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등 양국 6자회담 수석대표가 각각 일본측에 '납치문제 진전'의 정의를 명확히 할 것을 요청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8일 보도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은 대(對) 북한 에너지 지원의 참가 조건으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 '진전'을 요구해 왔지만 우다웨이 부부장은 북한에 의한 납치문제 재조사 실시를 '진전'으로 받아들이자는 입장을 보여 왔다고 복수의 6자회담 협상 관계자가 밝혔다.
일본은 납치문제의 전면적 해결을 요구하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진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을 피해왔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이 이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납치문제가 6자회담 전체에 장애가 되는 것을 강하게 우려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다.
우다웨이 부부장은 지난달 일본 정부 관계자에게 "북한이 납치문제 재조사를 단행하게 되면 진전이 아니냐"는 견해를 전달하며 일본이 북한과의 국교정상화 후에 북한에 대해 실시하게 될 경제지원의 규모 등에 대해 북일 간 대화를 해야 한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일본측은 "북한이 '납치문제는 이미 해결된 사안'이라는 태도를 바꾸는 것이 선결조건이다. 재조사가 진전이라고 할 수 있는지는 내용에 달렸다"고 말하며 동의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도 지난 2월 일본 정부 관계자와 만난 자리에서 "납치문제 해결과 진전이 다른 것은 이해하지만 진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고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협상 관계자들이 전했다. 힐 차관보는 또 납치문제의 전면 해결을 목표로 한 로드맵 책정의 필요성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과 일본은 지난달 베트남 하노이에서 국교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을 가졌으나 납치문제 해결을 요구한 일본과 '기해결 사안'이란 입장을 고수하는 북한이 대립하며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일본은 납치문제와 관련, 생존자 조기 귀국, 진상 규명, 납치 실행범 인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대북 지원의 조건에 대해 "피해자 전원의 귀국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있을 경우"라고 밝힌 바 있다.
(도쿄=연합뉴스)
choinal@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