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자료는 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 홈페이지에 2022년 7월 29일자로 게재된, 사도광산과 관련 ‘역사인식문제연구회가 공개한 ‘사도광산사 제2(佐渡鉱山史其ノ二)’에 대하여(歴史認識問題研究会が公開した『佐渡鉱山史 其ノ二』について)’ 보고서 사료를 역사인식문제연구회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역사인식문제연구회가 공개한 ‘사도광산사 제2(佐渡鉱山史其ノ二)’에 대하여 (歴史認識問題研究会が公開した『佐渡鉱山史 其ノ二』について) 역사인식문제연구회(역인연)은 2021년 1월 26일에 사도광산이 조선인에 대한 강제노동의 현장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1차 사료인 ‘사도광산사 제2(佐渡鉱山史其ノ二)’ 원본 사진을 입수해 공개했던 바 있다. 이 책은 1950년에 정리된 고본(稿本)으로, 출판되지는 않았다. 편저자인 히라이 에이이치(平井栄一) 씨는 전 사도광산 채광과장으로, 사도광업소를 경영하고 있던 미쓰비시광업(三菱鉱業)(주) 하니 미치유키(羽仁路之) 사장의 의뢰를 받아 사도광산의 역사를 에도시대부터 쇼와시대까지 두 권으로 정리했다. 복사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원본은 소재 불명이었다. 역인연은 목차와 844~8
한국내 ‘진실 중심 한일우호파’ 시민단체들의 연합체인 위안부사기청산연대(공동대표 김병헌·이우연·주옥순 등, 이하 청산연대)가 15일 정오, 광화문 위안부상이 위치한 인도에서 ‘위안부사기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기 위한 ‘위안부사기청산연대 연합집회’를 개최했다.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집회는 국민의례와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으로 시작됐다. 건너편에서는 정의연 등 반일좌익 단체들의 ‘수요집회’가 열리고 있었으나 한눈에 봐도 이날 청산연대 쪽의 ‘수요맞불집회’가 더 성황을 이뤘다. 실제로 이날 현장에는 국민계몽운동본부,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엄마부대, 신자유연대, 한미동맹지원단, 한미일동맹강화국민운동본부 등 약 100여 명의 시민들이 모여 20여 명 남짓 모인 정의연을 숫자로 압도했다.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 정안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주익종 이승만학당 교사 등도 현장에 함께 했으며, 락TV 최락 대표는 색소폰 연주와 열창으로 행사의 흥을 돋우었다. 주옥순 위안부사기청산연대 공동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정의연과 윤미향 의원이 30여 년간 대한민국 역사를 왜곡시켜 왔다고 지적한 후 “윤미향 구속, 정의연
윤석열 정부의 설익은 전시 노동자 해법으로 인해 국내 친중반일 세력이 다시 반일 이슈를 재점화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꾸준히 폭로해 온 국내 안티반일(Anti-反日)-한일우호 시민단체들이 위안부 사기극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집회를 개최한다. 한국내 ‘진실 중심 한일우호파’ 시민단체들의 연합단체 성격인 위안부사기청산연대(공동대표 김병헌-이우연-주옥순 등, 이하 청산연대)는 오는 15일 정오부터 13시까지 연합뉴스빌딩 앞 인도에서 ‘위안부사기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기 위한 ‘위안부사기청산연대 연합집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은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 등 반일단체들의 ‘수요집회’가 열리는 날이기도 하다. 청산연대는 13일 미리 배포한 성명서를 통해 오늘날 한국내 진영 간 첨예한 갈등과 대립을 야기하고 또 대외적으로도 한일 관계를 파탄지경에 빠트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중심에 바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라고 하는 반일 세력이 있다고 규정했다. 청산연대는 ”정의연이 말하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란 1930년대부터 1945년 일본의 패전에 이르기까지의 시기에 일본군이 제도적으로 ‘군위안소’를 설치하여 점령지와 식
일본의 대표적인 보수계 한국 전문가인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가 윤석열 정권의 징용공 소송 해결책을 한시적 “편법(便法)”으로 평가했다. 또한 그는 한국과 일본의 진정한 협력은 문재인 정권에서 벌어진, 한국 해군 자위대기 레이더 조준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핵심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8일, 일본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는 “역사의 진실을 무시한 해결책은 오래가지 못한다(歴史の真実を無視した「解決策」は長続きしない)” 제하로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의 소고(小考)를 게재했다. 니시오카 교수는 윤석열 정부의 이번 징용공 소송 문제 관련 조치를 소개하면서, 이 조치가 2018년 한국 대법원 판결에서 승소한 전직 전시근로자 15명 중 일부가 한국 재단의 보상금 수령을 거부하더라도 재단이 이를 일단 공탁해서 현금화 절차를 멈출 수 있게 하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에서는 한국의 차기 정권에서 이 문제가 재연되는 일이 없도록 경계해왔다고 알렸다. 그래서 기시다 정권도 한국 재단이 대신 갚아준 배상금의 반환을 피고인 일본 기업에 요구할 수 있는 구상권에 대한 포기를 한국에 강력히 요구
지난 3.1절에 한일우호를 명분으로 일장기를 게양했다가 반일 세력으로부터 갖은 테러를 당한 이른바 ‘일장기남(男)’ 이정우 목사가 7일 세종호수공원 위안부상 앞에서 열린 위안부 동상 철거 촉구 시위에 참석, 자신의 가계(家系)를 모두 밝히며 한일우호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명확히 밝혔다. 이날 마이크를 잡은 이정우 목사는 서두에서 “일한(日韓)관계가, 한일(韓日)관계가 우호속에 미래지향적으로 가기를 바래서 일장기를 게양했는데 이렇게 대스타가 될지는 몰랐다”며 연설을 시작했다. 자신의 외가가 모두 일본인이라고 소개한 이 목사는 “일본이라는 나라에 왜 그렇게 난리가 나는지 모르겠다”며 “같이 협력하는 파트너로서 함께 나아간다면 그것이 뭐가 그리 나쁜건지도 아직 모르겠다”고 한탄했다. 이 목사는 한국인들이 붕어빵부터 샤인머스켓까지 일본에서 비롯되지 않은 것이 적다고 설명하면서, 화해를 위해 진전하고 나아가는 한일관계야말로 가장 미래지향적이고 건설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목사는 일장기 게양 당시 경세(警世, 사람들을 깨우치게 하려 함)적인 태도를 취하려 하거나 어떤 정치적 목적도 없었다고 지적하면서 “그저 한일관계 회복을 위해 그것을 응원하고자 일장기를 게양했고, 다른
이른바 징용공 소송 문제와 관련 윤석열 정권의 해결책이 한국 재단의 구상권 포기를 명시하지 않아 향후 한일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오직 일부 소수파 한일우호 지식인들만이 “징용공 보상 문제는 이미 해결된 것으로, 윤석열 정권의 대위변제안은 이런 진실이 무시된 잘못된 안”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베스트셀러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와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의 저자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는 징용공 문제의 진실을 말하고 있는 한일우호 세력이 소수파로나마 한국에 분명하게 존재한다는 점을 여러 채널을 통해서 일본 사회에 정력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는 지난 6일에도 일본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한국에 등장한 ‘진실 중심 한일우호파(韓国に登場した ‘真実中心の韓日友好派)” 제하의 한 소고(小考)를 통해 한국의 ‘진실 중심 한일우호파’의 존재를 알렸다. 니시오카 교수는 서두에서 먼저 3.1절 연설 당시 일본을 ‘파트너’로 규정한 윤석열 대통령의 연설을 소개했다
이른바 징용공 문제와 관련 윤석열 정권의 해법은 일본에 대한 구상권 포기를 명시하지 않고 추후 입장을 뒤집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에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명시하며 사안을 깨끗이 정리했던 위안부 문제와 관련 박근혜 정권의 해법과 비교, 한일 역사인식 갈등 해법이 오히려 8년 전보다도 더 후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다. 베스트셀러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와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의 저자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는 이번 윤석열 정권의 징용공 문제 해결책이 양국의 관계가 최악으로 가는 것을 막는 “시한부 관계 최악화 회피책(期限付きの関係最悪化回避策)”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런 해결책에서는 앞으로도 한국 측이 일본 측에 배상금 지급을 요구할 위험성이 남아 있다고 경종을 울렸다. 지난 6일, 일본의 유력 매체인 ‘산케이신문(産経新聞)’은 이번 한국 정부의 징용공 소송 문제 해결책과 관련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의 ”징용공 해법은 '시한부 관계 최악화 회피책'(徴用工解決案は '期限付きの関係最悪化回避策')” 제하의 담화(談話)를 게재했다. 니시오카 교수는 20
위안부 문제에 도사린 거짓 문제를 폭로하는데 힘써 온 국내 ‘안티반일(Anti-反日)’ 시민단체가 세종시에 있는 위안부상 철거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 이하 국민행동)은 오는 7일(화) 오후 1시부터 세종호수공원 내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소녀상 철거 요구 집회를 연다고 밝혔다. 국민행동은 미리 배포한 성명서를 통해 위안부상이 “조각가의 그릇된 역사 인식과 대일적개심이 투영된 거짓과 증오의 상징물이자 위안부사기극의 선전도구”에 불과하다고 단언했다. 위안부상이 왜곡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제작되었다는 지적이다. 성명은 위안부가 전쟁범죄의 피해자였다는 친중반일 세력의 주장을 반박하면서 “국제분쟁이나 무력충돌 지역에서 적대국의 여성을 납치· 강간· 살해하는 등의 행위가 바로 전쟁범죄인데, 당시 조선은 일본의 점령지가 아닌데다 조선 여인은 일본 국민이었다”며 “더구나 위안소는 점령지 여성에 대한 납치, 강간, 살해와 같은 전쟁범죄 방지를 위해 설치·운용된 합법적 매춘 공간이었으며, 위안부는 위안소 주인과 계약을 체결한 다음 각종 서류를 제출하고 영업허가를 얻어 돈을 번 직업여성이었다”고 지적했다. 국민행동은 “위안부문제는
일본의 유력 반공우파 매체가 이영훈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운영하는 민간 학술 및 교육 단체인 ‘이승만학당’이 지난 3.1절을 맞아 조선일보 오피니언면 하단에 “사과를 구걸하는 비굴한 외교를 중단하라” 제하의 의견광고를 낸 사실을 보도했다. 2일(현지시간), 일본 유칸후지(夕刊フジ)는 온라인판 자크자크(zakzak)를 통해 ”한국 신문에 이례적인 ‘반일비판’ 광고: ‘반일종족주의’ 편저자가 ‘일본과의 역사문제 없다’ ‘일대 오점’ ‘비굴외교 중단’을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韓国紙に異例の「反日批判」広告 『反日種族主義』編著者が「日本との歴史問題ない」「一大汚点」〝卑屈外交〟の中断を韓国政府に求める)” 제하 기사를 게재했다. 앞서 이영훈 교수는 3월 1일자 조선일보 의견광고를 통해 외교부가 이른바 징용배상판결의 해법으로서 ‘제3자 대위변제안’을 내놓고서 일본 정부에 징용에 대한 사과와 일본기업의 기금출연을 간청하고 있는 모습을 비판했다. 관련해 유칸후지는 기사 서두에서 “일본의 조선통치에 저항해 일어난 ‘3.1독립운동’ 기념일을 맞은 1일 한국을 대표하는 신문 조선일보에 놀라운 의견광고가 실렸다”면서, “징용공 소송 문제를 놓고 한국 정부에 일본과의 “역사 문제는
3·1절을 맞아 한일우호 시민단체들이 징용 문제 관련 대위변제안 반대 및 한일간 역사분쟁 중단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고 주장해온 이용수 씨의 증언은 모두 거짓말이라면서, 이 씨를 형사처벌하라는 취지의 입장문도 발표했다. 1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부근(현 연합뉴스 앞)에서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이하 국민행동)과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관계자 30여 명은 “가짜 위안부 이용수를 처벌하라!”라고 적힌 현수막을 앞세우며, 태극기·성조기·일장기를 같이 들고 수요 정기 한일우호 집회에 나섰다. 현장에는 김병헌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이우연·정안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황의원 미디어워치 대표이사 등이 함께 했다. 이날 집회는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출신임을 주장해온 인사인 이용수 씨를 강하게 규탄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앞서 지난해 3월 이용수 씨는 김병헌 소장을 비롯한 한일우호 인사 5명을 허위적시 명예훼손및 모욕혐의로 고소했던 바 있다. 자신이 ‘위안부피해자법’에 규정된 위안부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김 소장 등이 ‘가짜 위안부’, ‘위안부는 사기’라는 발언으로 명예를 훼손시켰다는 것. 이에 김 소장은 이
한일관계 개선을 가로막는 위안부-징용공 관련 각종 거짓말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 온 안티반일(Anti-反日)-한일우호 인사들이 3.1절을 맞아 일본과의 역사분쟁 중단을 선언하라고 윤석열 정부에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한다. 통상적으로 3월 1일과 8월 15일은 친중반일 세력이 반일 선동으로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연례행사를 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날 발표될 선언문은 더욱 파격적이다. 이번 선언문은 이날 낮 12시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등이 광화문에서 직접 발표할 예정이다. 선언문에서 이영훈, 정규재, 복거일, 변희재, 유재일 등 안티반일-한일우호 지식인 45인은 조선인 전시(戰時) 노동자 문제로 최근 독일 뮌헨에서 한일 장관급 회담이 열린 사실, 그리고 여기서 한국 측이 ‘대위변제’안에 대한 일본 측 호응조치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반성, 그리고 관계 일본 기업의 기금 참여를 요구했다는 사실을 먼저 언급하면서 이를 이번 선언을 내는 배경으로 소개했다. 한국 외교부는 박진 외교부 장관과 윤덕민 주일한국대사가 모두 나서 ‘대위변제’안에 대한 일본의 호응조치를 거듭 압박하면서 이 때문에 새로운 한일 갈등 요인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다. 45인 지식
박진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8일 일정기(日政期) 조선인 전시노무자 문제 관련 해법을 위해 유족들을 만나 그간 일본과 협상 경과와 정부 추진 배상안 등을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관련 문제에 도사린 거짓을 도외시한 정부의 이러한 조치가 반일-친중-종북-극좌 진영에 반일 선동의 추가 빌미를 제공하면서 한일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관련해 이영훈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운영하는 민간 학술 및 교육 단체인 ‘이승만학당’이 3.1절을 맞아 조선일보 오피니언면 하단에 “사과를 구걸하는 비굴한 외교를 중단하라” 제하의 의견광고를 냈다. 외교부가 이른바 징용배상판결의 해법으로서 ‘제3자 대위변제안’을 내놓고서 일본 정부에 징용에 대한 사과와 일본기업의 기금출연을 간청하고 있는 모습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이번 의견 광고에서 이승만학당은 태평양전쟁 당시 한국인들이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노예처럼 혹사당했다는 주장은 “한국인의 집단정서 반일종족주의가 빛어낸 허위의 기억”이라고 규정하고,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는 동안 발생한 양국 간의 채권·채무와 지배에 따른 피해는 1965년 양국이 국교를 정상화하면서 체결한 조약을 통해 완전하고 영구하게 청산되었다
위안부 문제에 도사린 거짓 문제를 폭로하는데 힘써 온 국내 ‘안티반일(Anti-反日)’ 시민단체가 스스로를 ‘일본군위안부피해자’라고 주장해온 이용수 씨를 무고죄로 고소하는 기자회견을 오는 삼일절에 개최한다.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 이하 국민행동)은 1일 오전 11시 연합뉴스 앞에서 ‘가짜위안부 이용수의 무고혐의 고소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용수 씨는 지난해 3월 16일에 김 대표를 비롯한 시민운동가 5명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과 모욕 혐의로 종로경찰서에 고소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병헌 대표는 이 씨의 고소가 형법 제156조에 정한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사실, 즉 무고(誣告)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용수 씨에 대해 “가짜 위안부 피해자이면서 연구자로서 국민들에게 진실을 알리려는 입을 막기 위해 허위사실로 고소했으니 그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이용수 씨가 위안부 생활을 했다는 대만 신주(新竹)가 아예 일본군 위안소가 설치되지도 않았던 곳이라고 지적하고 “더구나 이씨는 자신이 위안부피해자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미디어워치(운영사 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대표이사 황의원)와 김병헌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가 14일자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가 걸어온 손배소송의 1심 판결 내용에 불복한다는 취지다. 앞서 8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4부(재판장 서보민 부장판사)는, 2020년 11월 9일에 열렸던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이하 국민행동) 주최 호사카 교수 비판 세종대 앞 집회에 대한 미디어워치의 보도와 관련, 호사카 교수가 미디어워치와 김병헌 국민행동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정정보도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호사카 교수 측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미디어워치와 김병헌 국민행동 대표가 이번에 곧바로 항소에 나서면서 호사카 교수 비판 집회 보도의 정당성과 관련 법정 싸움은 2라운드로 접어들게 됐다. 호사카 유지 교수 주장을 그대로 인용했는데도 그게 허위라고? 1심 재판부는 호사카 교수 측이 시비한 미디어워치의 집회 보도 내용 중에서 △ 국민행동의 2020년 11월 9일 세종대 앞 집회 상황을 전하며 “집회 취지에 공감한 한 인도계 여학생”이라고 기술한 부분, △ 전문(全文)이 게재됐던 국민행동의 호사카 교수 비판 성명에서 호사카 교수가 쓴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