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힘, 한국에서 '통'할까
머지않은 장래에 '정보의 빅브라더'로까지 지목될 정도로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시장에는 점유율 5%도 채 안될 정도로 고전을 면치못해왔던 구글. 그러던 구글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2007' 서울 디지털포럼에 참석차 방한한 구글 에릭 슈미트 회장은 30일 '한국시장에 대한 공략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며 한국시장에 대한 강한 공략 의지를 밝혔다. 이날 행사장에는 이원진 구글코리아 경영총괄매니저와 조원규 구글코리아 기술총괄매너저도 이날 처음으로 기자들 앞에 나서며 슈미트 회장을 도왔다.한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구글의 주무기는 바로 '현지화 서비스' 전략이다. 슈미트 회장은 "그동안 구글의 한국 서비스는 정보를 번역하는 수준에 불과했지만, 앞으로는 한국 유저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해 서비스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R&D센터 설립과 구글코리아를 이끌 두명의 책임자 영입을 계기로 이제는 철저한 현지화 서비스로 승부를 걸겠다는 얘기다. 그 첫번째 산물이 달라진 구글코리아의 유저인터페이스(UI)다. 이날 구글이 공개한 구글코리아의 메인화면은 G메일, 토크, 캘린더, 노트, 툴바, 데스크톱, 피카사 등 주요 서비스를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이미지
- 성연광, 김희정
- 2007-05-30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