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MBC노조·야당의 ‘외압’주장은 여권의 자충수 때문?

“MBC사태에 정부여당이 그동안 얼마나 안이한 시각으로 대처해왔는지 드러났다”

MBC 김재철 사장 해임안 부결 후폭풍이 거세다. 노조와 야당은 즉각 반발하며 정부 여당측에 외압의혹 공세에 나서고 있고, 노조편향 언론매체들은 연일 이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며 대선 쟁점 이슈로 부각시키기 위해 총력전에 나선 모양새다.

노조와 야당 주장의 핵심은 김 사장을 퇴진시키기로 한 ‘합의문’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합의’를 정부 여당측이 깼다는 것이다.

다수의 언론보도 등을 정리해보면 이렇다.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은 8일 기자회견에서 노조 파업이 막바지로 치닫던 지난 6월 방송통신위원회 모 방통위원이 노조 단식장으로 찾아와 'MBC가 먼저 파업을 접어 달라. 그러면 김재철 사장을 퇴진시키겠다'고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또 이 위원장에 따르면 그 방통위원은 방통위원 모두가 김 사장 퇴진에 합의했고, 김 사장 퇴진을 명시한 합의문을 작성했다는 발언도 전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당측 홍성규 방통위원은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합의문을 작성한 것은 사실이나 서명을 한 적도 없다. 강제력이 없는 합의문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방문진쪽이 작성했다는 ‘합의문’ 얘기도 나왔다. 야당 추천 최강욱 이사는 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25일 전에는 사장을 해임시키기로 하는 합의문이 만들어졌고 거기에다 서명을 하신 분들도 있었다"면서 "합의문에는 '김재철 사장과 현 MBC 노조집행부 동반 퇴진' '고소·고발 상호 취하' 등이 담겨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최초 합의문을 만드신 분이 이미 사인을 했고 과반수의 이사가 합의문에 동의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10월 25일 당연히 (해임안이) 통과될 걸로 생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야당추천 이사 선동규 이사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30일 김충식 방통위 상임위원과 함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의 이유를 따지자, 김충일 이사는 '김무성·하금열이 전화해 안 된다고 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선 이사는 "즉시 이 사실을 밝히려고 했지만 방통위원들이 1~2주 시간을 주면 더 노력해보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충일 이사는 폴리뷰와의 통화에서 노조와 야당측이 주장하는 합의문(결의문)에 대해 “야권이 안 되는 해임안만 갖고 나오니 추진했던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나는 이사 전원의 뜻을 모아보겠다는 말을 했을 뿐, 해임시킨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 완전한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김 이사는 또 청와대 하금열 대통령실장과 새누리당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과의 통화 의혹에 대해서도 “단순히 얘기한 것을 마치 내가 압력을 받아 한 것처럼 주장하는 건 완전히 사실 왜곡이자 언론플레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그는 방문진 9명 이사 전원 동의를 전제로 합의문(결의문)을 추진했던 사실을 밝히면서 “결의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대 의견이 나오고 전원 찬성이 안됐는데 내가 그걸 어떻게 제출하겠느냐”며 “방문진 9명 전원 찬성이 안 되기 때문에 추진하는 걸 그만뒀다”고 밝혔다.

김충일 이사는 미디어스와의 통화에서도 "(MBC사태에 대해서는) 노조와 김재철 사장이 공동책임을 져야한다"며 "하지만 일부 여당 이사들이 (동반 사퇴에 대해) 반대를 했기 때문에 지난달 24일 더 이상의 추진이 어렵겠다고 (야당 이사들 쪽에) 통보한 것일 뿐"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해임안 부결 후폭풍은 MBC 노사에 대한 여권의 어설픈 양비론 탓?

이를 종합해보면, 김 이사가 이사진 전원 합의를 전제로 김 사장 퇴진 등을 담은 결의문을 작성하고 최종 채택하기 위해 노력했던 점만은 분명해 보인다.

이 같은 사실로 볼 때 분명한 것은 노조가 장기 파업을 벌이자 곤혹스런 여권이 파업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노조 주장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녔던 정황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노조가 제기한 김 사장의 배임혐의와 도덕성 문제가 사실로 확인된 것이 아무것도 없는데도 방통위가 ‘파업 철회 후 김사장 퇴진’이란 합의문에 덜컥 협조했던 것이 그 증거다. 또 방문진 역시 여권 이사조차 파업 사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진지하게 접근하기보단 어설픈 결의문 추진 등을 통해 ‘양비론’의 잣대로 성급하게 해결하려 들었다는 것이다.

결국 정부 여당측의 외압의혹 논란은 사실상 노조에 끌려 다닌 여권의 자충수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다.

폴리뷰 박한명 편집국장은 “언론을 통해 드러난 사실을 종합해보면, 노조가 파업을 일으키고 노조와 긴밀한 야당정치인들이 개입해 MBC 파업해결을 여권에 압박하면서, 여권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하려기보다는 노조와 야권의 여론전과 압박에 휘말려 귀찮으니 일단 김 사장을 해임시키려고 했던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된다”며 “하지만 이후 폴리뷰의 취재 등을 통해 MBC김재철 사장에 덮씌워진 여러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노조가 거짓말과 왜곡을 동원해 사측을 무리하게 공격해왔다는 점들도 드러나면서 상황이 반전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노조와 야당의 외압 주장은 사실여부를 떠나 정부여당측이 MBC사태에 그동안 얼마나 안이한 시각으로 대처해왔는지 그 점만큼은 분명하게 드러났다”고 꼬집었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