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퇴임한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은 한국사회에 부러운 모델이다. 우리에게는 국가원수가 퇴임 직전까지 지지율의 고공행진을 이어간 사례가 없다. 쿠데타를 통해 스스로 권좌에 오른 이들이야 그렇다손 쳐도 임기초반 90%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던 김영삼이나 지지자들에게 정치적 메시아와 같았던 김대중, 노무현도 그 끝이 초라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한편으로는 집권 3년차를 맞이한 이명박 대통령의 50%에 가까운 지지율을 여론조사의 왜곡이라고 주장할 정도다.현재상황이 특이한 것은 그 반대급부가 야당으로 돌아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구제역 사태처럼 정부여당의 숱한 빌미가 제공되는데도 왜 민주당에 대한 지지는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일까? 여기에 대한 정답은 유시민이 얼마 전 제시 한 바 있다. 최근 민주당과의 복지논쟁에서 그는 제1야당이 처한 위기를 ‘신뢰의 상실’에서 찾았다. 지난 정권의 충신이었던 그가 이런 주장을 하는 모양새가 좀 어색하기는 하지만 싸가지 없다는 그의 평판은 평론가의 입장일 때 빛을 발한다.정치평론가들이 어떻게 분석을 하건 현재 민주당의 위기는 사람의 위기다.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인식이야말로 대안세력으로 부상하지 못하는 치명적 약점이다. 민주
공작 언론인 오연호가 새로운 작업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지난 대선에서 문국현을 띄우기 위해 공작질을 서슴지 않던 그가 이번에는 조국이라는 상품을 선정한 모양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만한 인물이 왜 이제사 주목을 받나 싶을 정도다. 영남 출신에 서울대 법대의 최고학력, 게다가 훤칠한 인물까지 부족함이 없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의 등장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이 진보진영 내에서 얼마나 귀한 상품이었는지 새삼 깨닫게 한다. 얼핏 보기에 조국은 대학도 못나오고 인물도 시원찮았던 노무현보다 훨씬 진화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그는 자수성가 시대에 종말을 고하는 징표이기도 하다. 이제 일류대학 학벌 없고 부모 잘못 만난 사람은 더 이상 대통령이 될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이미 배에 기름기 낀 좌파진영 내에서 노무현과 같은 상품은 고갈된 지 오래다.조국은 귀족적 이미지로 아줌마 부대를 유인하는 오세훈의 좌파 버전이다. 좌파진영에서 그를 주목하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까? 그것은 그가 시대정신을 대표한다기보다 좌파들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조국이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 아들의 로스쿨 입학과 관련된 화제의 중심에 오르며 내뱉은 일성은