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포털의 ‘민중총궐기’ 이슈편집, 정부가 갈등 조장?

민주노총 ‘평화시위’와 조계사 ‘중재’ 위주로 편집…언론사별 보도에는 박 대통령 국무회의 발언만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평화적 집회’ 주장과 김현웅 법무부 장관의 ‘엄정대응’ 대국민담화 그리고 경찰의 ‘집회 불허’ 방침이 첨예한 가운데, 네이버와 다음 등 양대 포털이 정부의 방침이 갈등을 조장한다는 식으로 뉴스를 편집 해 ‘공정성’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네이버는 ‘‘민중총궐기’ 집회 논란’을 사회이슈로 분류하고 첫 테마 ‘‘2차 민중총궐기’ 어떻게 되나’를 민주노총과 정부방침이 각각 내 놓은 입장을 대립 구도로 설정해 ‘갈등’ 상황을 전하는 뉴스로 채웠다.

정부의 엄정대응 방침과 경찰의 집회 불허에도 민주노총은 오히려 “최대 규모로 집회를 강행할 방침”이라며 으름장을 놓은 상황이지만, 양측의 갈등 상황 혹은 정부의 화쟁위 중재거부 뉴스가 최상단에 배치됐다.

그 아래로는 한 위원장의 호소문 내용 기사와 조계종 화쟁위원회의 집회 중재 및 참여계획 등이 이어져, ‘갈등상황-민주노총 입장-화쟁위 입장’의 구도를 이루고 있다. 정부 대응에 반하는 입장의 주장의 분량이 더 많은 셈이다.

언론사별 보도 카테고리에는 박 대통령이 ‘복면시위 금지’와 ‘국회 립서비스’ 등을 언급했던 국무회의 내용들이 채워져 있어, 정부 입장 관련 뉴스를 대체하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경향신문 등 이른바 진보 매체들의 기사들이 상위에 배치돼 있어 ‘정부의 강압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듯 에둘러 비판하는 모양새다.



다음 역시 ‘민중총궐기 집회’를 주제로 이슈 페이지를 운영 중인데, 테마의 순서가 ‘갈등심화’-‘논란의 중심에 선 조계사’-‘민노총, 2차 집회 상경 투쟁’-‘‘복면금지’논란’ 순으로 배치했다.

뉴스 역시 ‘정부 강력대응-화쟁위 중재거부-경찰 집회불허-공포분위기 조성’ 순으로 구성해, 네이버에 비해 더욱 직접적으로 갈등 야기의 주체를 ‘정부’로 상정하고 있다.



‘이슈’ 카테고리는 포털 뉴스서비스로서는 일종의 스페셜 에디션이다. ‘언론’으로서의 아젠다 셋팅이 목적이 아니라, ‘플랫폼’으로서의 단순한 글모음이라면 이 서비스 또한, ‘공정성’ 논란을 피할 수 없다. 언론사로부터 제공된 중립적 기사로만 구성하거나, 좌우의 관점을 균형 있게 수집해 편집의 미를 살리는 감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미디어내일 박필선 기자 newspspark@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