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위키피디아 일본어판 번역] ‘난징사건의 피해자수(南京事件の被害者数)’

한일 상호 이해를 위한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 번역 프로젝트 (33)



※ 본 콘텐츠는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에 게재된, ‘난징사건의 피해자수(南京事件の被害者数)’ 항목을 번역한 것이다(기준일자 2020년 11월 26일판, 번역 : 황철수). 


관련해서는 앞서 번역된 ▲ ‘난징사건(南京事件)’(한국어 번역),  ‘난징사건 논쟁(南京事件論争)’(한국어 번역) 항목도 병행 참조해주기 바란다.



난징사건의 피해자수

(南京事件の被害者数)



‘난징대학살의 피해자수(南京大虐殺の被害者数)’(편집자주 : 위키 항목 제목과는 달리 여기서는 ‘난징대학살’이라고 표기를 하고 있음)는, 난징사건 논쟁에 있어서 피해자수 문제에 대해서 해설하는 내용이다.



목차


1 개설


2 희생자수에 대한 제설

   2.1 삼십만 명 이상

   2.2 이십만 명 이상

   2.3 십 수만 명 이상

   2.4 사만 명 상한설

   2.5 수천~ 이만

   2.6 ‘학살’ 부정설

   2.7 전시국제법상 합법설


3 참고문헌




1 개설(概説)


난징사건(南京事件)은 중국의 옛 수도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많은 군인과 시민을 포함하여 구미(欧米, 서양) 선교사와 학자를 포함한 목격자가 있는 사건이다. 하지만, 이 사건의 희생자(사망) 숫자에 관한 논의는 30만 명설에서 0명설까지 폭이 넓다.


관련하여 이러한 폭이 존재하는 이유는, 우선, 1947년 난징군사법정에서 중국 측(국민당 정부)이 기재했던 “30만 명 이상”이라는 숫자가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이 숫자가 학술적 근거가 없이 유포되었던 배경이 있다. 또한, 중국 국민당 정부군 병사의 동원 숫자나 당시 난징의 인구가 불명확한 것도 한 원인이다.


한편, 난징안전구 국제위원회 등 난징안전구에 거주했던 외국인의 관련 기록은 불완전하지만 일정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일본 측의 구 일본군의 친목 조직인 가이코샤(偕行社, 해행사)의 ‘난징전사(南京戦史)’(1993)는, 일본군의 전투 종료 후 중국 병사에 대한 처분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공식 문서에서의 약 1만 2천 명에 대한 살해 기록이나 다른 문서에서의 총 1만 명 전후의 살해 기록도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연구자들(하타 이쿠히코(秦郁彦),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 이타쿠라 요시아키(板倉由明) 등)은, 우선 중국 군인에 대한 병력 숫자 추정치를 바탕으로 피해자 숫자를 산정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일반 전사자나 도망 인원을 제외한, 일본군에 붙잡혀 살해된 중국 병사 중에서 전시국제법에 비추어 불법으로 살해당한 인원을 일본 측의 공식·비공식 기록까지 참고로 하여 피해자 숫자를 산정하고 있다. 그리고 민간인 사망자의 경우는 그 중 일본군에 불법으로 살해당한 숫자를 ‘스마이스 조사(スマイスの調査)‘ 등을 참고로 하면서 피해자 숫자를 산정하고 있다.


단, 여기서 일반인에 대한 살해의 경우는 어느 지역까지 포함시키는지에 대해서 연구자에 따라 그 산정이 다르다. 특히 스마이스 조사는 인근 농촌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더 넓은 농촌의 피해자 숫자는 일본 측 기록에도 남아있지만 그 숫자가 명확하지는 않다. 또한 피해자 중에서 시신이 장강(양쯔강)에 던져진 경우도 매우 많은 것으로 보이지만, 설사 이를 포함시킨대도 추측에 지나지 않는다고 가사하라 도쿠시는 지적하고 있다.


스마이스 조사(スマイス調査)


난징안전구 국제위원회의 비서로 난징 소재 진링(金陵)대학 사회학부 교수였던 루이스 스마이스(Lewis S.C. Smythe)는, 난징 점령 후인 1938년 3월부터 4월까지 난징시 지역과 주변 농촌 지역의 전쟁 피해 조사를 실시했는데 난징성(南京城) 구(区)의 민간인 불법 살인은 2400명, 남성으로서 일본군에 납치돼 살해당한 시민은 4200명으로 산출했다.


성 안쪽과 성벽 주변의 매장 자료 조사의 추측을 통해서 시 지역에서 대략 12,000명의 민간인이 살해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근교 농촌 지역의 피해자 숫자는 26,870명으로 산출했다.(난징 행정구를 구성하는 지역에서 강포(江浦) 현(県)과 육합(六合) 현은 장강의 북쪽에 있고, 그 남쪽에는 강녕(江寧) 현(난징은 그 안에 위치)・구용(句容) 현・율수(溧水) 현・고순(高淳) 현이 있다. 이중 고순 현과 육합 현의 절반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조사된 4개 현(県) 절반(강포 현, 강녕 현, 구용 현, 율수 현 육합 현의 절반)의 현(県)과 성(城)을 제외한 농촌이 대상이었다.)


일중역사공동연구(日中歴史共同研究)


제1차 아베 내각 당시 발족이 결정된 일중역사공동연구(日中歴史共同研究, 하타노 스미오(波多野澄雄)·쇼지 준이치로(庄司潤一郎))는, 그때까지의 대표적인 연구자(하타 이쿠히코, 가사하라 도쿠시, 이타쿠라 요시아키 등)의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극동국제군사재판 판결에서의 희생자수 ‘20만 명’을 상한으로 하면서(마츠이 사령관에 대한 판결문에서는 10만 명 이상), ‘4만 명’, ‘2만 명’ 등 다양한 추계 및 피해자 수를 정리하고 있다.


일중역사공동연구에서는 희생자 숫자에 여러 설이 있는 배경으로, ‘학살’(불법살해)의 정의, 대상으로 하는 지역·기간, 매장 기록, 인구 통계 등 자료에 대한 검증의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0년 1월에 일중역사공동연구 보고서가 공표되었을 당시에 중국 언론은 중국 공산당 선전부의 지시에 따라서 피해자 숫자 20만 명을 상한으로 뒀던 일본 측 연구자의 견해는 보도하지 않았다.


중국 난징대학살 기념관 관장인 주청산(朱成山)은 이러한 일본 측의 연구에 대해서 ‘30만’이라는 숫자를 부정하는 것이 목적인 연구라고 주장했다.



2 희생자수에 대한 제설(犠牲者数の諸説)


2.1 삼십만 명 이상(三十万人以上)


이는 주로 중국 측 학자들의 견해인데, 이러한 수치들에는 모두 자료적 근거가 부족하다. 일본 측에서는 1968년에 당시 도쿄교육(東京教育)대학 교수인 이에나가 사부로(家永三郎)가 ‘수십 만 명’이라고 했지만 이에 대해선 현재 일본 측 학자의 지지는 없다.


그러나, 도쿄대학 교수인 가토 요코(加藤陽子)는 야마카와(山川) 출판사의 고교 교과서에서 “피해자수가 수만 〜40만 명에 이른다는 설이 있다”고 썼던 바 있다.


1947년 난징전범재판 군사법정에서 30만 명 이상이라고 했던 바 있고, 중국의 견해는 이 판결에 의거하고 있다.


30만 명 이상설의 대표적인 논자는 쑨자이웨이(孫宅巍, 강소성(江蘇省) 사회과학원 연구원), 가오싱주(高興祖, 난징대학 교수), 아이리스 장(Iris Chang, 저널리스트) 등이 있으며, 중국 공산당 정부, 난징대학살 기념관, 그리고 중화민국 국군역사문물관도 같은 견해이다.


한편, 중국국민당도 1948년 판결인 도쿄재판에서 30만 명을 주장했다. ‘장제스 비록(蔣介石秘録)’에는 30만 명 ~ 40만 명이라고 적혀있다.


또한, 쑨자이웨이(孫宅巍)는 기존의 30만 명설에서는 난징성 외의 6현 기타 지역의 희생자 수를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2.2 이십만 명 이상(二十万人以上)


도쿄재판 판결에서 “난징과 그 주변에서 살해된 일반인과 포로의 수는 20만 명 이상”이라고 했다.


매장대(埋葬隊) 기록에서는 155,000 체이지만 이것은 태워서 버려진 시체나 양자강(揚子江)에 던져진 시체를 계산에 넣지 않은 것이다.


2.3 십 수만 명 이상(十数万人以上)


쓰루분카(都留文科)대학 교수인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는 중국 병사 희생자 8만 명과 일반인 피해자(난징성(南京城) 시 : 1만 2천 명, 난징 주변 농촌부 : 2 만 7 천 명)을 합쳐서 10만 명 이상, 혹은 20만 명에 가깝거나 그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단, 다른 설과 달리 이는 난징 주변 농촌부의 피해자를 포함하고 있다).


가사하라 도쿠시는 중국군 수를 약 15만 명으로 추산했는데(한편, 중국군 측 집계는 11만 명), 약 5만 명이 국민당 정부군에 귀환했고, 1만 명이 전투 중 사망, 1만 명이 철수 중에 도망, 나머지 8만 명을 일본군에 의한 살해라고 했다.


가사하라 도쿠시는는 민간인 희생자 수의 추정은 매우 어렵다고 하면서도, “욘 라베의 ‘히틀러에로의 상신서’(『ヒトラーへの上申書)’에 따르면 중국 측 추산 10만 명, 잔류 외국인 추정 5~6만 명”, 그리고 “매장 단체의 매장 기록 매장 총수 18만 8674체(학살에 해당하지 않는 시체, 거급된 매장에 의한 중복이 있는 반면, 장강(長江)에 던져진 많은 시체가 있다고 지적)”, “스마이스 조사 시부(市部, 성구(城区)) 살해 3250명, 납치 후 살해됐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 4200명, 농촌부(근교 4현(県)의 절반)에서 피살해자 숫자 2만 6870명”을 기초로 추계하고 있다.


그밖에 이 설에 가까운 연구자로서 난징사건 조사 연구회의 멤버인 호라 도미오(洞富雄, 전 와세다 대학 교수), 후지와라 아키라(藤原彰, 히토츠바시 대학 명예 교수),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히토츠바시 대학 교수), 이노우에 히사시(井上久士, 스루가다이(駿河台) 대학 교수), 혼다 가쓰이치(本多勝一, 저널리스트), 다카사키 류지(高崎隆治, 전쟁연구가), 오노 켄지(小野賢二, 화학노동자), 와타나베 하루미(渡辺春巳, 변호사) 등을 들 수 있다.


2.4 사만 명 상한설(4万人上限説)


니혼(日本)대학 교수인 하타 이쿠히코(秦郁彦)는 중국 병사 희생자는 3만 명, 일반인 학살 희생자는 1만 명(난징성(南京城) 시(市)에 한정)이라고 하면서 4만 명을 상한으로 했다.


하타 이쿠히코는 ‘대만공식전사(台湾公式戦史)’와, 상하이 파견군 참모장 이이누마 마모루(飯沼守) 소장의 일기를 채용하고 이를 통해 난징 수비군의 병력을 수만 명로 파악하여, 이 중 5만 명이 전사했고, 4만 명이 포로가 되었으며, 3만 명은 포로가 된 후에 살해되었다고(즉, 생존 포로는 1만 명) 추정했는데, 이는 상하이 파견군 우편장(郵便長)인 사사키 모토카쓰(佐々木元勝)의 12월 15일 일기에서 “포로가 약 4만 2천 명이라고 나는 들었다”에도 거의 부합한다고 했다.


하타 이쿠히코는 일반인 희생자의 경우는, 스마이스 조사(수정)에 의한 사망자 2만 3천 명을 취했고, 살해된 포로의 경우는 언급했듯이 3만 명을 취했다. 그러나, 하타 이쿠히코는 이중에서 불법살해만을 학살로 인정하는 할인(割引)은, 일반인에만 적용(2분의 1 또는 3분의 1)해야 한다고 하면서, 3만 명(살해된 포로)에 추가로 1만 2천 명(또는 8천 명, 일반인에 대한 불법살해)을 더해서 총 ‘3만 8천 명 ~ 4만 2천 명’이라는 숫자라면 중국 측도 이해하는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그 후에 하타 이쿠히코는 민간인에 대한 불법살해를 8천 ~ 1만 2천 명의 중간치를 취하여 1만 명으로 하고 총 피해자수를 ‘4만 명’으로 파악했다.


하타 이쿠히코는 “사정 변경을 초래하는 새로운 자료가 출현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출현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별이 되므로, 다시 말하지만 4만 명이라는 숫자는 최고 한도인 것, 오히려 실제 숫자는 그것을 상당히 밑돌 것이라는 말씀을 덧붙이고 싶다”고 하면서 그때까지의 자기 의견을 하방 수정했다. 


이에 대해서는 스마이스 조사의 실태에 대한 기타무라 미노루(北村稔)의 조사 결과가 영향을 줬다는 설도 있다(국민당 국제홍보처 처장 증허백(曽虚白) 자서전의 내용 “돈을 써서 팀펄리 본인과 팀펄리를 통해 스마이스에 의뢰하여, 일본군의 난징대학살의 목격 기록으로 2권의 책을 써달라고 요청했고, 인쇄하여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구노 테루오(久野輝夫, 전 추쿄가쿠인(中京学院)대학 교수)는 피해자수를 37,820명으로 보고 있다.


또한, 중국군의 1차 문헌에서는 중국군 총수를 약 11~12만 명으로 집계하면서, 이중 절반은 국민당 정부군에 귀환했으며, 약 4-6만 명이 전사하거나 포로(행방불명을 포함)가 됐다고 기록하고 있다.




2.5 수천 ~ 이만(数千〜2万)


가이코샤(偕行社) 편집 ‘난징전사(南京戦史)’에서는, “불법살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포로, 패잔병, 편의병 중 중국인 병사 약 1만 6천 명, 민간인 사망자 15,760명으로 추정했다.


‘난징전사’ 편집위원은 우네모토 마사키(畝本正己), 하라 다케시(原剛, 방위연구소 조사원), 이타쿠라 요시아키(板倉由明) 등이다.


이타쿠라 요시아키(板倉由明)는 중국 병사 희생자 8천 명과 일반인 학살 희생자 5천 명(난징성 시와 주변 농촌부의 일부(강녕(江寧) 현(県)만 포함)를 합계하여 1만-2만 명으로 보았다. 이타쿠라 요시아키 자신은 “학살 30만 명을 부정하는 난징사건파”를 표방하고 있다.


이타쿠라 요시아키는 중국군 총 5만 명, 그 중 전사자 수를 1만 5,000명, 포로로 살해된 자를 1만 6,000명, 생존 포로 5,000명, 탈출 성공자를 1만 4000명으로 집계했다. 그는 여기에다가 병사에 대한 학살 숫자를 8,000명 – 11,000명으로 추산하고, 시민에 대한 학살은 성내와 강녕(江寧) 현(県)을 합친 사망자로 총 1만 5,000명으로 파악하면서, 이 중 학살에 해당하는 숫자를 5,000-8,000명이라고 추산했다. 


결국, 군인과 시민 학살은 총 1만 3,000명이 되는 것인데, 이타쿠라 요시아키는 여기에 위아래로 폭을 두고서 1~2만 명으로 추산한 것이다. 나카무라 아키라(中村粲, 독쿄(獨協)대학 교수)도 이 설에 가깝다.


그 밖에 기타무라 미노루(北村稔, 리츠메이칸(立命館) 대학)는, 난징군사법정 및 도쿄 재판에서 난징사건을 확정했던 ‘전범재판’ 판결서를 역사학적 기법으로 검증한다는 입장에서 분석했다. 그는 종전부터 알려져 있던 2만 명 미만의 중국군 포로에 대한 살해를 새롭게 발굴한 자료로서 확인했다. 


한편, 기타무라 미노루는  ‘전범재판’ 판결서에서 나타나는, 난징 공략전에서 점령 초기에 걸쳐서 일반 시민에 대한 수십 만 단위의 ‘대학살’이 이뤄졌다는 ‘인식’에 대해서는, 중국과 연합국에 의한 각종 전시 홍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것이 1937년 이후에 서서히 형성되었었던 것으로 보았다.


기타무라 미노루는 이후에 2007년 4월 2일 일본외국특파원협회 강연에서 “구 일본군이 난징에서 ‘무질서’와 ‘혼란’ 속에서 편의병이나 포로를 살해 한 적은 있었다. 하지만,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학살’(massacre)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2.6 ‘학살’ 부정설(「虐殺」否定説)


학살부정파는 “일본군이 전시국제법을 위반한 살해를 한 바는 없다” “안전구의 외국인 기록도 공정성에 의문이 있다” 등의 입장으로서, 특히 “30만 명의 시민학살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요 주장자는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新しい歴史教科書をつくる会)’ · ‘일본 ‘난징’ 학회(日本「南京」学会)’ · ‘난징사건의 진실을 검증하는 모임(南京事件の真実を検証する会)’ 외에도, 다나카 마사아키(田中正明, 전 다쿠쇼쿠(拓殖)대학 강사), 히가시나카노 슈도(東中野修道, 아지아(亜細亜)대학 교수), 도미사와 시게노부(冨澤繁信, 일본 ‘난징’ 학회 이사), 아라 켄이치(阿羅健一, 근현대사 연구가), 가쓰오카 간지(勝岡寛次, 메이세이(明星)대학 전후교육사 연구센터), 와타나베 쇼이치(渡部昇一, 죠치(上智)대학교 명예교수), 나카가와 야쓰히로(中川八洋, 쓰쿠바(筑波)대학 명예 교수), 스기야마 가쓰미(杉山徹宗, 메이카이(明海)대학 명예 교수), 하야사카 다카시(早坂隆, 논픽션 작가) 등이다.


주장의 내용(主張の内容)


- 중국 병사에 대한 살해는, 전시국제법상 죽인다고 하더라도 합법인 편의병(게릴라)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 투항병 등에 대한 살해도 역시 전투 행위의 연장이었다.(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난징사건 논쟁 # 편의병 및 전시국제법’, ‘난징사건 논쟁 # 투항병・포로의 취급 및 전시국제법’ 등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반론이 존재한다.)


- 전투 종료 전후에 많은 난민이 대피한 난징안전구에 대해서는 일본군은 만행을 거의 저지르지 않았으며, 일본군의 극악행위에 대한 여러 기록의 출처로 제시되고 있는 안전구역에 거주하는 구미인과 그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저널리스트의 기록의 신뢰성에는 의문이 있다. 예를 들어, 안전구의 구미인인 마이너 설 베이츠(Miner Searle Bates)는 중화민국 정부의 고문이라는 자료가 존재한다. 국민당의 전략은 거짓말을 해서라도 “지나(중국)의 비참함”과 “일본군의 잔학함”을 세계에 호소하고 미국을 우방으로 만드는 것, 그리고 지나사변(支那事変)에 말려들게 한 일본을 때리는 것이었는데, 마이너 설 베이츠는 이 국민당의 전략에 따라 일본군의 잔학 행위를 정치적 모략 선전으로써 세계에 발신했던 것이 아닐까, 하고 시어도어 화이트(Theodore White) 등이 회상에 의거해 주장한 바 있다. 또한 해럴드 J. 팀펄리(Harold John Timperley)의 편저인 ‘전쟁이란 무엇인가(What War Means: The Japanese Terror in China)’(1938년)에서 “일본군에 의한 난징에서의 시민학살”이 대대적으로 다루어져 미국인들에게 일본군의 비도(非道)를 호소하고 그 후에 이는 일미전쟁(日米戦争)의 한 원인도 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해럴드 J. 팀펄리는 난징이 아니라 상하이에 있었다. ‘전쟁이란 무엇인가’의 기술은 많은 경우에 전문(伝聞, 다른 사람에게 들은 얘기)에 근거한 것이며, 도쿄방송(TBS)의 저널리스트인 스즈키 아키라(鈴木明)는 해럴드 J. 팀펄리가 중국 국민당의 고문이자 선전원이었음을 밝혔다.


2007년 4월 9일 ‘난징사건의 진실을 검증하는 모임(南京事件の真実を検証する会)’은 중국 원자바오 총리에게 공개 질문장을 제출했다(이 내용은 중국의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에서 보도됐으며, 일본 국회에서도 마쓰바라 진(松原仁衆) 중의원 의원에 의해 다루어 졌다).


질문장은 다음 사항에 대해 원자바오 총리의 생각을 듣고서 일중(日中) 우호를 위해서 검증을 진행하고자 했다.


- 마오쩌둥은 생애 단 한 번도 ‘난징학살’을 언급하지 않았다. 마오가 30만 명 시민 학살에 언급하지 않았던 사실은 매우 부자연스럽고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면 좋은가.


- 국민당 중앙선전부 국제선전처는 1937년 12월 1일부터 1938년 10월 24일까지 한커우(漢口)에서 300회의 기자회견을 열었다.(국민당 문서 ‘중앙선전부 국제선전처 공작 개요(中央宣伝部国際宣伝処工作概要)’에 따른다.) 하지만 여기서 단 한 번도 난징학살이 언급된 적이 없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면 좋은가.


- 국민당 정부가 감수하고 1939년 상하이에서 출판된 난징안전구 국제위원회 기록에서는, 난징의 인구가 일본군 점령 직전에 20만 명, 점령 1개월 후인 1938년 1월에는 인구 25만 명으로 기록되어 있었다.(‘국민당 정부 국제문제연구소(国民政府国際問題研究所監修)’ 감수 Documents of the Nanking Safety Zone, 1939년 출판, 상하이) 이 기록에 따르면 “30만 명 시민 학살”은 있을 수가 없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면 좋은가.


- 또한 앞서 기록에는 일본군의 비행으로 신고가 된 것이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는데, 살인은 총 26건으로, 이 중에서도 목격된 사건은 1건 뿐이며, 또 다른 1건은 합법적 살인으로 주기(注記)되어 있다. 이 기록과 “30만 명의 시민 학살”은 모순된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면 좋은가.


- 학살을 증명하는 사진은 단 1점도 없고, 발표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학살을 증명하는 사진을 제시하기 바란다.


그러나, 이상에 대해서는 ‘난징사건 논쟁 # 당시 중국 정부의 인식’, ‘난징사건 논쟁 # 인구 추이의 논점’, ‘난징사건 논쟁 # 의문의 사진’의 내용과 같이, 반론이 존재한다.


하타 이쿠히코는 학살부정파가 종래에 무비판적으로 인정받고 있었던 중국 측 자료 일부에 실은 난징사건과 무관한 것도 있음을 발견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가사하라 도쿠시는 학살부정파가 지나친 반중국적 태도로서 학술적으로 무리가 있는 수준의 1차 자료 비판을 하고 있다는 점, 또 사실에 대해서 일방적 부정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2.7 전시국제법상 합법설(戦時国際法上合法説)


일본군에 의한 학살은 전시국제법상 합법이었고 따라서 학살은 없었다고 주장하는 설이다.


법학자인 사토 카즈오(佐藤和男, 아오야마가쿠인(青山学院)대학 교수), 그리고 그밖에 오오하라 야스오(大原康男, 고쿠가쿠인(國學院)대학 교수), 다케모토 타다오(竹本忠雄, 츠쿠바(筑波)대학 교수), 고무로 나오키(小室直樹, 도쿄공업(東京工業)대학 교수), 와타나베 쇼이치(渡部昇一, 죠치(上智)대학 교수) 등이 주장하고 있다.



난징사건 당시 일본과 중국 양국 간의 관계에 적용된 전시국제법은 헤이그육전조약(ハーグ陸戦条約)으로, 이중에서 군사목표주의(軍事目標主義, 헤이그육전조약 제25조)에 따르면 난징성 안쪽은 안전구역이 포함된 ‘방역지역(防守地域)’이어서 설령 이 지역에 무차별 공격을 하더라도 합법이었지만(일반시민의 희생도 전사(戦死)에 준해서 취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은 안전구에 무차별 공격을 하지 않았다.


사토 카즈오에 따르면, 안전구에 침입한 중국군 편의병에 대한 적출은 헌병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으로(예심), 이에 따라 재판(군율심판)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살해 등) 포로의 취급에 대해서는 군사적 필요성이나 (퉁저우사건(通州事件) 등에 대한) 보복의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리고, 난징사건의 원인도 제2차 상하이사변을 일으킨 장개석이나 일본군의 항복 권고를 무시한 탕성즈(唐生智) 사령관, 안전구에 침입한 중국 편의병, 침입을 허용한 안전구 위원회에 있다는 것이다.


사토 카즈오의 이런 입장은 혼전(混戦) 시에는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해 포로를 거부하는 것도 허용될 수 있다는 국제법 학자 라사 오펜하임(Lassa Francis Lawrence Oppenheim)의 학설에 의거한다.


사토 카즈오는 그 밖에도 마츠이 이와네(松井石根) 사령관의 난징성 공략 요령, 헤이그육전조약 교전 규칙의 일부(‘해적 수단의 선용(害敵手段の選用)’)에 대해서 “규정을 되도록 존중한다”라는 육군 차관발 지나 주둔군 참모장 앞으로의 통지 ‘교전 법규의 적용에 관한 건(交戰法規ノ適用ニ關スル件)’을 예로 들면서, “매우 엄격한 군사 정세 하에 있으면서도, 전투 부대가 교전 법규 준수에 아주 신중한 고려를 했고, 격전 중에도 최대한 노력을 이를 위해 지불한 사실이 밝혀졌기에, 필자 등은 (연구를 하면서) 오히려 깊은 감동을 받았음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단, 사토 카즈오가 그렇게 평가한, 1937년 8월 5일 ‘육군 차관발 지나 주둔군 참모장 앞으로의 통지’에서 ‘교전 법규의 적용에 관한 건’은, 한편으로는 헤이그육전조약의 정신에 준수하고 교전 규칙의 일부(‘해적 수단의 선용’)에 대해서 최대한 존중한다고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헤이그육전조약을 엄격하게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고, 또 포로라는 명칭도 되도록 사용하지 않을 것을 현지 군에 명령했었다. 따라서 사토 카즈오의 논거에 문제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난징사건 논쟁 # 편의병 및 전시국제법’, ‘난징 사건 논쟁 # 투항병・포로의 취급 및 전시국제법’에는 이 사토 카즈오의 설에 대한 반론도 기술되어 있다.



3 참고문헌(参考文献)


- 이타쿠라 요시아키(板倉由明) ‘사실은 이랬다 난징사건(『本当はこうだった南京事件』)’ ‘니혼토쇼간코카이(日本図書刊行会)’、1999년 12월。ISBN 978-4823105043。


-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 ‘난징사건(南京事件)’ 이와나미쇼텐(岩波書店) ‘이와나미신쇼(岩波新書)’ 1997년 11월 ISBN 978-4004305309.


-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 ‘난징사건논쟁사 – 일본인은 사실을 어떻게 알아 왔는가(南京事件論争史―日本人は史実をどう認識してきたか)’ 헤이본샤(平凡社) ‘헤이본샤신쇼(平凡社新書)’、2007년 12월. ISBN 978-4582854039.


- 가사하라 도쿠시(笠原十九司) ‘난징사건과 일본인-전쟁의 기억을 둘러싼 내셔널리즘과 글로벌리즘(『南京事件と日本人―戦争の記憶をめぐるナショナリズムとグローバリズム』)’ ‘카시와쇼보(柏書房)’、2002년 2월。ISBN 978-4760121984。


- 기타무라 미노루(北村稔) ‘’난징사건’의 탐구 – 그 실상을 찾아(『「南京事件」の探究―その実像をもとめて』)’, ‘분게이슌주(文藝春秋)’ ’분슌신쇼(文春新書)’、2001년 11월。ISBN 978-4166602070。


- 일본회의 국제홍보위원회(日本会議国際広報委員会)、오하라 야스오(大原康男)、다케모토 다다오(竹本忠雄) ‘재심 난징대학살 - 세계에 호소하는 일본의 원죄(『再審「南京大虐殺」―世界に訴える日本の冤罪』)’ 메이세이샤(明成社)、2000년 12월。ISBN 978-4944219056。


-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난징사건 – ‘학살’의 구조(南京事件―「虐殺」の構造)’주오코론샤(中央公論社) ‘주코신쇼(中公新書)’、1986년 2월. ISBN 978-4121007957.


-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난징사건 - ‘학살’의 구조(南京事件―「虐殺」の構造)’ 주오코론샤(中央公論社) ‘주코신쇼(中公新書)’, 2007년 7월 증보판. ISBN 978-4121907950.


- 히가시나카노 슈도(東中野修道) ‘’난징학살‘의 철저검증(「南京虐殺」の徹底検証)’ 텐덴샤(展転社)1998 년 8 월. ISBN 978-4886561534.


- 난징사건조사연구회(南京事件調査研究会)・편(編) ‘난징대학살부정론의 13가지 거짓말(南京大虐殺否定論13のウソ)’ 카시와쇼보(柏書房) 1999 년 10 월. ISBN 978-4272520152.


- 호라 도미오(洞富雄)、후지와라 아키라(藤原彰)、혼다 가쓰이치(本多勝一) 편(編) ‘난징사건을 생각한다(『南京事件を考える』)’ 오츠기쇼텐(大月書店)、1987년 8월。ISBN 978-4272520152。


- 호라 도미오(洞富雄)、 후지와라 아키라(藤原彰)、혼다 가쓰이치(本多勝一) 편(編) ‘난징대학살 현장으로(『南京大虐殺の現場へ』)’ 아사히신분샤(朝日新聞社)、1988년 12월。ISBN 978-4022559623。


- 호라 도미오(洞富雄)、후지와라 아키라(藤原彰)、혼다 가쓰이치(本多勝一) 편(編) ‘난징대학살에 대한 연구(『南京大虐殺の研究』)’ 반세이샤(晩聲社)、1992년 4월。ISBN 978-4891882235。


- 사토 카즈오(佐藤和男) ‘난징사건과 전시국제법(「南京事件と戦時国際法」)’ ‘세이론(『正論』)’ 2001 년 3 월 호, 산케이신문사 2001 년.


- 호시야마 다카시(星山隆, 2007년 9월). ‘난징사건 70 년 – 수습되지 않은 논쟁 - 일중 역사 공동 연구에로의 시점 - (PDF)(南京事件70年 ―収束しない論争 -日中歴史共同研究に向けての視点― (PDF))’ 세계평화연구소(世界平和研究所). 2020 년 5 월 23 일 열람.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