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조 MBC본부(위원장 이성주, MBC언론노조)가 지난 15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홍문종, 미방위)의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문화진흥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나온 최민희 의원의 ‘MBC 민영화’ 발언에 대해 “뜬금없다”며 깊은 유감을 표시했다.
MBC언론노조는 17일 <뜬금없는 ‘MBC 민영화’ 발언, 무슨 소린가?> 제하의 성명을 통해 미방위 업무보고 자리에서 최성준 방통위원장을 향해 “MBC 민영화를 연구해보라”고 요청하며, MBC 소유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한 최 의원의 발언에 대해 “의도가 무엇이었든 공영방송을 바로 세우기 위한 싸움이 힘겹게 이어지는 와중에 자칫 사태의 본질이 엉뚱한 방향으로 오도될까 심히 우려된다”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어 “물론 최 의원이 지적한 것처럼 MBC는 세월호 참사 보도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를 드러냈으면서도 반성하지 않았고, 심지어 국회의 국정조사마저 일방적으로 거부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이 ‘민영화’라는 해법으로 풀 문제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며 “공영방송이 드러내는 문제는 바로 세우고 개선해야 할 사안이지 결코 민영화의 명분은 될 수 없다.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 의원이 ‘MBC 민영화’의 근거로 제기한 MBC 소유구조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MBC의 문제는 ‘공적 소유구조’라는 형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라고 일축한 MBC언론노조는 “MBC의 문제를 바로잡고 견제할 장치는 ‘민영화’가 아니다. 국회가 그 책임을 다해 공영방송이 공영방송으로서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루 빨리 법·제도 개선에 나서는 일”이라며 책임을 국회로 미루는 한편 ‘MBC 민영화’에 대해서는 끝까지 반대 의사를 밝혔다.
최민희 의원의 의미 있는 ‘MBC 민영화’ 발언, 그러나 알레르기 반응 보이는 MBC언론노조
그러나 ‘MBC 민영화’는 이미 많은 방송관계자와 언론학자들이 언급했던 문제로 정치권에서도 논의됐던 문제다. MBC가 상업방송이면서도 방송문화진흥회란 공적 기구를 두어 공영방송 지위 상태로 두는 소유구조는 비정상이라는 지적이 줄곧 있어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 MBC 사장을 지낸 김영 전 방문진 감사는 “방문진은 MBC의 발전을 저해하는 기관이다. 없어져야 한다. 김영삼 정부가 5공 청산을 했다고 주장하는데, 전두환 노태우 이런 사람들만 잡아넣었지, 그 사람들이 만든 제도는 청산하지 않았다. 그게 바로 한국방송광고공사 코바코와 방송문화진흥회다. 왜 그런 걸 원 위치 시키지 않나”면서 “MBC는 원래 고향이 민영방송이니 자기 고향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게 맞다”고 MBC 민영화야말로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MBC 민영화’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노조와 달리, 그동안 정치적 문제 등의 이유로 이러한 MBC 소유구조 문제를 외면하던 야당 측에서 본격적인 문제제기가 나왔다는 점에서 향후 MBC 민영화 논의는 본격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BC의 한 관계자는 최 의원의 민영화 발언에 발끈하고 나선 MBC언론노조의 모습와 관련해 “1노조(MBC언론노조)는 최문순 사장 시절부터 공영방송이라는 명목 하에 단일호봉제를 관철시키는 등 구성원간의 경쟁보다는 적당히 놀고 적당히 돈 받는 것을 즐기는 집단이기에 개인 간의 경쟁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 ‘민영화’라는 발언만 나오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이라며 “이들에게 있어 합리성이라는 부분은 논할 가치도 없는 논제로 본다. 개인의 능력을 평가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 능력 없는 다수의 떼쓰기에 불과하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1노조가 반대하는 MBC 신입사원 연봉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들이 회사의 연봉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연봉제의 올바른 예로 제시한 것은 민영방송인 SBS의 임금체계”라며 “임금체계에 대해서는 SBS가 좋다고 떠들면서 정작 필수불가결한 과정인 ‘민영화’에 대해서는 ‘절대 불가’라는 모순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부터가 이들 논리의 모순”이라 지적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