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李당선인 신당.민노당 `협조방문'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류지복 기자 =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7일 정부 조직개편안의 원만한 국회 처리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내달 25일 대통령 취임 전까지 정부조직 개편을 완료하고 총리를 비롯한 내각 인선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관련법 처리가 필수적이지만 대통합민주신당 등이 통일부 통합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는 등 국회 논의과정이 벌써 험로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부처 축소로 인해 가뜩이나 공직사회의 불만이 쌓일 수 있는 상황에서 청와대까지 나서서 `대(大)부처주의'를 비판함에 따라 여기서 밀리면 계속 밀릴 수밖에 없다는 판단하에 단단한 배수진을 치고 있다.

우선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부터 발벗고 나섰다. 이 당선인은 이날 오후 신당과 민주노동당을 직접 방문해 정부조직 개편안 처리에 협조를 당부하기로 하는 등 `파격행보'도 마다하지 않을 작정이다.

앞서 이 당선인은 이날 예정에 없이 삼청동 인수위원회 사무실을 `깜짝' 방문해 이경숙 위원장 등 인수위원 등과 30여분간 티타임을 가졌다.

이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정부부처가 폐지되거나 합쳐지는 것은 기본적으로 국민적인 시각에서 봐야 한다"며 "기능재편이 중심인데 자리를 갖고 이야기하는 게 안타깝다. 밥그릇 개념으로 인식해 조직개편의 뜻이 왜곡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는 이날 약속이나 한 듯이 브리핑,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정부조직 개편안의 최대쟁점인 `통일부의 외교통상부 통합'에 대한 불가피성을 적극 설파하는 등 대대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이동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통일부 통폐합 조치가 대(對)국회 협상 카드 아니냐는 지적에 "절대 협상카드가 아니며 개편안 원안대로 통과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라고 못박았다.

이 대변인은 "남북관계는 여러 부처로 나눠 전문성을 살려가면서 전방위로 대처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바람직하다"며 "남북관계에 특별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특임장관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게 당선인의 뜻"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인수위 부위원장인 김형오 의원도 오전 간사회의에서 "일부 언론이 `통일부 폐지'라고 하는데 이번에 폐지된 부처는 국정홍보처 한 기관뿐이며 나머지 기관은 기능이 통합돼 명칭이 바뀐 것"이라며 통일부 `폐지'가 아닌 `통합'이라고 명명해줄 것을 요청했다.

조직개편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박형준 의원은 기획재정부의 `공룡부처' 논란에 대해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을 금융위원회로 떼어 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며 "예산이 있는 곳에서 기획역할을 하는 게 맞고 시대 흐름에도 부합한다"고 반박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청와대가 대(大)부처주의를 비판한 데 대해 "30여개국의 실증적 사례를 검토하고 한나라당과 인수위에서 수많은 시뮬레이션을 한 끝에 만들어낸 결과"라며 "청와대가 사실확인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인상비평'을 한데 대해 실망을 금치 못한다"고 맞받아쳤다.

박재완 의원은 "공무원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퇴직하는 일은 없을 것이고, 현직 공무원의 신분은 철저히 보장한다"며 "신규로 공직에 진입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채용시험은 정상적으로 진행이 돼도 무방하다"고 공직사회의 동요를 잠재우는데도 주력했다.

이경숙 인수위원장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입장이 다를 수 있으나 아무리 따져봐도 조직개편은 선진국 진입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서 "정말 사심없이 국민을 바라보면서 수요자 입장에서 만든 안이기 때문에 진통이 있은 후에는 모든 국민이 한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sims@yna.co.kr

jbryoo@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