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미래는 386세대 아닌 실크세대의 것"

71년생 이하 기업인들 실크로드CEO포럼 발족


5월 8일 오전 11시 덕수궁 세실 레스토랑에서 2-30대 젊은 기업가들을 중심으로 한 실크로드CEO포럼(가칭)이 창립 발기인 대회를 가졌다.

실크로드CEO포럼은 ‘88만원 세대론’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386세대‘와는 다른 20-30대 CEO들이 모여 이루는 세대 조직으로 74명의 젊은 CEO들이 발기인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이날 창립 발기인 대회에 참가한 CEO들은 한결같이 지난해 출판되어 최근까지 20-30대 세대론을 장악하고 있는 ‘88만원 세대론’에 강하게 반발했다.

창립준비위원인 여원동 대표(마이미디어)는 창립취지문을 통해 “‘88만원 세대’라는 키워드가 불안감, 공포, 암울한 미래를 사회전반에 퍼트리고 있다”면서 “공무원 시험이 가문의 영광이 되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젊은이들이 안정된 직장을 찾으려 꿈을 버리고 있다”며 ‘88만원 세대’ 이론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찍이 남들이 가지 않는 길에서 묵묵히 새로운 길을 열고 있는 젊은 CEO들의 ‘할수 있다’는 정신은 ‘88만원 세대론’의 해독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크로드CEO포럼이 스스로 ‘실크세대’라 명명한 것도 그 옛날 실크로드를 찾아 꿈을 잃지 않고 도전해 나간 조상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우리도 ‘할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세대라는 의미로 ‘실크 세대’라 명명했다고 밝혔다.

창립준비위원장인 변희재 대표(미디어 빅뉴스)는 “급변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정세를 감안할 때 ‘88만원 세대론’과 같은 유럽 표절형 세대론은 대한민국의 젊은 세대에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실크로드CEO포럼은 71년생 이하 CEO들이 주축을 이루지만,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학자, 언론인 등 71년생 이하 전문가들과도 함께 할 것이다”라며, 광범위한 세대운동으로 발전시킬 것을 시사했다.

‘실크 세대’는 문화적 코드와 IT를 선도하는 세대

실크로드CEO포럼 측은 ‘88만원 세대론’을 반박하는 새로운 세대론으로 대중문화와 IT를 선도하는 것이 젊은 ‘실크세대’ 라고 강조했다.

‘실크 세대’는 서구의 대중문화에 주눅이 들어 성장한 386세대와는 달리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겨울연가’로 인한 한류열풍, ‘디워’의 세계적 성공등, 한국 대중문화에 자부심을 갖고 성장했으며 인터넷과 IT를 선도하고 문화적 코드에서 압도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세대라는 것이 포럼측의 설명이다.

실크로드CEO포럼 측은 “실크세대들의 역량과 가능성으로 볼때 역사속에서 동서양 문화교류의 장이었던 실크로드를 인터넷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뉴실크로드’로 재현해 낼 것”이라며 “우리 ‘실크세대’들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실크로드CEO포럼이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20대로 최연소인 안산시 박선희 시의원은 실크로드CEO포럼의 향후 계획으로 ▲창업정보센터 설립 ▲파트너쉽을 연계한 신규사업 개발 ▲자체적인 신규사업 공모 ▲정책 개발 ▲국제경제 및 문화교류 ▲창업 컨설팅 등의 다양한 사업을 구상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럼측은 5월중 ‘코리아 실크세대 혁명서’를 출간하고 오는 22일 창립대회를 갖게 되며 6월 16일 뉴실크로드 경제 콘퍼런스를 개최할 것이라는 활동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실크로드CEO포럼 발기인대회에는 창립위원장인 변희재 대표(미디어 빅뉴스)를 비롯해 마이미디어 여원동 대표, 베스트앤퍼스트 김민준 대표, 박선희 안산시의원, 오금열 대표(메디플래너), 김명기 대표(소나무 미디어), 정모아 대표(인터넷쇼핑몰 CCLIM)등 약 30여명의 젊은 CEO들이 참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