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집 자유개척단 상임대표가 노무현 정권의 삼성 8,000억 재단기금 조성 문제와 관련하여 원조 발언자인 노회찬 의원과 정의당이 진상규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최 대표는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노회찬 정의당이 노무현 정부 삼성장학재단 8,000억 조성, 진상 규명하라’는 제하 칼럼을 통해, 먼저 최근 자유총연맹 김경재 총재가 서울역 집회 연설에서 ‘노무현 정권도 다른 정권들과 마찬가지로 기업들로부터 돈을 걷어 재단을 만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인해서 이해찬 등 친노 인사들로부터 고소고발을 당한 문제를 거론했다.
최 대표는 ‘삼성 8천억원’ 발언을 한 김 총재 측을 두둔했다. 최 대표는 “노무현 정부 당시 이건희 회장의 8,000억 사재 출연으로 만들어진 공익적 장학재단 설립 과정에 대해 합리적 의혹이 유사하게 제기된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이와 같은 합리적 의혹 제기에 대해서는 당시 국무총리 이해찬, 당시 민정수석 문재인 등이 공론장에서 적절하고 충분한 해명을 하면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애초 소송으로 비화될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최 대표는 이어 노무현 정권의 이른바 ‘삼성 8,000억원’에 대한 비판적 발언은 2006년도에 노회찬 의원에 의해 가장 먼저 이뤄졌음을 분명히 지적했다. 노 의원은 김 총재 측과 달리 심지어 8,000억원이 ‘삼성 X파일’ 수사 무마용인 대가성이었음을 대놓고 주장했던 당사자라는 것이다.
최 대표는 “당시 노회찬 의원의 발언이 만약 사실이라면 이는 형법 상 직권남용, 강요, 뇌물죄 등에 대한 법리적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최 대표는 “이상하게도 당시 국무총리 이해찬, 민정수석 문재인, 그리고 망자의 아들 노건호는 현재 정의당 국회의원인 이 노회찬의 발언에 대해서만 침묵하고 있다”면서 친노 인사들을 힐난했다. ‘삼성 8천억원’ 문제와 관련 노회찬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항변조차 하지 않으면서 정작 노 의원보다 훨씬 수위가 낮은 주장을 한 김경재 총재에게만 친노 인사들이 과잉대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기왕에 이 문제가 불거진만큼 ‘삼성 8천억원’ 문제의 원조 발언자인데다가 재벌 개혁 노선을 갖고 있는 노회찬 의원과 정의당이 앞장서서 관련 진상 규명 작업에 나서주길 제안하며 글을 마무리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