в зимних облаках,
Как щит варяжский или сыр голландской.

«Щит варяжский» и «сыр голландской» (можно отметить антитезу не только лексическую, но и грамматико-стилистическую — торжественное «ий» и разговорное «ой») взаимоэквивалентны, так как имеют общее значение на уровне реальности (луна). Причем отношение между ними не адекватно снижению романтического стиля в приведенном нами выше примере из «Евгения Онегина». Там романтический стиль выступает как ложная вычурность. В «Сашке» система иная: перед нами две равноправные точки зрения, а значением является не одна из них, а их отношение. Связь цепочек-структур здесь не одно-, а взаимонаправленная.


6. 진중권 논문의 엉터리 인용 부위들

통상 ‘2차 문헌 표절(재인용 표절)‘이라 하면 자기가 실제로 참고한 ’2차 출처‘(독해가 상대적으로 쉬운 개괄서나 번역서인 경우다)는 삭제하고, 출처표시로 ’1차 출처‘(독해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해외원서나 고문헌인 경우다)만 노출시키는 꼼수형 표절이다.

헌데, 진중권의 경우는 독특하게도 유리 로트만이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 분명히 일일이 언급해준 1차 출처를 자기 논문에서 삭제시켰다. 유리 로트만의 아이디어가 아닌 다른 1차 출처 저자의 아이디어를 유리 로트만의 아이디어로 둔갑시키면서 멀쩡한 유리 로트만를 마치 표절자인 듯 만들어버린 셈이다.

필자는 진중권이 법으로 한번 해보자고 나오는 것이 전혀 두렵지 않다. 진중권 논문의 문제를 다루면서 허위사실을 얘기한 것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필자의 진중권 논문에 대한 지적이 사실적시 명예훼손이라고 억지로 우긴다고 하더라도 사실적시 명예훼손은 이를테면 프라이버시 폭로와 같은 경우에나 적용할 수 있는 혐의로 알고 있다.

분명 진중권 본인이 검증하라고 던져준 학위논문을 검증하고 있는데 마치 화장실 도둑촬영이라도 당한 것처럼 진중권이 정색하고 나오는 이유를 모르겠다.

진중권은 필자의 러시아어 수준이 의심된다고 그런다. 진중권이 논문 작성 과정에서 단순히 러시아어 철자 틀린것만 모아놔도 A4용지 몇장은 거뜬히 넘어갈텐데... 하여간 웃긴다는 생각이다.
  


진중권의 '논문'(사실 '논문'도 아니고 그냥 '발췌번역서'라는 지적이 설득력있게 나오고 있지만 일단 편의상 계속 이렇게 부르도록 하겠다.)에서 두 번째 장인 ‘언어로서의 예술’은 위와 같이 유리 로트만의 문장으로 시작한다. 여기서 얼핏보면 진중권은 일단 직접인용으로서 인용부호(“”)를 제대로 한 것으로 보인다. 아래와 같이 출처표시도 제대로 한 것 같다.



하지만 알고보면 이 역시 정상적인 인용처리가 아니다. 왜냐하면 사실 저기서 앞의 두 문장은 유리 로트만의 주장이 아니라 바로 ‘뺘찌고르스끼(А. М. Пятигорский'라는 학자의 주장으로 유리 로트만이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 인용을 했던 것이기 때문이다.

논문에서는 이런 경우 직접인용 안에다가 또다시 내부 인용표시로서의 외따옴표표시(‘’)를 해줘야하고, 각주에서도 따로 출처표시를 해줘야 한다. 하지만 진중권은 저 인용구 뒤에 빠찌고르스끼는 빼버리고 유리 로트만만 언급을 하고 있다. 유리 로트만을 빠찌고르스끼에 대한 표절자로 만들어버린 셈이다.



진중권은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 문장 순서만 바꿔놓구선 '재구성'을 했다고 그러는데, 유리 로트만도 아닌 다른 학자의 말을 출처 빼버리고 가져온 것에 대한 해명이 뭔지 궁금하다. '해체주의'(?)라도 실천했다고 그럴까? 진중권 논문을 읽고 저 부분을 유리 로트만의 문장이라고 인식하고 후학들이 인용을 해버리면 어떻게 될까?

아래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 원문이다. 물론 유리 로트만은 인용구의 출처인 뺘찌고르스끼를 명확히 각주로써 밝히고 있다.


Искусство(예술은) — одно(하나이다) из средств коммуникации(전달수단 중의). Оно(그 것은), бесспорно(의심할 여지 없이), осуществляет(만들어 낸다) связь(소통을) между передающим и принимающим(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 [3] Дает ли(주는가?) это(이것은) нам(우리에게) право определить(규정할 권리를) искусство(예술을) как особым образом(특수한 방식으로) организованный(조직된) язык(언어라고)?

[3] Классификацию разных типов текста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соотношения
передающего и принимающего см. в статье А. М. Пятигорского "Некоторые общие замечания относительно рассмотрения текста как разновидности сигнала" (в сб.: Структурно-тип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М., 1962).



바로 위 진중권 논문 28쪽에서 "자연언어는 기본적으로~ 자의적이다."라는 부분은 유리 로트만 ‘예술 텍스트의 구조’ 13쪽에서 다음의 문장들을 '말바꿔쓰기(paraphrasing)'한 것이다. (‘말바꿔쓰기’는 간접인용 시에 활용하는데 인용부호(“”)은 하지 않아도 되지만 출처표시는 해줘야 한다. 출처표시가 없으면 물론 표절이다.)


В естественных языках(자연언어에서는) сравнительно(비교적으로) легко выделяются знаки(문자들이 쉽게 구분된다) — устойчивые инвариантные единицы текста (텍스트의 고정된, 다른 표현이 존재하지 않는 단위들이)— и правила синтагматики(그리고 통사적 규칙들이). Знаки(문자들은) отчетливо(명백히) разделяются(나뉜다) на планы содержания и выражения(내용면과 형식면으로), между которыми существует отношение взаимной необусловленности, исторической конвенциональности(이 양 자의 사이에는 자의적이며 역사조건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또한 진중권 논문에서 "그것을 토대로~ 구축된다"라는 문장도 ‘예술 텍스트의 구조’ 13쪽에서 다음 두 문장을 ‘말바꿔쓰기’한 것이다.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예술문학은) говорит на особом языке(특별한 언어로 말한다), который надстраивается над естественным языком(자연언어 위에 토대로 세워진) как вторичная система(2차 언어로서)

Иконические знаки(도상적 문자들은) построены(구성되어있다) по принципу обусловленной связи между выражением и содержанием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 기인하여).


진중권 논문 28-29쪽에서 "예술언어는 ~ 성격을 갖게 된다."는 부분도 잘못 가져온 부분이다.



유리 로트만 본인은 저 부분이 ‘구조주의적 시학에 대한 강의(Лекции по структуральной поэтике)’(1964)에서 인용해온 문장이라고 표기하였고, ‘예술 텍스트의 구조’ 13쪽을 살펴보면 각주에 출처가 명확히 밝혀져 있다.


…знаки в искусстве(예술에서의 문자들은) имеют(가진다) не условный, как в языке(언어에서 처럼 조건적인 성질을 갖는 것이 아니라), а иконический, изобразительный характер(도상적, 재현적 성질을). [23]

[23] Лотман Ю. Лекции по структуральной поэтике // Учен. зап. Тартуского гос. ун-та. 1964. Вып. 160. С. 39–44. (Труды по знаковым системам. Т. 1.).


‘구조주의적 시학에 대한 강의’(1964)는 ‘예술 텍스트의 구조’(1970)와는 출판된 연도도 아예 다르다. 원작자인 유리 로트만도 출처를 밝힌 이상 원 출처를 정확히 표기해줘야 하는 것 아닐까?



진중권 논문 29쪽에 나오는 부분인데 두번째 문장부터 “뿌쉬낀 시구”의 언어사용을 예로 들고 있다. 하지만 도대체 예로써 거론된 시의 제목은 무엇이고, 원 출처는 무엇인가?

저기서 거론되는 시는 사실은 뿌쉬킨이 아니라 례르몬또프(М. Ю. Лермонтов)의 장시인 ‘싸슈까(Сашка)’다. 문맥상 이 단락의 앞뒤로는 계속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 13-14쪽이 인용되고 있는데 여기 전체를 찾아 봐도 뿌쉬낀은 언급되지 않는다.

참고로, 이 비슷한 내용이 진중권 논문 47쪽에도 또 등장하는데, 그 페이지에는 같은 단어인 голландский сыр 를 ‘홀란드 치즈’라고 했다. 근데 여기서는 ‘화란 치이즈’라고 번역했다. 번역 단어의 일관성이 없다. (голландский 는 '네덜란드의’라는 뜻이다)

Варяжский щит 이라는 단어도 진중권 논문 47쪽에는 ‘바랴그인의 방패’라고 번역했는데, 위에서는 ‘바라크 족의 방패’라고 하고 있다. 역시 번역 단어의 일관성이 없다. (варяжский 는 ‘바랴그(노르만) 인의’라는 뜻이다. '바랴그 족’이라고 번역하자면 원문에 варяжское племя 라고 적혀있어야 한다.)

다음은 진중권 논문 29쪽에 나오는 문장이다.


“예컨대 달을 화란 치이즈와 바라크 족의 방패로 비유하고 있는 뿌쉬킨의 시구에서, '치이즈'와 '방패'는 달이라는 공통의 지시체를 갖는다”


구글로 “Lermontov”, “Sashka”, “moon”, “shiled”, “cheese”를 동시에 검색해보았다. 그러니 바로 돌프 쇠렌센(Dolf Sörensen)의 ‘이론 형성과 문학 연구(Theory Formation and the Study of Literature)’(1987)에서 아래와 같은 문장이 검색된다. (“Dutch”,는 '네덜란드의'라는 뜻이다.)


“Thus in Lermontov's poem “Sashka”, the moon is descrived as a 'Varangian shield' and as a ‘Dutch Cheese’, establish an equivalence between the shield and the cheese”



표절일까 우연의 일치일까? 독자의 판단에 맡긴다. 참고로, ‘이론 형성과 문학 연구’는 진중권의 논문에 참고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저 아래 사진은 앞서 5장에서 언급한 진중권 논문에서의 기타 표절 부위들을 유리 로트만의 원문, 유재천 교수 번역본과 비교해본 것이다.

한편, 진중권은 유리 로트만의 ‘예술 텍스트의 구조’에서만 통으로 표절을 한 것이 아니다. ‘미학사전’에서도 역시 문장을 베껴온 혐의가 있다.


다음글 :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V)
         
 





         


[ 박종진의 쾌도난마 - 변희재, "진중권, 논문 통 크게 표절한 혐의... 답하라"(1/2)_채널A ]


[ 박종진의 쾌도난마 - 변희재, "진중권, 논문 통 크게 표절한 혐의... 답하라"(2/2)_채널A ]


[ 진중권의 논문표절 동영상 해설(PPT) ]


[ 진중권의 논문표절 해설 영상(교과부 연구윤리 자료 중심으로) ]


관련기사 :

[단독] 진중권 교수, 석사논문 표절 혐의로 제소돼

진중권, '책 안 읽고 논문 쓴다' 학생들에 표절 부추겨

“서울대의 진실 검증엔 시효가 있다”?

서울대는 도쿄대(東京大)를 이길 수 없다.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I)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III)

한 러시아어/문학 전공자의 진중권 논문 표절 분석 (V)

진중권 교수의 표절 논문에 엮인 피해자들

서울대의 진중권 석사논문 표절 은폐 의혹에 관하여

‘표절’과 ‘인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FAQ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